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사자성어, 한자성어)특징, 고사성어(사자성어, 한자성어)사례(ㄱ~ㄷ), 고사성어(사자성어, 한자성어)사례(ㄹ~ㅂ), 고사성어(사자성어, 한자성어)사례(ㅅ~ㅊ), 고사성어(사자성어, 한자성어)사례(ㅋ~ㅎ)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사성어(사자성어, 한자성어)특징, 고사성어(사자성어, 한자성어)사례(ㄱ~ㄷ), 고사성어(사자성어, 한자성어)사례(ㄹ~ㅂ), 고사성어(사자성어, 한자성어)사례(ㅅ~ㅊ), 고사성어(사자성어, 한자성어)사례(ㅋ~ㅎ)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고사성어(사자성어, 한자성어)의 특징

Ⅱ. 고사성어(사자성어, 한자성어)의 사례(ㄱ~ㄷ)

Ⅲ. 고사성어(사자성어, 한자성어)의 사례(ㄹ~ㅂ)

Ⅳ. 고사성어(사자성어, 한자성어)의 사례(ㅅ~ㅊ)

Ⅴ. 고사성어(사자성어, 한자성어)의 사례(ㅋ~ㅎ)

참고문헌

본문내용

쌓으면 들보에까지 미친다는 뜻. 책이 매우 많음을 이르는 말.
한중진미(閑中眞味) : 한가한 가운데 깃들이는 참다운 맛.
함구무언(緘口無言) : 입을 다물고 말을 하지 못하게 함, 입을 다물고 말하지 않음.
함포고복(含哺鼓腹) : 잔뜩 먹고 배를 두들긴다는 뜻이니, 배불리 먹고 즐겁게 지낸다는 말.
항룡유회(亢龍有悔) : 적당한 곳에서 만족할 줄 모르고 무작정 밀고 나가다가 도리어 실패를 가져오게 되는 것을 비유해서 하는 말이다.
해로동혈(偕老同穴) : 생사를 같이 하는 부부의 맹세를 일컬음 .
허심탄회(虛心坦懷) : 마음에 아무런 사념이 없이 솔직한 태도로 일에 임함. 허심평의(虛心平意)
혈구지도(矩之道) : 혈은 잰다는 뜻이고 구는 곡척(曲尺)을 말한다. 자는 물건을 재듯이 내 마음을 자로 삼아 남의 마음을 재고, 내 처지를 생각해서 남의 처지를 사는 것이 혈구지도 즉 자를 재는 방법이다.(論語)(大學)
혈혈단신(孑孑單身) : 아주 외로운 홀몸
형설지공(螢雪之功) : 반딧불에 비추어 책을 읽고, 눈빛에 비추어 책을 읽고 공부한 다는 뜻이니, 온갖 고생을 다하면서 공부한 보람을 이르는 말.
호가호위(狐假虎威) : 여우가 범의 위세를 빌려 호기를 부린다는 뜻이니, 남의 권세를 빌려 위세를 부림을 이르는 말.
호구지책(糊口之策) : 입에 풀칠을 할 방책이라는 뜻이니, 겨우 먹고 살아갈 수 있는 방책을 이르는 말.
호미난방(虎尾難放) : 잡았던 범의 꼬리를 놓기가 어렵다는 뜻.(위험한 일에서 진퇴유곡일 경우를 일컬음.)
호선(狐仙) : 중국의 민간 신앙에 있어서, 선술을 깨달아 신통력을 체득하였다고 하는 여우, 만능의 신, 특히 재록신으로서 신앙되어 상가나 주점 등에서 사당을 만들고 그 신주를 모시어 둠.
호연지기(浩然之氣) : 지극히 넓고 크고 굳세고 솔직한 기운이라는 뜻. 온 세상에 가득 찬 넓고 큰 원기, 또는 사람의 마음속에 가득 차 있는 크고 올바른 기운.
호의호식(好衣好食) : 좋은 옷과 좋은 음식이라는 말로 잘 입고 잘 먹음.
호접지몽(胡蝶之夢):중국의 장자가 나비가 되어 즐겁게 논 꿈이라는 뜻. 곧, 자연과 내가 한 몸이 된 경지, 자연과 나의 구별을 잊은 경지, 또는 인생의 덧없음을 비유하는 말.(=호접몽(胡蝶夢)
호형호제(呼兄呼弟) : 썩 가까운 벗 사이에 형이니 동생이니 하고 서로 부름 .
혹세무민(惑世誣民) : 세상 사람을 속여 미혹시키고 어지럽힌다는 뜻이다.
혼정신성(昏定晨省) : 조석으로 부모의 안부를 물어서 살핌.
홍곡지지(鴻鵠之志) : 비천하면서 큰 뜻을 품음(원대한 포부)
홍익인간(弘益人間) : 널리 인간 세계를 이롭게 한다는 뜻이다.
화광동진(和光同塵) : 화광(和光)은 빛을 부드럽게 한다는 듯이고 동진(同塵)은 세상 사람과 함께 하는 것을 말한다. 즉 자기가 가지고 있는 지혜 같은 것을 자랑하는 일이 없이 오히려 그것을 흐리고 보이지 않게 하여 속세 사람들 속에 묻혀버리는 것을 말한다.
