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염병의 역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1
1.1 전염병이란 무엇인가 1
1.2 전염병의 국내 분류법 2

2. 역사속에서의 전염병 3
2.1 연대기별 전염병 3
2.2 파급력 강한 전염병들 4
2.2.1 페스트(Plague) 5
2.2.2 천연두(Smallpox) 6
2.2.3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AIDS) 7
2.2.4 인플루엔자(Influenza) 7

2.3 무기로써의 전염병 9

3. 결론 9



그림 목차

그림 1 법정 전염병의 보고 체계 3
그림 2 페스트 균을 형광염색으로 관찰한 결과 5
그림 3 페스트의 확산경로 6
그림 4 천연두에 걸린 소아 6
그림 5 HIV 바이러스의 구조 7
그림 6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구조 7

본문내용

반적인 감기증상과 더불어 붉은 반점의 피부 발진이 구강, 인두를 중심으로 발생하여 몸통과 다리로 퍼져나가게 된다.
천연두는 결국 백신에 의해서 사라진다. 제너는 천연두를 연구하면서 소들이 천연두와 비슷한 우두를 겪는 것을 보았다. 한번 우두를 겪었던 소들은 다시 우두에 걸리지 않는다는 것에 착안하여 우두를 체내에 접종하면 인체에 천연두가 발병하지 않을 것이라 보았다. 하지만 이것을 증명하려면 실험을 통해 증명해야하는데, 사람들은 우두 접종에 대한 공포심을 지니고 있어 백신 연구가 진전되지 않았다. 어쩔수 없이 제너는 자신의 아이들에게 우두를 접종하여 유사천연두의 증상을 유도하였고, 한번 앓고난 아이들은 천연두에 걸리지 않았다는 것을 실제적으로 보이게 되었다. 이후 천연두에 관한 백신이 보급이 되면서 천연두에 대한 공포도 조금씩 사그라졌다. 이후 1977년에 보고된 천연두를 끝으로 더 이상 인류사에 천연두가 등장하는 일은 없어졌다.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AIDS)
1980년대 초 뉴욕과 캘리포니아의 의사들은 몇몇 동성애자 남성들이 희귀한 질병을 앓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처음에는 아프리카 흑인과 지중해 백인에게 국한되어 발생하는 일종의 피부암인 카포시 육종이었다. 에이즈 감염자의 혈액을 조사한 결과, 1983년 Luc Montagnier와 Robert Gallo는 바이러스에 의한 것이라는 것을 밝혀내었다. 하지만 1985년에 에이즈 환자가 미국과 아프리카 전역에서 기하급수적으로 급증하였다.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은 Human Immunodefiency virus type I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아직까지 명확한 치료방법이 없는 전염병이다. 인플루엔자와 마찬가지로 바이러스에 의해 전파가 된다. 이 바이러스는 고약하게도 인간의 면역시스템을 공격하고 들어가서 점진적으로 면역체계가 발동하지 않도록 지시한다. 더욱이 감염이 된 직후 3-6주간 발열,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난 후 회복되는 것이 아니라 잠복기를 거친 후 자신도 모르는 새에 증상이 다시 나타나기 시작한다. 사실 HIV 자체만으로는 죽지는 않지만 무서운 것은 HIV 감염 후에 걸리는 병에 대해 면역체계가 발동하지 않아서 가벼운 질병이라 하더라도 그것을 수복하지 못하여 죽음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다. 감기로 사람이 죽는 건 굉장히 억울하지 않을까. HIV가 바로 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인플루엔자(Influenza)
인플루엔자는 바이러스에 의해 매개되는 전염병으로 페스트 이후의 중세에서 중요한 인간 전염병이었다. 1918년 Spanish flu라 불리는 사건은 전 세계적으로 200만의 인구를 몰살시켰다. 이 인원은 제1차 세계대전의 사상자보다 많은 수치이다. 현재에는 백신과 항바이러스제 덕분에 퍼지지 않지만 인플루엔자는 매년 많은 사람을 죽음으로 몰아넣은 병이다. 주요한 원인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껍데기의 단백질이 조금씩 바뀌어 면역계를 피할 수 있거나 단백질 안의 내용물인 RNA의 유전정보가 다양화되기 때문이다. 높은 열과 인후통, 기침, 두통 등의 증상을 동반하며 영유아에게는 치명적일수 있고, 종종 박테리아의 이차감염으로 일어나기도 한다. 일반적인 감기와 인플루엔자를 구별하는 방법으로는 침대에서 나올 수 있느냐 마느냐 하는 것이다. 증상이 너무 심해 침대 밖으로 나올 수 없으면 그것은 인플루엔자일 가능성이 높다. 인플루엔자에 의한 유행성병은 10년에서 50년 정도로 부정기적인 발생을 하였다. 1918에 일어난 Spanish flu를 비롯, 북미에서 6만의 사상자를 낸 1956의 Asian flu와 1967년 Hongkong flu 같이 말이다.
인플루엔자가 전염병으로써 큰 영향을 미치게 된 데에는 인플루엔자의 구조적인 쇄신이 한몫을 하였다. 구조적으로 살펴보면, 일반적인 바이러스는 직접적인 발병 원인이 되는 내용물과 내용물을 감싸는 코트단백질로 구성된다. 인플루엔자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코트단백질 안의 내용물이 숙주의 세포로 옮겨가서 증폭되어야한다. 이후 숙주의 세포내에서 새롭게 복제된 내용물이 코트단백질에 감싸져 새로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되는데, 이 과정에서 내용물의 구성이 달라질 가능성이 존재한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플루엔자의 내용물은 세포내에서 단백질을 만들 수 있는 재료인 RNA인데, 유전체의 복제가 A -> A가 되지 않고, A -> B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다양성이 계속해서 새로운 백신을 만들어야하는 이유가 됨과 함께, 인플루엔자가 전염병으로써 전 연대기를 통틀어 종종 나타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인플루엔자는 예방접종으로 발병을 막을 수 있으며 매년 새로운 인플루엔자 백신이 만들어지고 있다. 백신 제조에 사용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감염성을 보이지 않게 비활성화 시킨 것이다. 백신 접종으로 성인의 60-90%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발병을 억제할수 있다.
무기로써의 전염병
인간 감염원이 무기로써 사용된 것은 오래된 이야기이다. jeffery amherst는 아메리카 원주민에 대항하기 위해 천연두를 이용하였다. 그 때문에 페스트와 탄저병이 미국에 퍼지게 되었다. 최근 오레곤 주에서는 살모넬라균이 식당의 샐러드 바에 잠복하고 있다가 많은 사람들을 죽음으로 몰아넣었다. 2001년에는 탄저병균이 묻은 우편이 배달되기도 하였다. 생물학적 테러로써 사용되는 것들을 살펴보면 탄저병(Anthrax), 보툴리누스중독증(Botulism), 흑사병(Plague), 천연두(Smallpox), 야토병(Tularemia), 바이러스성 출혈열(Viral hemorrhagic fever)등이 있다.
맺음말
전염병은 이 세상이 존재하는 한 끊임없이 생존하고 자가발전하여 전파된다. 인간의 과학 기술 수준이 높아진 후로 심지어는 전염병을 무기로써 사용하는 예시도 찾아볼 수 있다. 전염병은 정치적, 사회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사용법에 있어서 정치적, 군사적인 목적을 떠나 순수하게 의료적인 목적으로 연구되어야하며 인류의 건강을 보전하는데에 주력해야한다. 또한 전염병의 연구를 통해 인류 복지의 수준을 향상시키고 전염병을 극복할 수 있는 과학 기술의 발전도 도모되어야 할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8.25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74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