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나는 성(性)의 노래와 이야기 (쌍화점, 만횡청류, 거사가, 오자조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재미나는 성(性)의 노래와 이야기 (쌍화점, 만횡청류, 거사가, 오자조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쌍화점
(1) 쌍화점 원문
(2) 쌍화점 현대어 풀이
(3) 시어 분석
(4) 시구 분석
(5) 작품 전개
(6) 쌍화점 특징
(7) 쌍화점 의의
(8) 쌍화점 감상

2. 만횡청류
(1) 만횡청류 원문
(2) 만횡청류 현대어 풀이
(3) 만횡청류 작가소개
(4) 만횡청류 특징
(5) 만횡청류 의의

3.거사가
(1)居士歌(樂府)
(2) 거사가 현대어 풀이
(3) 거사가 특징
(4) 거사가 해설

4.기평시율

5.오자조부
(1)오자조부 감상
(2)성이야기의 유형과 그 의미

본문내용

(재미나는 성性의 노래와 이야기)
1. 쌍화점
(1) 쌍화점 원문
*책 참조
(2) 쌍화점 현대어 풀이
만두집에 만두 사러 갔더니만회회(몽고인) 아비 내 손목을 쥐었어요이 소문이 가게 밖에 나며 들며 하면다로러거디러 조그마한 새끼 광대 네 말이라 하리라더러둥셩 다리러디러 다리러디러 다로러거디러 다로러그 잠자리에 나도 자러 가리라위 위 다로러 거디러 다로러그 잔 데 같이 답답한 곳 없다
삼장사에 불을 켜러 갔더니만그 절 지주 내 손목을 쥐었어요이 소문이 이 절 밖에 나며 들며 하면다로러거디러 조그마한 새끼 상좌 네 말이라 하리라더러둥셩 다리러디러 다리러디러 다로러거디러 다로러그 잠자리에 나도 자러 가리라위 위 다로러거디러 다로러그 잔 데 같이 답답한 곳 없다
두레 우물에 물을 길러 갔더니만우물 용이 내 손목을 쥐었어요이 소문이 우물 밖에 나며 들며 하면다로러거디러 조그마한 두레박아 네 말이라 하리라더러둥셩 다리러디러 다리러디러 다로러거디러 다로러그 잠자리에 나도 자러 가리라위 위 다로러거디러 다로러그 잔 데 같이 답답한 곳 없다
술 파는 집에 술을 사러 갔더니만그 집 아비 내 손목을 쥐었어요이 소문이 이 집 밖에 나며 들며 하면다로러거디러 조그마한 시궁 박아지야 네 말이라 하리라더러둥셩 다리러디러 다리러디러 다로러거디러 다로러그 잠자리에 나도 자러 가리라위 위 다로러거디러 다로러 그 잔 데 같이 답답한 곳 없다
(3) 시어 분석
① 쌍화(雙花) - 쌍화(雙花) 혹은 상화(霜花)는 상화의 음역으로 만두를 가리키는 말이다. 양주동, 박병채는 쌍화를 만두, 최철은 만두는 새끼광대와의 연결이 자연스럽지 않으므로 타당하지 않다고 보고, 전체의 대응관계(雙花店 …… 雙花…… 回回아비…… 삿기광대)를 고려해 회회(回回)아비를 삿기광대에 대응하는 어른(큰)광대로, 쌍화는 광대들이 파는 물건, 따라서 쌍화점은 광대들의 연희와 관계되는 도구를 파는 상점으로 상정했다.
② 회회(回回)아비 - 그동안 통설(通說)은 ‘몽고인’, ‘색목인(色目人)’, 혹은 ‘서역인’으로 알아왔으나 혹자는 몽고인이 아닌 ‘아라비아 상인(商人)’으로 해석했다. 회회교(回回敎)라는 말에서 파생된 말로 이슬람교를 믿는 아라비아인이라는 뜻으로 본 것이다. 정병욱은 ‘외국군인’로 보기도 했다.
③ 주여이다 - 양주동은 주(握)의 원훈(原訓) ‘주’의 연용형 + ‘이다’ 라고 보며, 김형규는 ‘쥐다’ 의 감탄형 ‘주’ + 감탄형 어미 ‘여이다’로 해석했다. 박병채는 ‘주여’ + 존칭 서술형 어미 ‘이다’로 ‘쥐었습니다’로 보고 있다.
④ 죠고맛간 - 최철은 ‘죠고맛간’이 의미를 ‘사건이 일어나는 공간에 속해 있으면서도 별로 비중이 크지 않은 존재이기 때문에 어디서나 신뢰받기 힘든’으로 유추하고, 남들의 입방아에 오르내리게 된 여인이 소문을 일축하기 위해 삿기광대나 삿기상좌와 같은 보잘 것 없는 애들이 지어낸 말이라고 얼버무리는 모양을 나타낸 것으로 보았다.
⑤ 거츠니 - 답답한 것, 우울한 것. / 거친 것이, 정돈되지 못하고 어수선한 것이→전자는 답답함과 우울함으로 , 후자는 지저분하고 어수선한 풍경묘사 또는 난잡한 性交의 묘사 등으로 느껴진다.20)
⑥ 우믓龍 - 충렬왕을 비유 드레박 - 두레박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10.12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78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