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사회학의 정의, 사회학에서 도시와 도시의 사회학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도시의 사회학

Ⅰ. 도시사회학의 정의

Ⅱ. 사회학에서 도시와 도시의 사회학

1. 사회학 교과서에서 ‘도시’
2. 공동체로서 도시
1) 사회학의 연구범주와 공동체
2) 도시공동체의 출현과 발전
3. 도시주의로서 도시
1) 도시화와 도시주의
2) 도시연구에 대한 관심의 대두
3) 현대 도시주의에 관한 도시사회학자들의 입장
4) 현대도시의 특성
4. 도시사회학의 관심영역과 발전
1) 도시사회학의 대상영역의 확인방법
2) 도시화된 사회에서 도시적인 것: 도시의 공간사회학적 영역
3) 도시의 구성적 차원에 따른 도시적인 것의 연구대상
4) 도시사회학의 이론과 학파
5) 정리: 도시구성과 도시사회학 이론의 관계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도시화띠배세력의
집중, 빈민/슬럼, 국토의 불균형)를 경험하고 있으며, 내부적으로 이중구조
(전통과 현재)의 성격을 띠면서 도시화가 지속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4) 도시사회학의 관심영역과 발전
(1) 도시사회학의 대상영역의 확인방법
· 도시의 고유한 공간영역의 확인을 통해.
· 도시구성에서 사회적 층위의 확인을 통해.
· 도시사회학의 이론적 계보 분석을 통해.
(2) 도시화된 사회(urbanized society)에서 도시적(urban)인 것: 도시의
공간사회학적 영역
도시연구의 영역은 일차적으로 '도시화'로부터 파악할 수 있다. 하지
만 도시화가 전면화한 현대에서 도시화(영역이건 활동이건)를 특성적으
로 파악하기란 쉽지 않다("urban is everywhere and nowhere; the city
cannot be defined and so neither can urban sociology"). 그 때문에 도
시의 공간적 현상을 'in cities'의 현상(장소적 현상)과 'of cities'의 현상
(사회 내용적 현상)으로 구분한 후, 이 두 부분이 중첩되는 영역에서 일
어나는 사회적 과정을 우리는 현대도시사회에 고유한 것으로 규정할 수
있다. 도시 내에 있으면서 '도시적 활동'이 아닌 예는 외무부의 외교활
동이며, 도시 밖에 있으면서 '도시적 활동'의 예는 도회지로 출근하는
주민들의 활동이다.
(3) 도시의 구성적 차원에 따른 도시적인 것의 연구대상
도시라 하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구성적 차원을 갖는다. 첫째, 비교
적 많은 인구가 한정된 지역에 정주하는 지역적 단위로서 차원, 둘째,
사회관계의 조직적 단위와 형태로서 차원, 셋째, 유사한 가치, 신념, 목
적을 가진 공동체로서 차원이다.
사회학 연구의 주된 대상은 사회조직이다. 사회조직은 안정된 하부구
조로서 인구, 공간, 환경을 바탕으로 형성되지만, 이는 또한 문화적 차
원의 가치, 신념, 상징의 세계 형성에 기초가 되는 반면, 인간관계와 사
회조직의 원리를 제공하는 근원이 된다.
도시사회학은 이상 세 차원의 역동적 상호관련성을 연구하는 학문이
다. 도시사회학은 위의 '도시의 구성적' 측면 어디를 강조하느냐에 따
라 다양한 이론적 전망이 나온다.
(4) 도시사회학의 이론과 학파
지금까지 도시사회학의 학파(혹은 이론)는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발
전해왔다.
· 생태주의 도시사회학: 도시공간의 생태적 분화와 그에 따른 도시
사회의 쟁점을 논의하는 학파로서 1920년대 미국의 시카고 대학
에서 시작되었다 하여 '시카고학파의 도시사회학'이라 부르기도
한다.
· 신베버주의 도시사회학 도시공동체의 사회체제나 권력구조를 연
구하는 학파로서 1960년대 후반 영국의 베버주의 사회학자들에
의해 체계화되었다.
· 신마르크스주의 도시사회학 자본주의 구조하에서 규정되는 도시
의 역할이나 그 구조적 특성(예를 들면 계급구조)을 연구하는 학파
