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형생성문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위는 언어 수행에 비유된다.
Chomsky에 의하면 언어 능력에는 화용적 언어능력(pragmatic competence)과 문법적 언어능력(grammatical competence)이 있다고 한다.
(9) Today was awful.
(9)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오늘 화자가 처한 상황을 완전히 파악하여야 한다. 다시 말해서 화용적인 배경을 알아야만이 (9)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10) She thinks that Mary is wrong
(10)에서 she가 Mary을 가리키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문법적 언어능력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11) (a) I gave back the car to him.
(b) I gave the car back to him.
(c) I gave him back the car.
(d) I gave him the car back.
(e)'I gave the car to him back.
(?'I gave back him the car.
(lla)~(lId)가 문법적인 문장이라는 것을 원어민은 문법적 언어 능력이있기 때문에 알 수 있고, (file,7가 비문법적인 문장이라는 것을 직감으로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한 개별언어에 대한 언어직관은 그 언어 경에 따라 형성된다.
1.3.7 흔적이론
확대표준이론은 표준이론을 과감하게 수정 보완했지만, 생성의미론는 기본적으로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다. 확대표준이론은 통사부문 의미부문을 구분하여 이론을 전개하고 있으나, 생성의미론은 두 부문 통합된 분야로 보고 있다. Chomsky는 화대표준이론을 한 번 다시 수
하게 되었는데, 그것은 소위 흔적이론(trace theory)이란 것을 적용하되었다. 흔적이론은 표층구조를 이용하여 의미해석이 가능하게 하였따라서 이 흔적이론에서는 표층구조를 논리형식(logic ffrm)으로 전환 킬 수 있는 의미해석 규칙이 있고 논리형식은 다시 의미를 표현하게 는 기저가 된다. 또한 그 흔적이론은 표층구조에 음운규칙을 적용하 음운형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청화자가 사용하는 문법적인 문장을 생시 킨다. Chomsky(1973)가 주장하는 흔적 이론의 원리 를 WH-의 문문을용해서 설명하여 보자.
(12) (a) Your mother will put
WH - 이동
(b) Which violin will your mother put
in the box?
in the box?
WH-의문문을 만들기 위해서 WH-이동 규칙과 조동사 도치를 적용히 심층구조로부터 문법적인 표층구조를 만든다. 따라서 의문문을 형성때, which violin이 이동하여 전치하면, 그 본래의 자리는 공범주로 님
다. 그러면 이런 공범주로 남아 있다는 근거가 있을까?
(13) (a) Who are you going to see
(b) Who are you goHH? see
(c) Who does he want _ to win?
(d) "Who does he wfnHα win?
(e) Who, does he want t, to win?
13a)를 (13b)로 전환하여 donna로 축약할 수 있다. 왜냐하면 who가 남긴 공범주 흔적이 see 다음이기 때문에, 축약하여 donna로 사용해도 문법적인 문장이 된다. 그러나 (13c)를 (13d)로 전환하여 wanna로 축약하면 비문법적인 문장이 된다. 왜냐하면 who가 남긴 공범주 흔적이 want와 to 사이에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want와 to를 축약하여 wanna로 사용하면비문법적인 문장이 된다. 표층구조에서 공범주 (13e)의 역할이란 무엇일까? (13e)에서처림 want와 to사이에 축약을 방지한다. 그래서 만약 want와 to를 축약한다면, (13d)처럼 비문법적인 문장이 된다.
1.3.8 수정확대표준이론
Chomsky는 칫Hrfcri? 7rr77r7r7f을 1957년에 발표하여 초기 변형생성문법에 관한 이론을 창시하였고, 그 후 .7jp77ff ◎f7? r777f? ◎칫HfH7를 1965년에 집필하여 초기 이론에 수정을 가하여 표준이론으로 발전시켰으며 문법 이론의 춘추전국시대의 개막과 함께 생성의미론자의 도전을 받아 Conditions on TransfDrmation란 논문을 1973년에 발표하여 확대표준이론이라는 명칭으로 해석의미론을 확립하였다. 그 후 다시 그 확대표준이론은 흔적이론을 이용하여 복잡한 문제를 설명하고자 했고, 또한 알파-이동(Move-a)을 이용하여 복잡한 제약을 해결하고자 했다. 이런 이론적 기저는 경계이론(bound theory)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1981년에 배결속이론(government and binding theory)을 발표하여 수정화대표준론을 정립하게 되었다. 지배결속이론은 보편문법을 강조하고 개별문을 제한시키려는 의도에서 출발하고 있다. 따라서 여러 언어학자들 문법이론에 맞서 설폭력 있는 언어능력을 보다 풍부한 자료와 증거
이론화 하려는 작업이다. 언어는 문법이고, 문법은 규칙의 집합체이 그러므로 언어학자의 임무는 언어에 존재하는 무한한 규칙을 찾아서 학적으로 논리적으로 기술하는 것이다. 흔적이론의 등장과 함 Chomslfy의 이론은 규칙적용에 대한 일반적인 조건으로부터 표식에 한 일반적 조건으로 변화시켜 취급하게 되었다. 따라서 흔적이론에 한 문장의 창출과정에 대한 유래는 일련의 구절 표식으로 나타내어 문장에 대한 구조계층 표식이 이루어진다. 수정확대표준이론에서는 어휘부의 구절구조규칙이 의미론적 역기능(? 역할)에 의해서 D-구조 유도해 래서, 이에 변형규칙 중 알파-이동을 적용하여 추상적인 중간조인 5-구조를 형성한다. 이런 문장형성 과정은 통사부문에 속한다.
파-이동은 선행사가 동격관계를 흔적으로 나타내는 규칙 체계이다.
휘부는 어휘 항목의 음운적 자질, 형태적 자질, 통사적 범주 자질과 맥의 자질을 열거해 준다. 어휘부는 5-구조에 의미해석규칙을 적용하 논리형태를 나타내므로 5-구조는 논리형태 부문에 속하고, 이런 논리태에 의미해석 규칙(담화규칙, 화용규칙, 인식론적 규칙) 등을 다시
용하여 의미형태로 되게 한다. 따라서 구조적 정보는 복잡하고 의미석이 철저하게 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1.04.26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20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