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의 개념, 주제의 유형(담화적 주제, 담화수반적 주제, 담화효과적 주제, 불분명한 주제), 주제의 구성 방법(거시규칙적 방법, 거시책략적 방법), 주제의 파악 방법(주제 파악의 의의, 주제 파악의 절차)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주제의 개념, 주제의 유형(담화적 주제, 담화수반적 주제, 담화효과적 주제, 불분명한 주제), 주제의 구성 방법(거시규칙적 방법, 거시책략적 방법), 주제의 파악 방법(주제 파악의 의의, 주제 파악의 절차)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주제의 개념

Ⅲ. 주제의 유형
1. 담화적 주제
2. 담화수반적 주제
3. 담화효과적 주제
4. 불분명한 주제

Ⅳ. 주제의 구성 방법
1. 거시규칙적 방법
2. 거시책략적 방법

Ⅴ. 주제의 파악 방법
1. 주제 파악의 의의
2. 주제 파악의 절차

참고문헌

본문내용

n(1960)은 언어로 의사소통하는 과정에 관계된 요소를 토대로 언어 사용에 대한 다음과 같은 모형을 제시했다. 이 모형은 언어가 사용될 때 관계된 변인을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 연구자는 이 모형에서 상황 요인에 주목한다. Jacobson은 하나의 전언이 발동하려면 그 언급되는바 관련 상황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 때 수신자는 상황을 포착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대학원생이 점심 식사 시간에 대학의 구내식당에서 동료와 나누는 대화의 화제는 논문이나 강좌에 제출해야 할 보고서에 관한 화제라면 적당하겠지만, 증권이나 부동산, 새로 구입한 자동차 등의 화제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또한, 중학생이 국어 중간고사 시험 시간에 읽어야 할 덩이글은 교과서에 실린 글이 등장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리고 대개의 병원의 벽에 걸린 액자에 무슨 주제의 글이 실렸을까? 병자의 빠른 회복을 비는 종교적 내용의 기원의 글이나, 히포크라테스 선서와 같은 내용의 글을 기대할 수 있다. 덩이글도 문화적인 현상이고, 따라서 그 덩이글이 읽혀지는 문화적인 상황의 제약을 받는다. 즉, 덩이글의 ‘화제 집합(topic set)’이 있을 수 있다.
독해의 입장에서 이것은 능동적인 독해를 위해서 유용하다. 상황이 덩이글의 내용을 제약한다면, 독자는 이 상황적 단서를 이해함으로 글의 주제를 구성하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이처럼 덩이글이 읽혀지는 상황적 단서를 이용해서 덩이글의 주제를 구성하는 능동적 책략이 상황적 거시책략이다.
독자는 상황적 거시책략과 다음 절에서 논의할 텍스트적 거시책략을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하여 덩이글의 주제 구성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능숙한 독자일수록 상황적 단서를 잘 이용한다. 이들은 덩이글의 상황적 단서를 토대로 자신의 배경지식을 활성화하여 덩이글의 주제에 대한 가설을 형성한 후, 이어지는 덩이글의 정보 처리를 통해 이 가설을 수정하거나 확인해 나감으로써 최종적인 주제를 구성한다(Schuder, Clewer, & Jackson, 1989 ; Spiro, Bruce, & Brewer, 1980, p.7).
원칙적으로 거시명제는 덩이글의 표면구조에서 직접적으로 보여 지는 것이 아니라 덩이글과 독자 자신의 지식을 토대로 추론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거시구조 형성을 위한 주요 책략은 추론 과정이다. 그런 추론을 돕기 위하여 덩이글은 대개 의도된 구조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원칙적으로 독자는 서로 다른 배경지식, 목적, 의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같은 글을 읽더라도 서로 다른 거시구조를 구성하게 된다. 작자는 이것을 피하고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의도된 의미로서 덩이글의 거시구조를 표시하는 구조적 신호를 사용한다. 이를 ‘주제적 표현(thematic expressions)’이라 할 수 있다. 즉 주제에 대한 혼란을 피하기 위해서 작자가 직접 거시구조의 단서를 명시적으로 덩이글에 표현하는 것이다.
주제적 표현에는 단어에서부터 요약문에 이르기까지 길이와 형태가 다양하다. 핵심어, 제목, 부제목, 초기 언급, 언급의 반복, 문법적 역할, 아이디어의 내용, 신문의 리드(lead), 요약, 논문의 초록, 주제 표시어 등 다양하다. 또한, 보다 큰 활자, 이텔릭체, 볼드체 등의 형판 인쇄술에 의하여 주제가 표시될 수도 있다.
독자의 입장에서 주제적 표현은 거시구조를 구성하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덩이글은 거시구조를 향하여 전국적으로 응집되어 있기 때문에, 만약 거시구조가 어떤 구조적 장치에 의하여 신호가 주어진다면 독자는 그 신호를 정확히 해석함으로 쉽게 주제 구성이라는 목적에 도달할 수 있다. 이것이 주제적 표현 사용 책략이다. van Dijk & Kintsch(1983, P.54)는 다음과 같이 주제적 표현의 예를 들고 있다.
. 제목
. 부제목(Subtitles), 표제(headings, captions)
. 문장의 초기 출현(Initial appearance of sentences)
. 요약문(Summaries)
. 선행조직자(Advance organizers)
. 질문과 회상자(Questions and reminders)
또한, Singer(1990,p.149-154)는 제목, 초기언급(Initial Mention), 언급의 반복(Frequency of Mention), 문법적 역할(Grammatical Role), 내용(Content) 등을 들었다.
Ⅴ. 주제의 파악 방법
1. 주제 파악의 의의
글을 읽는다는 것은 필자와 의사소통하여 필자가 말하고자 하는 중심 생각을 파악하는 행위이다. 필자의 중심 생각, 곧 주제의 파악은 글의 핵심을 파악하는 것이며, 나아가 필자가 글을 쓴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또한, 글은 근본적으로 시대의 산물이다. 필자는 의도하든 의도하지 않든 그 시대와 사회의 주된 사상이나 이념을 긍정적으로든 부정적으로든 수용하고 있다. 즉, 글의 주제에는 글쓴이의 개인적인 생각이 담겨 있기도 하지만, 그 시대의 주된 생각이나 사상이 담겨 있기도 하다. 따라서 글의 주제를 파악하는 것은 일정한 시대가 가지고 있는 중심 사상을 파악하는 일이기도 하다.
2. 주제 파악의 절차
① 주제가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경우: 글의 주제와 관련되는 중요한 단서를 담고 있는 글의 제목과 중심 소재를 바탕으로 하거나, 글의 내용을 요약하는 절차를 통해 주제를 파악한다.
② 주제가 암시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시, 소설 등과 같은 문학 작품의 경우에는 주제를 암시적으로 제시하는 경우가 많은바., 작가가 작품을 통해서 말하고자 하는 점에 대해 의문을 가지거나 상상을 해 봄으로써 제목이나 중심 소재 속에 숨어 있는 주제를 파악하도록 한다.
참고문헌
권낙원 편역 - 열린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 현대교육출판, 1996
김인순 - 주제중심의 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1
남명옥·윤기옥 - 교육방법과 교육공학, 서울 : 나남, 1988
운현초등학교 -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 서울 : 양서원, 1998
은용기 - 열린교육이라는 이름, 열린교육, 창간호, 1991
조연순·김경자 -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 구성: 숙의과정, 교육학연구, 1996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10.1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49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