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굴절][국어][굴절][굴절론][굴절법][핵이동][영어 굴절][독일어 굴절][영어][독일어]국어 굴절의 범주, 국어 굴절과 굴절론, 국어 굴절과 굴절법, 국어 굴절과 핵이동, 영어의 굴절, 독일어의 굴절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 굴절][국어][굴절][굴절론][굴절법][핵이동][영어 굴절][독일어 굴절][영어][독일어]국어 굴절의 범주, 국어 굴절과 굴절론, 국어 굴절과 굴절법, 국어 굴절과 핵이동, 영어의 굴절, 독일어의 굴절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국어 굴절의 범주

Ⅱ. 국어 굴절과 굴절론

Ⅲ. 국어 굴절과 굴절법

Ⅳ. 국어 굴절과 핵이동

Ⅴ. 영어의 굴절
1. 명사의 굴절체계
1) a, a-어간 남성명사: stan `stone`
2) a. o- 단어간 여성명사: lufu `love`
3) u- 어간 남성명사: sunu `son`
4) a, n- 어간 남성명사 : oxa `ox`
5) r-어간 중성명사: cild `child`
6) 움라우트 또는 무어간 명사: man(n) `man`
2. 동사의 굴절체계
3. 형용사의 굴절체계

Ⅵ. 독일어의 굴절

참고문헌

본문내용

er영어에서 ‘swete\'처럼 -e로 끝난 형용사는 강약변화 및 단복수의 구별이 없어졌고, \'good\'과 같은 형용사도 강변화 복수형과 약변화 단수와 복수형에서 -e가 첨가되나 이 어말의 -e []는 14세기 중반에 이미 그 음가를 상실하여 발음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실상 후기 중세영어에서 형용사는 비교형(-er, -est)을 제외하고는 형용사의 굴절어미는 완전히 없어지게 되어 비굴절형의 품사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강변화 형용사 god \'good\'의 성, 수, 격에 따른 어형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Moore and Knott)
OE LME
(2) m. f. n. m. f. n.
Sg. N. god god god good good good
A. godne gode god good good good
G. godes godre godes good good good
D. godum godre godum good good good
I. gode godre gode good good good
P1. N.A. gode godra,-e god,-e goode goode goode
G. godra godra godra goode goode goode
D. godum godum godum goode goode goode
이번에는 약변화형용사 goda \'good\'의 어형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Wardale 김석산).
OE LME
(2) m. f. n. m. f. n.
Sg. N. goda gode gode goode goode goode
A. godan godan gode goode goode goode
G. godan godan godan goode goode goode
D. godan godan godan goode goode goode
P1. N.A. godan godan godan goode goode goode
G. godena,-ra godena,-ra godena,-ra goode goode goode
D. godum godum godum goode goode goode
위의 어형변화표에서 알 수 있듯이 LME 즉, Chaucer에서는 음운변화와 유추작용에 의해 모든 성과 격이 구별이 없어지게 되었다.
지금까지 고찰해본 바와 같이 현대영어는 음운변화와 유추현상 및 이민족의 침략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고대영어가 지니고 있던 복잡한 여러 굴절형을 상실함에 따라서 굴절 대신 문법적인 기능을 보완할 방법을 강구해야만 했다. 그리하여 현대영어는 고대영어보다 어순이 더욱 엄격하게 고정되었고 어순의 고정으로 억양이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또 굴절의 단순화는 명사의 한정적 용법과 품사의 기능전환을 자유롭게 하였으며, 우언법의 발달로 전치사의 활용이 굴절기능을 대신하였으며 불완전한 시제체계와 표현방법을 보완하기 위하여 조동사의 용법이 확장되었다.
Ⅵ. 독일어의 굴절
독일어의 복수명사형이 불규칙형과 규칙형으로 나뉘고, 불규칙형은 합성의 입력이 될 수 있으나 규칙형은 합성의 입력이 될 수 없다는 현상에 대한 설명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Clahsen et al. 1996 123f. 참조)
예를 들어 Wunderlich(1986) 와 Wiese(1988) 는 어휘음운론의 계층모델 Ebenenmodell(혹은 “level-ordering”, Kiparsky(1982))을 이용하여 이 현상을 설명한다. 즉 독일어의 복수명사화어미들이 명사어간에 부착되는 층위, 혹은 순서는 다음과 같다는 것이다.
제 1층위(혹은 제 1순위, 제 1 유형): -0, -e, -er
제 2층위(혹은 제 2순위, 제 2 유형): -n
제 3층위(혹은 제 3순위, 제 3 유형): -s
이러한 가정은 복수명사화어미 -s 는 합성어의 내부에 나타날 수 없는 반면, 복수명사화어미 -e, -er, -(e)n 은 합성어의 내부에 나타날 수 있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설명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즉 형태론적 규칙의 하나인 합성이 일어나는 층위는 제 2 층위로 제한되기 때문에, 제 1 층위와 제 2 층위에서 어미 -e, -er, -(e)n 에 의해 유도된 복수명사들은 합성과정에서 비핵심어가 됨으로써 해당어미들이 합성어의 내부에 나타날 수 있는 반면, 제 3층위에서 어미 -s 에 의해 유도된 복수명사는 제 2층위의 규칙인 합성의 대상에서 제외됨으로써 합성어의 비핵심어를 이룰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어미 -s 가 합성어의 내부에 나타나지 못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계층모델의 관점에서는 규칙어미(-s)가 제 1 층위와 제 2 층위에서 불규칙어미의 부착가능성이 모두 점검된 후 다른 가능성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때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어미라는 의미에서 최종어미로 간주된다.
Wiese(1996)의 설명방식은 이와 조금 다르기는 하지만 근본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가져온다. Wiese(1996)에 의하면 합성은 어간 Stamm 을 입력으로 삼는 형태론적 과정인 반면 어미 -s 가 부착된 요소는 단어 Wort 의 범주에 속하기 때문에 더 이상 합성의 입력이 될 수 없다. 그러나 -s 이외의 어미가 부착된 불규칙복수형은 어간에 속하기 때문에 합성의 입력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규칙복수형과 불규칙복수형의 범주적 속성을 서로 상이한 것으로 파악함으로써, 전자는 합성의 입력이 될 수 없는 반면 후자는 합성의 입력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보는 견해이다.
Borer(1988)의 모델에 따라 불규칙형의 유도는 어휘부 Lexikon 에서, 규칙형의 유도는 어휘부 밖의 통사부 Syntax 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가정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규칙어미 -s 를 부착하는 과정만이 통사부에서 일어나게 됨으로써 어미 -s 를 취하는 복수형은 어휘부에서 일어나는 형태론적 과정인 합성의 입력이 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 강경인(2002), 영어학개론, 글샘문화사
○ 김정민(2000), 초점사의 통사와 의미, 독일어문학 11
○ 박종국(1994), 국어학사, 문지사
○ 임홍빈(1997), 국어 굴절의 원리적 성격과 재구조화, 관악어문연구 22,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정철, 영어정복혁명
○ 허웅(1983), 국어학, 샘문화사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11.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84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