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시간][학습시간관리][학습시간관리와 자투리시간][학습시간관리와 과제해결시간]학습시간의 제 개념, 학습시간의 선행연구, 학습시간관리의 필요성, 학습시간관리와 자투리시간, 학습시간관리와 과제해결시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학습시간][학습시간관리][학습시간관리와 자투리시간][학습시간관리와 과제해결시간]학습시간의 제 개념, 학습시간의 선행연구, 학습시간관리의 필요성, 학습시간관리와 자투리시간, 학습시간관리와 과제해결시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학습시간의 제 개념
1. 실제학습시간
2. 반응시간
3. 과제집중시간
4. 학습에 필요한 시간
5. 할당 시간
6. 학문적 학습시간

Ⅲ. 학습시간의 선행연구

Ⅳ. 학습시간관리의 필요성

Ⅴ. 학습시간관리와 자투리시간

Ⅵ. 학습시간관리와 과제해결시간

참고문헌

본문내용

학생들의 응답이 있은 후, 다시 교사의 질문이나 말 등 다음 과정으로의 수업이 진행될 때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Rowe(1974a; 1974b; 1974c)는 이러한 과제해결시간을 과제해결시간Ⅰ과 과제해결시간Ⅱ로 나누었다. 과제해결시간Ⅰ은 교사가 학생들에게 질문을 제시한 후에 갖는 멈춤으로, 여기서 교사들은 다음 과정으로 수업을 진행하기 전에 학생들에게 주어진 과제에 대해 생각할 시간을 제공해야 한다. 학생들은 질문에 재빨리 대답할 경우도 있으나 그렇지 못한 경우도 많다. 과제해결시간Ⅱ는 학생들이 교사의 질문에 대해 반응한 후에 교사가 갖는 멈춤의 시간으로, 교사는 학생의 대답에 대해 새로운 반응을 보이거나, 다음 과정으로의 질문을 제시하기 전에 학생들에게 어느 정도의 사고시간을 보장해 주어야 한다. 여기서 잠깐 주어진 과제에 대한 사고시간을 줄 때 학생들이 계속해서 이야기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교사의 질문
과제해결시간Ⅰ
학생의 반응
학생의 응답
과제해결시간Ⅱ

멈춤
결과
멈춤
교사의 반응(질문대답말)
갑작스레 한꺼번에 대답
< Rowe의 과제해결시간에 대한 정의 >
선행 연구들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교실 수업에서의 평균 과제해결시간은 0.9초로, 이와 비교해서 증가된 과제해결시간Ⅰ과 Ⅱ는 평균 3∼5초 사이로 정의되었다. 대부분의 선행 연구들에 의하면, 과제해결시간Ⅰ은 교사가 학생에게 질문을 제시한 후에 갖는 멈춤과 관련이 있었고, 과제해결시간Ⅱ는 질문에 대해 학생들이 반응한 후에 교사가 갖는 멈춤이었다. 증가된 과제해결시간Ⅰ과 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 과제해결시간을 재어내는 데에서 당면한 어려움들을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에서, Lake(1973)는 과제해결시간을 교사가 이야기하는 것에 앞선 침묵의 길이라는 견지에서 재정의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Lake는 멈춤의 길이를 어떤 화자가 주로 통제하느냐에 따라 과제해결시간의 유형을 두 가지로 나누어 정의했는데, 첫째, 교사의 과제해결시간은 교사가 말하기 전의 멈춤이고, 학생의 과제해결시간은 학생이 말하기 전의 멈춤으로 정의하였다.
Lake에 의해 제안된 개념을 실험을 통해 경험적으로 지지한 Fowler(1975)는 과제해결시간을 다시 네 가지의 유형으로 나누었는데, 교사반응 과제해결시간, 학생반응 과제해결시간, 교사주도 과제해결시간 그리고 학생주도 과제해결시간이다.
< 과제해결시간에 대한 정의들 >
연구자
과제해결시간의 유형
과제해결시간의 위치
화자의 유형
과제해결시간
화자의 유형
Rowe의 정의
과제해결시간Ⅰ
교사
멈춤
교사 or 학생
과제해결시간Ⅱ
학생
교사
Fowler의 정의
교사 반응 과제해결시간
학생
교사
학생 반응 과제해결시간
교사
학생
교사 주도 과제해결시간
학생
학생
학생 주도 과제해결시간
교사
교사
Lake의 정의
교사 과제해결시간 예 1:
학생
교사
예 2:
교사
학생 과제해결시간 예 1:
교사
학생
예 2:
학생
이러한 과제해결시간에 대한 정의들을 보면, 학생들의 학습에 영향을 주는 조용한 멈춤의 시간은 ‘멈춤의 길이’와 교사와 학생에 관련한 ‘멈춤의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르게 제시된 것임을 알 수 있다(Tobin, 1987).
과제해결시간에 대한 정의 뿐 아니라 이를 가리키는 명칭도 학자에 따라 다양하다. 멈춤시간(pause time)이나 멈춤(pausing) 등과 같이 멈춘다는 의미를 강조하여 나타내는 용어들이나(Tobin, 1987), 반응시간(response time)(Gilhooly, 1974 ; Keppel & Rehula, 1965), 경과시간(elapsed time)(Carroll, 1963 ; Anderson, 1976), 과제집중시간(Time on task)(Bloom, 1974 ; Rosenshine, 1979 ; Tennyson et all, 1977)등과 같이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는 용어들이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그 명칭은 차이가 있으나, 학생들에게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간을 제공해 준다는 데에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참고문헌
◈ 김영채, 학습 의욕 및 학습 습관의 진단, 대학생활연구 제 7호, 한양대 학생생활연구소
◈ 김호권, 완전학습의 원리, 서울 : 능력개발사, 1970
◈ 로타르 J·자이베르트, 자이베르트 시간관리, 2003
◈ 박은정, 중학생의 시간관리와 학업성취도, 한국방송통신대 평생대학원, 2007
◈ 유성은, 시간 관리와 자아실현, 서울 : 숭문출판사, 1988
◈ 퀸튼 신들러, 성공한 사람들의 시간관리 습관, 2009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3.2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84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