화기애애(和氣靄靄) : 여럿이 모인 자리에 따스하고 부드러운 기운이 넘쳐흐르는 모양.
화룡점정(畵龍點睛) : 용을 그린 뒤에 마지막으로 눈동자를 그려 넣는다는 뜻이니, 무슨 일을 할 때 가장 중요한 부분을 끝내어 완성함을 이르는 말.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 : 열흘 붉은 꽃이 없다는 뜻이니, 사람의 권세나 영화는 한없이 오랫동안 누릴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얼마 안 가서 없어지고 만다는 말. 한때의 권세나 미모에 집착하지 말라는 말.
화서지몽(華胥之夢) : 낮잠(옛날 황제가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 화서라는 나라에 가서 태평처세의 정상을 보았다는 데서 유래함.)
화조월석(花朝月夕) : 꽃 피는 아침과 달 밝은 밤이라는 뜻이니, 경치가 좋은 시절을 이르는 말. 곧, 봄철과 가을철을 이르는 말.
화중지병(畵中之餠) : 그림 속에 그려진 떡이라는 뜻. 곧, 실제로 이용할 수 없거나 차지할 수 없는 것을 이르는 말.(=화병(畵餠)
화호유구(畵虎類狗) : 범을 그리려다 잘 못 그리면 개와 같이 된다 함이니. 호걸의 풍을 배우려다가 이루지 못하면 경박한 자가 됨을 비유한 말, 남을 본받아 배워서 산 보람이 없음을 비유한말.
환골탈태(換骨奪胎) : 뼈대를 바꾸어 기우고 태를 바꾸어 쓴다는 뜻이니, ① 옛 사람의 시문의 형식을 약간 바꾸어 의취(意趣)를 새롭게 하는 일, ② 얼굴이 이전보다 훨씬 더 아름다워져 딴 사람처럼 되는 일을 이르는 말.
환부작신(煥腐作新) : 낡은 것을 바꾸어 새 것으로 만드는 일을 이르는 말.
황량몽(黃梁夢) : 인생이 덧없고 영화(榮華)가 허망함을 비유한 말.
회자(膾炙) : 회와 구운 고기라는 뜻이니, 널리 사람들에게 알려져 입에 오르내리고 찬양을 받음을 이르는 말.
회자정리(會者定離) : 만나면 반드시 헤어질 운명에 있다는 말로 불교에서의 만유무상을 나타내는 말.
효빈(效) : 자기의 추함을 돌보지 않고 억지로 남의 아름다움을 모방함을 말한다.
효시(嚆矢) : 우는 살. 옛날 중국에서 개전(開戰)의 신호로 우는 살을 먼 쏘았다는 데서 사물이 비롯된 맨 처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후생가외(後生可畏) : 후생은 뒤에 난 사람, 즉 자기보다 나이가 어린 사람을 말한다. 「후생이 가외(可畏)」는 이제 자라나는 어린 사람이나 수양과정에 있는 젊은 사람들이 두렵다는 말이다.
후안무치(厚顔無恥) : 낯가죽이 두꺼워 부끄러운 줄을 모름.
흥진비래(興盡悲來) : 즐거운 일이 다하면 슬픈 일이 닥쳐옴.(세상은 돌고 돌아 흥망성쇠가 엇바귐을 뜻하는 말.)
희색만면(喜色滿面) : 기쁜 빛이 얼굴에 가득함.
희생(犧牲) : 천지(天地), 종묘(宗廟)의 제사 때 바치는 동물, 색이 순순한 것을 희(犧) 하고 점을 쳐서 길(吉)을 얻었는데 아직 죽이지 않은 것을 생(牲)이라 함.
힐책(詰責) : 잘 못을 따져 꾸짖음.
참고문헌
○ 김담구, 유래와 용례로 익히는 우리말 속 고사성어
○ 강애련(1999), 한눈에 쏙쏙 들어오는 이야기 고사성어, 정민미디어
○ 이홍우(1996), 옛 어른의 가르침이 담겨있는 고사성어 사전, 교학사
○ 임종욱(1997), 고사성어대사전, 고려원
○ 장연(2003), 이야기 고사성어, 서울 : 동방미디어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0.11.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84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