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음운론정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음운론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음운학
2. 음성학(音聲學, Phonetics)
3. 현대국어의 자음(子音) 체계
4. 현대국어의 모음(母音) 체계
5. 음소(音素)
6. 운소(韻素)
7. 음운 체계
8. 음절(音節)

본문내용

1. 음운학
Phonology is the science of speech sounds and sound patterns.
― 말소리의 체계기능을 체계적으로 기술하는 언어학의 한 분과
(1) speech sound(sounds of speech) : 언어음(=말소리), 의사 전달에 요구되는 ‘인간 의 소리’에 국한
※ 말소리의 성립 조건 ― 1) 인간의 음성기관을 이용하여 발화되는 소리
2) 분절적인 성격을 띠는 소리 음절자음모음으로 나눌 수 있다.
(2) sound patterns(음성모형)
1) 음성 목록의 작성 : 개별 언어마다 다르다.
― 개별 언어마다 사용되는 음의 개수가 각기 다르다. 국어의 경우 폐쇄음 계열에서 무성음과 유성음의 대립이 존재하지 않음(→ 된소리와 거센소리의 대립이 존재함)
2) 음성 서열(배열상의 문제) : 각 언어마다 음성 서열이 다름
― 선호하는 음끼리는 결합하고 그렇지 않은 음끼리는 서로 거부하여 결합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 한국어 : 자음+모음(+자음) → 개음절 구조 or 폐음절 구조
cf) 일본어 : 자음+모음 → 개음절 구조, 모음으로만 끝남
* 한국어 : 어두자음군 존재 X → 중세에는 어두자음군이 존재, 그러나 표기와 실제 발음 사이의 괴리로 인해 중세국어의 표기를 전적으로 신뢰할 수 있을지 의 문제 발생 16C의 중세국어 문헌은 정부에서 간행된 것, 16C 이후에 민중들의 발음방식이 ‘지방에서 간행된 책’에 반영됨, 따라서 실제적 발음과 표기방식의 관계에 있어 표기방식이 언어현실을 모두 반영한다고 볼 수는 없다.
cf) 영어 : 어두자음군 존재(ex) sprint, 그러나 한국식 발음은 모음 ‘ㅡ’를 개재시킨 ‘스프린트’ ← 한국어에는 어두자음군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
3) 음운 법칙(phonological rule)의 기술
① 통시적(通時的) 음운현상 :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술
* 단모음화(單母音化) : 중세에는 /ㅐ, ㅔ, ㅚ, ㅟ/가 하향이중모음 [aj, j, oj, uj]로 현 대에는 단모음 [, e, , y]로 변화
② 공시적(公示的) 음운현상 : 특정시기만을 대상으로 국한하여 기술
* 움라우트 현상(前舌母音化) : 남부 방언에서 주로 나타남(ex) 학교>핵교, 어미>애미)
* 구개음화(口蓋音化) /ㄷ, ㅌ/이 /i(j)/모음계를 만나면 /i(j)/모음계와 가까운 위치에서 발음되는 /ㅈ, ㅊ/으로 변화하는 음운현상으로서 이는 일종의 동화현상이라 할 수 있다.
― /ㄷ, ㅌ/(치조음) + /i(j)/모음계 → /ㅈ, ㅊ/(경구개음) + /i(j)/모음계
## 통시적 :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1.04.11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54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