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해경』에 나타난 육체적 그로테스크 한국 현대시에 어떻게 적용되었는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산해경』에 나타난 육체적 그로테스크 한국 현대시에 어떻게 적용되었는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서론
2. 『산해경』에 나타난 육체적 그로테스크
2.1 ‘먹음’의 그로테스크
2.2 ‘과장, 왜곡, 중첩’의 그로테스크
3. 한국 현대시에 적용된 육체적 그로테스크
4. 결론

본문내용

2009, 우리말글학회 우리말글 제47집 453-481p
여기서 ‘산모와 공장지대’, ‘굴뚝과 나’의 간통은 ‘무뇌아’의 생산이라는 결과로 이어진다. 이것은 『산해경』에서 ‘패패어를 먹음으로써 사람을 죽이게 된다.’와 같이 도출되는 결과로 인해 더욱 그로테스크해 지는 것이다. 즉, 위 시 역시 ‘산모와 공장지대’, ‘굴뚝과 나’의 간통을 통해 낳는 ‘무뇌아’를 통해 더욱 그로테스크해진다.
온 몸의 살이 썩고
온몸의 뼈가 허물어져서
재 밑의 재로 나는 돌아가리라
지금은 살이 썩고 곪아도
손으로 다 긁지 못하지만
터뜨리지 못하는 고름주머니 육신의
심한 가려움증도 그 재의 밤엔 다 나아 있으리
온몸의 살이 썩고
온몸의 뼈가 다 허물어져서
재 밑의 재로 나는 돌아가리라
-최승호『희저』부분
위 시에서 우리는 육체적 그로테스크가 시의 본질적 의미와 맞닿은 개념이면서, 현실의 잔혹함을 확대경이나 현미경으로 비추듯이 부각시키는 묘사와 재현의 방식이면서, 핍박받아온 피지배 계급의 회환, 한탄을 잘 표현해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4. 결론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산해경』에서 나타나는 육체적 그로테스크는 한국 현대시에 여러 가지 모습으로 적용되었음을 밝힐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점은 많은 현대시에서 현실에 대한 대항의 수단으로 ‘육체’를 선택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물론『산해경』과 한국 현대시의 육체적 그로테스크 모두 신체에 대한 변형을 꾀한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가지나 『산해경』에서는 그로테스크 기법을 통해 나타나는 대상의 의미가 대상에 한정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제한되어 있는 반면, 현대시의 경우에는 이러한 기법을 통해 의미가 대상에 머물지 않고 사회에 대한 풍자, 고발과 같이 밖으로 의미가 뻗어나가고 있다는 점에서는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현대시의 그로테스크는 폭력적이고 잔혹한 현실, 각박한 사회적 관계를 폭로한다는 점에서 보다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즉, 현대시에서의 그로테스크는 현실을 ‘똑바로’보여줌으로써, 오히려 ‘낯설게 보여주기’의 효과를 가지게 된다고 할 수 있다.
<참고 문헌>
-이재복,『한국 현대시와 그로테스크』, 2009, 우리말글학회 우리말글 제47집 453-481p
-임호준,『'그로테스크 육체' : 니에바와 알모도바르의 그로테스크 리얼리즘』, 2000,
한국스페인어문학회 스페인어문학 Vol.17, No.0, 455-467p
-정재서,『<산해경>의 시적 변용 -도연명에서 황지우까지』, 1998, 한국중국학회 중국학보 Vol.38, No.0, 197-217p
-조영복,『공포 체험의 시적 변용과 그로테스크의 시-고석규론-』, 1994, 한국현대문학회 한국현대문학연구 제3집 197-220p
-최성민,『그로테스크와 엽기의 주제사』, 2009, 현대문학이론학회 현대문학이론연구 Vol.39, No.0, 275-294p
-홍윤희,『<산해경>의 상징체계와 그 의의』, 2000, 한국중국소설학회 중국소설논총
제11집 149-159p
-필립 톰슨, 김영무 역,『그로테스크』, 1986, 서울대학교 출판부, 15-17p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7.03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77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