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 한개마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차

1.성주한개마을 소개
-마을의 공간 구성 요소
2. 북비고택
3. 한주종택
4.진사댁
5.교리댁
6. 극와고택

느낀점

본문내용

3.한주종택 4.월곡댁 5.진사댁 6.하회댁. 7.극와고택
1. 북비고택
북비고택은 조선영조50년에 사도세자의 호위무관이였던 훈련원주부 이석문이 지은 가옥이다. 성주 한개마을의 북비고택은 사도세자의 호위무관이던 훈련원 주부 이석문이 억울하게 죽은 사도세자를 사모하여 북쪽으로 문을 내고 평생을 은거한 곳이다.
<배치도>
<사랑채> <안채>

<북비문> <장독대>
<사당> <자혜당>
북비고택에서 인상 깊었던 것은 장독대에도 작은담과 기와가 되어 있는 것을 보고 장독대를 매우 귀하게 여겼다는 것을 알수 있었으며, 이 댁의 여인네들이 모여 어른들의 옷을 짓고, 제사 음식을 마련했다는 자혜당 이라는 건물이이 있었는데 건물 양식이 독특하였다. 또한 사당과 안채가 집안 뒤쪽에 있는 전통 한옥의 배치 구조를 띄고 있다.
<비각>
한개마을 안의 좌편 언덕에 성산 이씨가의 내력을 적어 세운 유허비와 비각이 있다. 세월의 흐름을 말하는 듯, 비각도 고풍스럽다.
2. 한주종택
영조때 이민검이 처음 건립한후 100여년이 지난 고종 31년 성리학자 한주 이진상이 새로 고쳐 지은 집이 지금까지 그대로 보존되고 있다고 한다.


<한주정자> <연못>
<정자에서 바라본 모습1> <정자에 바라본 모습2>
답사하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곳이다. 마을의 최고의 경관을 가지고 있는 집이라는 말이 틀리지 않았다. 한주정자에서 앉아서 전통한옥과 자연이 어우러져 있는 경관을 보고 있노라면, 힘든 육신과 정신이 바로 정화 되는 듯 했다.
3. 진사댁
1858년경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진사댁" 이름으로도 알 수 있듯이 집안의 이국희가 진사시험에 합격해 진사댁으로 불렸다고 한다.
<사랑채> <안채>
<내부1> <내부 2>
이 집에서는 서까래 아래에 있는 #형태의 나무 구조가 특징이라 한다. 문창의 무늬 또한 수수하며 독특하였다.
4. 교리댁
조선 영조 때 사간원 사간, 사헌부 집의 등을 지낸 이석구 선생이 지은집이며, 마을에서 가장 오래 보존된 건물이라고 한다. 교리댁이라 한 것은 홍문관 교리를 역임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사랑채> <안채>
<사당> <미닫이문>
이 댁의 사당은 건물 뒤편에서도 찾기 힘든 뒷마당의 언덕에 위치해 있었다. 옛 선조들이 사당을 그만큼 성스러운 공간이라 생각 했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또한 사랑채의 미닫이문을 실제로 보아 인상 깊었다.
5. 극와고택
1852년에 건립된 살림집으로 공조판서와 판의금부사를 역임한 이원조의 손자인 홍문관 교리 이귀상의 차자 이주희 의 집이다.
<배치도> <전경>
원래의 배치형태는 안마당의 동쪽에 광채가 있어 튼 'ㄷ' 자형을 이루고 있었으나, 현재는 일자형의 사랑채와 정침만이 남아 '二' 자형의 배치형태를 취하고 있다. 한개마을의 주택의 배치형태는 튼 'ㄷ' 자 또는 튼 'ㅁ' 자형을 취하고 있는데 이러한 배치는 북부지역의 폐쇄적인 'ㅁ' 자형의 주택과는 달리 매우 개방적인 것으로, 입구 쪽에서도 사랑채가 보이는 것이 특이했다.
느끼점
성주 한개 마을에서는 옛 전통 가옥의 본래 모습을 느낄 수 있었다. 가옥들 사이를 지나다니면 마치 과거로 돌아가는 느낌이랄까...
또한 한개마을을 답사하면서 개인적으로 도심의 고층주거단지나 현대식 주택보다는 우리의 옛 전통한옥이나 구성이 사람이 살아가기에는 더욱 정겹고 재미있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최근에 파주에 있는 “해이리 예술단지” 에 답사를 간적이 있는데, 각각의 개성강한 현대식 건물만 즐비하며, 또한 주위 자연과도 조화를 잘 못 이루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오히려 한개 마을의 질서있는 모습, 자연과 조화를 이루고 있는 모습이 나에게는 더 기억이 남는다. 그렇다고 서양양식이나 현대의 것이 나쁘다는 것은 아니다. 전통에서의 좋은점과 현대의 장점을 잘 절충하는 것이 옳을 듯하다. 한개마을에서도 전통한옥에서는 볼 수 없었던 마당의 잔디 같은 것은 전통의 느낌을 크게 깨트리지도 않으면서 잘 어울린다는 느낌을 받았다.
평소 나는 마을이라는 삶의 터전에 대해 의미나 가치에 대해 크게 생각을 해 본적이 없었다. 하지만 이번 답사를 통해서 마을의 의미, 중요성에 대해 생각 할수 있는 계기가 되어 여러므로 많은 도움이 되었으며, 앞으로도 전통마을 또한 내가 살고 있는 마을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며 살아가야 할 것 같다.
참고 문헌
-한필원 『한국 전통 마을을 가다』북로드, 2004
-한필원.강인호 『주거와 문화』세진사 , 2000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건축역사 이론 연구실 『성주 한개마을』연세대학교 출판부, 1991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3.04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36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