친환경 포장의 이해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친환경 포장의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포장의 개념과 기능

Ⅱ. 포장의 종류와 유형
1. 블록계에 의한 포장
2. 아스팔트 혼합물에 의한 포장
3. 수지계 혼합물에 의한 포장
4. 콘크리트 포장
5. 타일 등 미장재에 의한 포장

Ⅲ. 친환경 포장의 개념과 유형
1. 친환경 포장의 개념
2. 친환경 포장의 유형

Ⅳ. 친환경 포장의 기능과 종류
1. 친환경 포장의 기능
2. 친환경 포장의 종류

Ⅴ. 친환경 포장사례 및 문제점
1. 투수콘크리트
2. 투수블록
3. 고무탄성재
4. 인조잔디
5. 잔디블록
6. 흙 포장
7. 재생아스콘

참고문헌

본문내용

소년들에 유해한 아토피성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외국의 경우에는 설치 시에 많은 환경적 조사를 받은 제품에 한하여 시공된다. 반면에 국내에서는 몇 개의 항목 즉, 오염물질(비소, 구리 육가크롬, 아연 등)의 최소규정만 준수하면 환경적으로 아무런 제약을 받지 않고 설치되고 있으며, 일부 원재료가 질적으로 우수하지 못한 점이 커다란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설치 시에 지층 하단부에 시멘트로 만든 고화제를 첨가하는 것에도 환경적으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가능하다면 인공잔디보다는 천연 잔디를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으며, 설치 시에도 인공잔디와 천연잔디의 비율을 적당히 혼합하여 가운데 부분은 인공잔디를 식재하고 바깥부분처럼 행동이 그리 많은 않은 곳에는 천연잔디를 식재하 여 자연스러우면서도 환경적인 이중배합식재가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식재를 할 경우에는 가운데 부분은 높이를 바깥 부분보다는 높게 조성하여 자연스럽게 토양으로 스며들지 못하는 상당량의 물을 바깥부분에서 자연스럽게 토양 속으로 흘러내리게 하는 설계의 효율성도 강조해야할 것이다.
5. 잔디블록
잔디블록은 도시의 주차장과 공원보행로, 산책길, 고궁 등에 전면적으로 설치가 가능하며 일반 투수블록과는 다른 식재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일반 투수블록도 식재가 가능하나 그 효과가 미비한 반면에 잔디블록은 투수와 식재를 동시에 가능케 하는 소재라 할 수 있다. 특히, 도시의 주차장과 상대적으로 녹지가 부족한 공간에 설치한다면 도시의 미관 과 미기후에 긍정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소재이기도 하다.
서울시의 경우, 잔디블록을 상당히 우수한 소재로 여기고 있으며 시민 들의 민원도 거의 없는 소재로 인식되고 있기도 하다. 진디블록은 도시 내의 주차장면에 얼마든지 포설이 가능한 제품이고, 식재와 투수가 병행 된다는 점에서 우수한 제품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이 소재의 문제점은 홍보가 미비하여 외국이나 일부 시공사례처럼 민간주차장이나 주거지의 주차장에 식재한 경우가 별로 없다는 것 고, 가격이 일반보도블록보다 46배 정도 높다는 점은 앞으로 개선해 나아가야 할 사항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식재가 거의 잔디 위주로만 되어 있어 다양화되어 가는 도시민과 실무자들의 욕구에 충족하지 못한 다는 점으로 향후 연구가 개선되어 다양한 실재종류의 구비와 가격적인 면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6. 흙 포장
흙 포장은 도시홍수와 도시열섬효과 등의 방지책 중 도시 시가화 지역 내 포장으로서는 가장 우수한 소재이다. 압축강도 면에서 콘크리트와 같은 강도로 시공할 뿐만 아니라 투수성면에서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미끄 럼방지에 효과적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식재의 가능성이다. 외국의 경우 도시의 포장을 흙 등 자연친화적인 소재를 많이 이용하거나 그와 흡사한
재료를 쓰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를 감안하여 콘크리트 수준의 강도와 투수성, 식재성을 확보한다면 대도시 내 포장 시 적극 권장되어야할 소재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흙 포장의 가장 주안점인 식재에 대한 연구는 없는 편이다. 이는 친환경 포장이 단순히 미관적으로 수려하고 투수성에만 치중한 결과라 생각되며, 단순히 식재를 위해서는 투수성이 강하면서도 공극률이 현재 포장 압밀도 15%를 상회해야 하나, 관리적인 측면에서 그것을 방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흙 포장 소재라는 것이 일본이나 독일의 경우에서처럼 심미적인 효과를 주면서 투수와 식재가 동시에 이루어져야하나, 국내에서는 단순히 콘크리트와 아스팔트를 대체하는 한 수단으로만 여겨지기 때문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7. 재생아스콘
재생아스콘은 도로공사 후 남겨지는 폐자재를 재활용한다는 점에서 경제적으로는 월등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 소재이다. 서울시의 경우처럼 공공기관, 단체의 건설공사에 재생아스콘 등 순환골재 재활용제품 사용을 의무화하는 게 가장 효과적인 방안이다. 물론 품질이나 공급이 충분히 된다는 전제조건에서다. “서울시는 2001년부터 도로공사에 재생아스콘을 사용해 오고 있고, 2008년 3월부터는 서울시와 산하기관, 구청에서 발주하는 아스콘 소요량의 10%이상을 재생아스콘으로 사용하도록 의무화(서울시 훈령949호)했다. 대상도 연장 1km이상으로 돼 있는 현행 법률보다 확대해 도로 면적이 4,000m2이상인 공사에 모두 적용하기로 했다.” 일 본의 경우에는 재생아스콘을 도심 포장에 이용하는 비율이 71%로 우리나라 보다 월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재생아스콘은 칼라를 입도해서 도시의 포장 면에도 사용이 가능하고, 일부 도로현장에서 맨 위의 표층과 기층에 사용하여 재활용효과를 높이고 있다. 이러한 소재는 연성감을 주어 보행 시에 편한 느낌을 줄 수 있고, 시공 즉시 통행이 가능하며 심지어 차량이동에도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아 미끄럼방지용으로 도시에 적용중이기도 하다.
하지만, 태생적으로 폐자재를 활용한 제품이므로 도시 시가지내에 설치하는 것은 문제가 다소 있다. 아스팔트 찌꺼기를 재활요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아스팔트는 동절기의 수축 팽창 시 균열, 크랙, 박리 현상이 다분한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이는 즉, 도시 내에 설치하는 것보다는 도시외곽지역이나 고속도로에 포설되어야 할 것이며, 독성 을 없애기 위한 정화작업 후에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참고문헌
서울시의 친환경포장에 관한 연구 : 서울 시가화지역을 중심으로
권정덕 저 | 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원 발행, 도시환경정책학 전공
습식교반경화토를 활용한 친환경도로포장에 관한 연구
서동혁 저 | 경일대 대학원 발행, 토목공학 전공
친환경 도로포장용 투수콘크리트의 제조와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시스템
홍종현 저 | 濟州特別自治道保健環境硏究院 발행
장수명·친환경 도로포장 연구단
이광호 저 | 대한토목학회 발행
중온 아스팔트 포장 : 교토기후협약을 대비한 친환경적 포장
정규동 저 | 韓國建設技術硏究院 발행
차세대 도로포장의 기술 연구 : 장수명·친환경 도로포장 연구
이광호 저 | 한국도로공사 발행
친환경 4S 포장 시스템의 초기 공용성 평가
이명찬 저 | 중앙대 대학원 발행, 도로및교통공학 전공
  • 가격6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07.13
  • 저작시기201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36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