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IT산업의 실상(북한의 전기통신, 이동통신, 전자공업 제품생산, 인터넷 연결 현황)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북한 IT 산업의 실상

Ⅰ. 전기통신

Ⅱ. 이동통신

Ⅲ. 전자공업 제품의 생산

1. 통신기계, 통신케이블
2. 컴퓨터
3. 소프트웨어(SW) 산업

Ⅳ. 인터넷 연결 현황

1. 인터넷에 대한 인식
2. 인터넷망 연결 현황

* 참고문헌

본문내용

첨단 C4 I(지휘-통제-통신-컴퓨터-정보) 체제를 교란하기 위한
자료를 축적하기 위한 의도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현재 북한군
총참모부 예하 정찰국 소속부대에서 인터넷 관련 정보 수집을 하고
있다.
이렇게 북한의 초기 인터넷 사용은 군사적인 측면에서 시작하였으
나 시간이 지나면서 인터넷은 체제와 주체사상을 선전하는 한편 상품
을 판매하고 외국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등의 경제적 이익을 달성하는
수단으로까지 활용하고 있다. 북한의 과학자들도 인터넷이 과학기술
의 발전과 경제성장에 매우 크게 공헌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1996
년 U월에 발간된 과학의 세계J에 '과학연구와 국제정보통신망-인터
네트'라는 글과 '정보고속도로'라는 글에 잘 나타나 있다 "과학의 세
계" 3월호에는 "인터넷에서 리용할 수 있는 주요 기능은 무엇인가"라
는 글을 통해 인터넷의 기능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과학잡
지뿐만 아니라 정치적 성격의 기관지에서도 인터넷에 대한 설명을 찾
아 볼 수 있다. 민주조선 2000년 1월 21일자에서는 "인터넷이란 한마
디로 세계의 통신망을 하나로 연결한 망으로 많은 봉사(서비스)를 받
을 수 있다. " "인터넷을 사용하려면 컴퓨터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어
야 한다"고 설명한다. 일반주민 대상의 북한 언른 매체에서 인터넷 관
련 기사를 취급한 것은 북한 당국의 대단위 전향적인 자세를 보여주
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2) 인터넷망 연결 현활
북한은 2000년 북한 전역에 광케이블을 설치했고 서비스는 2002년
11월에 시작했다. 주로 중국 단동과 신의주 사이에 연결된 광케이블
을 통해 중국 측의 서버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촉하였다. 이 광케이
블은 중국 최대 통신회사인 '차이나 텔레콤(中國電信)'이 관리하고 있
다. 이 광케이블은 신의주<->평양 간에도 연결되어 있어 '조선국제통신
편터'를 통해 평양에서도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이 과정에서
방화벽(Fire Wall)이 설치되어 있어 이용에 한계가 있다. 평양시내에
1GB급, 평양과 지방 간에는 2.5GB의 통신속도를 갖춘 전국적 인트라
넷을 구축했으며, 이에 따라 주민들이 전국 어디서나 김일성종합대학,
인민대학습당 등의 홈페이지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고 한다.
인터넷망이 외부적으로는 거의 폐쇄되어 있지만 내부에서는 통신망
이 구축되어 전자우편을 활용하고 주요 기관의 홈페이지에도 접속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몇몇 대학은 자체적으로 구내정보통신망
(LAN)이 설치되어 있기도 하다. 그러나 접속 서비스 제공자(ISP)가 없
어 인터넷 접속은 불가능하다. 중앙과학기술통보사가 주관하는 컴퓨
터망 정보서비스는 과학기술자료 검색, 전자우편, 파일전송, 전자소식
및 7개 국어 과학기술용어사전 열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 컴
퓨터망에는 김일성종합대학, 인민대학습당, 발명총국 등 여러 기관이
연결되어 있다고 한다.
유엔기구나 외국 대사관 등에서 E데일을 사용하기 위해 인터넷에 접
속할 경우는 국제전화를 사용한다. 그러나 접속 속도가 더디고 대체
로 9.6kbs 미만으로 알려졌다. 북한에서 국제전화 사용료는 1분에 6
달러인데 접속 상태가 나빠 여러 번 시도하기 때문에 60달러 내외가
드는 게 보통이라는 방북자들의 전언이다. 내각의 외무성, 무역성, 대
남기관인 조선로동당 통일전선부 소속 범태평양조선민족경제개발촉
진협회(범태), 조국평화통일위원회, 국방위원회 산하 국가안정보위
부, 인민무력부 정찰국, 연구기관인 조선과학원, 조선콤퓨터센터 등
에 소속된 특수 업무 종사자나 전문가들만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
다. 하지만 비싼 이용료 때문에 이용 빈도는 낮은 것으로 분석된다.
훈넷(주) 등에서 외국인 및 특수계층을 상대로 평양에 PC방을 개설
한바 있으나 비싼 이용료 때문에 활성화되지 못하였다.
2000년 12월 북한의 조선콤퓨터센터를 다녀온 연변과학기술 시찰단
의 전언에 의하면 평양에서 각 도까지 데이터통신 전용회선의 설치를
완료했다고 전했다. 속도나 망구성 등에 대한 내용은 상세하게 알려지
지 않고 있다. 이에 비해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정보화에서도 북한
군은사회의 일반적 수준보다 훨씬 앞서 있다. 모든 사단-여단 단위까
지 컴퓨터로 연결돼있는 반면, 노동당과 국가보위부, 사회안전부 등은
최근에 컴퓨터 연결을 추진하고 있다고 한다.
북한은 각급 기관의 전산망 구축과 PC 보급 확대를 위해 신형컴퓨
터와 통신관련 장비의 도입을 추진하였다. 1998년에는 중형 서버 13대,
486급 이상 PC 2,500대와 노트북 225대와 근거리 전산망(LAN)용 기기
를 수입하였다. 1999년 들어서는 8월까지 586급 PC 3,800여 대 및 노트
북 400여 대를 도입한데 이어 중국을 통해 미국 컴팩사의 전산망 관리
용 중형컴퓨터 200대 (총 200여만 달러)를 도입하였다. 1999년 6월에는
마카오를 통해 컴퓨터 통신을 무선으로 할 수 있는 미국제 컴퓨터 통
신장비 1세트를 도입하는 등 전산망 부대장비 확충에도 주력하고 있
다. 이와 같은 북한의 컴퓨터 대량도입 추진은 북한의 전체 컴퓨터 보
급대수가 7만 5,000대에 그치고 있는 데다 보급 기종도 286급 이하가
65%를 차지하는 실정에서 불가피하다. 특히 북한이 586급 컴퓨터를 본
격적으로 도입하여 노동당 및 인민무력성 등에 집중 배치하기 시작한
것은 통신체계를 개선하여 인터넷 활용시대에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주목된다.
현재 북한의 인터넷 사이트는 '조선중앙통신,''우리민족끼리,''구국
전선,''백두산' 등이며 서버 소재지는 중국, 일본, 미국에 두고 있다.
이 중 '조선중앙통신'은 노동신문, 김정일 노작, 공식문건 및 자료, 남
북관계 기사, 헌법, 자사 기사 등을 게재하고 있다.
* 참고문헌
- 고경민. 북한의 IT 전략.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 박순성. 북한의 경제와 한반도 통일. 서울: 풀빛. 2003
- 동용승 · 이정철. 북한경제 변화의 조짐과 시사점. 2002
- 문성민. 북한의 금융제도. 서울: 한국은행. 2000
- 김영수 외. 김정일시대의 북한.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 북한경제연구소. 북한경제의 현황과 전망.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3,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1.06.15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44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