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경제학의 학문적 성격과 위치 및 연구의 필요성, 문화경제학 연구대상과 과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문화경제학의 학문적 성격과 위치

1. 문화의 경제적 특성-문화경제학은 독립된 학문이 될 수 있는가?
2. 문화경제학의 위치와 경제학 연구에서의 역할
3. 문화경제학 연구의 필요성-왜 지금 문화경제학인가?

Ⅱ. 문화경제학의 연구대상과 과제

* 참고문헌

본문내용

02년부터 2005년 사
이의 연평균 성장률은 5.85%로서 같은 기간 GDP성장률 5.7%를 상
회하고 있다. 또한 'Price Warerhouse Coopers'(PWC)의 "Global
Entertainment and Media Outlook: 2006-2010"에 의하면 세계문화
산업은 2010년까지 연평균 6.3%로 성장해 그 해의 시장규모는 1조
8,000억불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일찍이 이러한 현상을 통찰한 A. 토플러는 말한다. "오늘날 문화
는 많은 사람들에게 그저 외경의 염(念)으로 바라보는 대상이 아니
라, 강한 즐거움을 가져다주는 일상의 다반사가 되어-(중략), 우
리들은 예술숭배의 카루트교도(cult)에서 문화교도로 개종하고 있는
중이라 말해도 좋을 것이다." 이와 같이 우리의 일상생활 속 깊
이 파고 든 '경제의 문화화' 및 '문화의 경제화현상'의 확산이야말
로 문화경제학 연구의 첫 번째 의의요 필요성이라 할 것이다.
둘째론 문화산업은 그 범위가 넓을 뿐 아니라 부가가치율이 높
구 고용효과도 크며, 더욱 친환경적인 지속적 성장가능산업이다.
그리하여 오늘날 많은 정부나 지방자치체가 국가발전 및 지역발전
의 중요한 전략으로 삼고 있는 실정이다. 다시 말하면 예술문화활
동은 이제 현대산업의 방아쇠(trigger)가 되어가고 있다. 즉 문화산
업은 방아쇠 산업이 되어가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오늘날에는
국가든, 지자체든, 문화를 제쳐두고 발전을 얘기할 수 없게 되어 있
는 현실이다.
II. 문화경제학의 연구대상과 과제
문화경제학은 국가나 지역사회에서 문화의 향수능력이 높은 주
민(문화의 소비자)을 육성하고, 크리에이터(문화의 공급자)의 창조
활동을 위한 경제적 기반을 마련하며, 코오퍼레이트 아이덴티티
(Corporate Identity)에 의한 제품과 서비스의 질을 높임과 동시에, 시
티 아이덴티티(City Identity)에 의한 주민, 창조자, 기업이 협력해서
문화적인 지역발전을 실행하기 위한 경제적 재 정적인 기초를 연
구하는 것을 과제로 삼는다.
다시 말하면, 문화경제학의 제1의 과제는, 예술의 창조자(creator)
로 하여금 어떻게 질 높은 창조활동을 할 수 있게 할 것인가, 즉 어
떻게 질 높은 예술문화를 공급할 수 있게 할 것인가라 할 수 있다.
이 과제를 위해서는 예술문화단체의 경영실태와 그 바람직한 자세
를 연구하고, 이들 단체나 개인에게 사회는 어떠한 방법으로 얼마
만큼의 자원(자금, 토지, 정보. 인재 등)을 배분할 것인가를 연구하
지 않으면 아니 된다. 여기에는 정부 또는 전문가집단에 의한 예
술 문화에의 직접적인 지원방식(미국을 제외한 앵글로 색슨계의
국가들)과 세제우대와 기부와 같은 간접적인 지원방식(주로 미국)이
있다(제7장 참고).
문화경제학의 다른 하나의 영역, 즉 제2의 과제는 문화의 향수능
력(享受能力)-문화의 소비능력을 높이기 위해서 사회의 자원을 어
떻게 배분해야 할 것인가를 연구하는 것이다. 어느 한사회의 소비
자가 지니고 있는 문화의 향수능력은 그 사회의 "문화사회화"(文化
社會化) 여부를 판가름하는 열쇠가 된다. 수준이 낮은 소비자들만
이 존재하는 곳에서는 질 높은 창조(작)자의 출현을 기대하기 어렵
기 때문이다.
그러면 소비자의 향수능력을 높이고자 하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그를 위해서는 공적교육제도나 생애학습제도의 과정에 문화의 향
수능력 향상에 관한 커리큘럼을 도입하고, 자발적인 감상단체를 지
자체나 공공부문이 지원하는 등, 사회가 소비자의 문화향수능력 향
상에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
소비자의 향수능력이 높아지면 문화의 평가와 창조에 커다란 자
극을 줄 뿐 아니라, 기업과 시(市. 지역)의 CI의 질도 함께 높아지게
되어 기업과 지역사회에 활력을 주고, 마침내는 산업과 지역의 발
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끝으로 위의 두 가지 과제를 포함하여 예술문화의 창조와 발전을
위해 사회는 어떠한 정책을 세워야 하며, 어느 정도의 자원을 배분
할 것인가를 검토하지 않으면 아니 되는데, 이 영역은, 이른바 문화
정책의 영역으로서 문화경제학의 제3의 과제라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 서정교, 2003, 문화경제학. 한올출판사
- 문화관광부, 2007, 문화정책백서
- 정철현, 2005, 문화연구와 문화정책, 서울경제경영
- 서진수, 2005, 문화경제의 이해
- 한국문화경제학회, 2005, 문화경제학만나기
- 문화관광부, 2007, 문화산업을 통한 지역경제발전 모델 제시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6.09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34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