로서 1970년대 프랑스의 마르크스주의 사칙학자들에 의해 체계화
되었다. 일명 '도시 정치경제학이라 부르기도 한다.
· 포스트모던 도시사회학 1980년대 후반에 등장한 포스트모더니즘
의 관점에 의거해 도시의 변모한 특성을 분석설명하는 학파로서
1980년대 미국의 포스트모더니즘을 연구하는 사회학자나 지리학
자들에 의해 연구되기 시작했다.
(5) 정라 도시구성과 토시사회학 이론의 관계
도시사회학은 존재론적 관점, 즉 탐구대상에 관한 관점에서 볼 때는
'도시의 사회에 대한 학문이며, 도시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관점, 즉 인
식론적 관점에서 볼 때는 '도시에 관한 사회학이라 하였다. 이 두 가지
를 통합해서 보면 도시사회학은 '도시의 사회에 관한 사회학적 접근을
취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사회학은 결국 '도시(의) 구성'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차
원에 대한사회학적 혹은 사회이론적 해석과 이해를 시도하는 학문이라
할 수 있다.
도시사회학(이론)은 이 세 차원의 어디에 초점을 두느냐에 따라 상이
한 이론적 전망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도시구성과 도시사회학 간의
관계는 대체로 도시의 역사적 발전과 궤를 같이 해왔다. 근대도시가 물
리적으로 성장 평창하는 시기(대체로 지난 세기 말 금세기 초)에 도시에
관한 사회학적 관심은 대체로 첫 번째 차원, 즉 생태공간적 차원에 집
중되어 있었다. 성장팽창하는 도시에 대한 관심은 도시는 과연 어떠한
법칙으로 분화, 발전하며, 또한 그에 따른 사회적 결과(예를 들면 도시공
간 분화의 사회계층적 의미)는 어떠한 것인지가 우선이다.
그러다가 도시의 성장이 안정기에 접어들면서 그 중요한 양상은 도시
의 물리공간적 차원보다 도시가 함축하고 있는 내부적인 특징, 이를테
면 도시의 근대사회적 구조나 체제(예를 들면 지배체제나 계급구조)와 관
련된다. 도시에 관한 사회학적 관심은 자연스럽게 여기에 맞추어진다.
그러나 도시의 근대사회체제나 구조는 근대화가 더욱 발전심화되면
서 변화를 겪게 된다. 특히 근대화의 양상들이 소비방식의 고도화, 문
화적 의미의 고도화 등과 맞물려 이런 차원에서 두드러지게 되면서 도
시 또한 이런 측면에서 그 중요한 특징을 보이게 된다. 최근 들어 도시
가 탈근대적인 인간관계, 소비법칙, 문화양식 등에 영향을 받게 됨에 따라 포스트모더니즘의 한 현상으로 도시가 이해되고 있는 것은 바로 이런 추
세를 반영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도시사회학이 '생태주의 도시론' -> '신베버주의 도시론' ->
'신마르크스주의 도시론' -> '포스트모던 도시론'으로 발전해온 것은 도
시의 근대적 구성이 변하는 것과 맞물려 사회학적 전망이 거기에 맞게
끝 발전해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회(학)이론으로서 도시사회학에서는
마르크-스, 베버, 뒤르켐과 같은 고전이론가들의 사회이론을 중요한 논
거와 출발점으로 삼고 있다.
*참고문헌
-강현수. 2000, ‘도시관리주의와 소비도시사회학’
-강대기. 1995, ‘현대도시론’, 민음사
-한국도시연구소. 1998, ‘한국도시론’, 박영사
-피터 손더스 지음, 김찬호외 옮김. 1998, ‘도시와 사회이론’, 한울
-권용우 외. 1998, ‘도시의 이해’, 박영사
-김한준 외, 1999. ‘현대도시무제의 이해’, 한길사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3,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1.04.25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17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