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사회적 기업과 사회서비스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문제제기

Ⅱ. 한국 복지체제의 변화와 사회서비스

1. 한국 복지체제의 변화

2. 사회서비스부문의 현황과 문제점

3. 사회서비스 확충정책의 쟁점과 과제

Ⅲ. 한국 사회적 기업의 특성과 문제점

1. 사회적 기업의 환경

2. 한국의 사회적경제와 사회적 기업의 특징

3. 한국 사회적 기업의 현황

4. 사회적 기업의 당면문제

Ⅳ. 전망과 과제

1. 경로의 불확실성

2. 대안을 찾아서

참고문헌

본문내용

약직)인 경우, 전자에 비해 후자가 사회적 기업으로 진입하려는 의지가 높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는 정규직 실무자 중 얼마나 많은 사람이 자신의 임금을 희생하고 사회적 기업가의 길을 택할 것인지 반문해 보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이 점에서 사회적 기업가가 진입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러한 변화는 참여자로 하여금 노력을 통해 사회적 기업가로 성장하려는 유인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연대감으로 유지되는 사회적 기업에게도 매우 중요한 것이다.
일곱째, 사회적 기업이 사회서비스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수익과 고용 외에도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 등 다양한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이는 사회적 기업이 안정적으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매우 중요한 지표가 될 것이다.
참고문헌
1. 국내문헌
강혜규 외(2006), 『사회서비스 확충방안 연구』, 보건사회연구원
김신양 편역(2005),『다른 경제』, 실업극복국민재단
김혜원 외(2005), 『사회서비스 분야 일자리 창출방안에 관한 연구』, 노동연구원
김혜원(2007), “사회서비스 분야 사회적 기업은 지속가능한가”, 『월간 노동리뷰』, 2007년 3월
김혜진(2004), “일자리 만들기 사회협약과 사회적 일자리창출 계획 비판 ”, 『사회적 빈곤의 실상과 그 대책에 대한 비판 : 사회적 일자리는 대안이 될 수 있는가?』, 보건복지 민중연대 ‘사회복지와 노동’ 포럼, 2004년 5월 31일
노대명(2001), “서구 사회적일자리 창출정책의 검토와 전망”,『보건사회연구』, 보건사회연구원.
노대명 외(2005), 『사회적 일자리 활성화 및 사회적 기업 발전방안 연구』, 보건사회연구원
노대명(2006), “사회서비스부문 고용창출을 위한 정책과제”, 사람입국일자리위원회,『일자리 창출을 위한 국가 고용전략과 비전 국제심포지엄』발표문, 2006년 7월 14일
노대명(2007), “한국 사회적기업의 환경과 발전전망”, 『드푸르니 초청 사회적 기업 심포지엄』 발표논문, 2007년 3월
신명호(2001),“시장진입형 생산공동체의 경쟁력과 그 요인에 관한 분석”,『도시연구』제7호 2001년 12월.
신명호(2004), “노동부 <사회적 일자리> 제도 문제점과 개선방안”, 『사회적 일자리 발전 방향 모색을 위한 토론회』, 전국실업극복단체연대, 2004년 6월 24일
안상훈 외(2006), “사회서비스 일자리 창출: 외국의 경험과 한국모형 구축의 방향”, 사람입국일자리위원회 워크샵 자료
장원봉(2006),『사회적 경제의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나눔의 집
전병유 외(2003),『사회적 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노동연구원
정경희 외(2006), 『한국의 사회서비스 쟁점 및 발전전략』, 보건사회연구원
정선희(2004),『사회적 기업』, 도서출판 다우.
한상진(2005),『시장과 국가를 넘어서: 사회적 기업을 통한 자활의 전망』, 울산대학교 출판부.
2. 외국문헌
Guy Aznar et. al.,(1997), 『Vers une economie plurielle: Un travail, une activite, un revenu pour tous』, Syros.
Mike Campbell(1999), 『The Third System, Employment and Local Development』, 3 vols., EU Commision
Gilbert Cette et al.(1998), 『Emplois de Proximite』, La Documentation Francaise
Jacques Defourny et. al.(2000), 『Social Economy: North and South』, Centre d'Economie Sociale
Jacques Defourny(2006), "From Third Sector to Social Enterprise: a European Perspectiv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cial Enterprise, Trento, December 12~14 2001
B. Gilain & M. Nyssens(2000), 『Economie Sociale, Enjeux Conceptuels, Insertion par le Travail et Services de Proximite』, De Boeck
Thierry Jeantet(2006), 『Economie sociale: la Solidarite au defi de l'efficacite』, La Documentation francaise
Thierry Jeantet & Jean-Philippe Poulnot ed.(2007), 『L'Economie sociale, une alternative planetaire』, Editions Charles Leopold Mayer
Jean-Louis Laville (sous la direction de) (1998), 『L'Insertion et Nouvelle Economie Sociale』, Desclee de Brouwer
Jean-Louis Laville (1994), 『l'Economie solidaire』, Desclee de Brouwer
Alain Lipietz(2001), 『Pour le Tiers Secteur: L'Economie sociale et solidaire』, La Decouverte.
Patrick Loquet(2000), “Economie Sociale: De l'Insertion a la Solidarite", 『Espace social europeen』, n.516 - 23 au 29 juin 2000
Lester M. Salamon & Wojciech Sokolowski (2001), 『Volunteering in Cross-National Perspective: Evidence From 24 Countries』, Johns Hopkins University.
Lester M. Salamon ed.(2002), 『The State of Nonprofit America』, Brookings Institution Press.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11.05.12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67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