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보고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영화소개 ……………………………………… 1 - 2
1) 영화소개
2) 수상내역
3) 감독소개
4) 줄거리


Ⅱ. 영화분석 ……………………………………… 3 - 10
1) 내러티브
2) 공간과 구도
3) 조명과 색조
4) 촬영기법
5) 음향
6) 그 외의 장면


Ⅲ. 결 론 ……………………………………… 10

본문내용

등장인물들의 심리와 분위기가 이 작품전체의 어두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만드는 핵심이었다고 할 수 있다.
슬로우 모션
여러 가지 영화 분석의 틀이 집약적으로 드러나는 부분이 마지막 ‘la dolce vita'에서의 총격 신이다. 이 신은 영화 전체의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는데, 본격적인 총격신이 시작되기까지의 과정은 영화 내에서 긴장감을 최고로 고조시키는 가장 느와르적인 장면이라고 할 수 있다. 먼저 이병헌이 ’la dolce vita'로 들어가기 전까지의 장면은 이 영화 속에서 유일하게 슬로우 모션으로 촬영 기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끝까지 가버린’ 이병헌의 선택이 더 이상 돌이킬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음을 상징적으로 잘 나타낸다. 즉, 복도를 돌아서 ‘la dolce vita'로 들어서는 이상 파국의 결말로 흘러갈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이병헌의 비장감과 그에 따른 무거운 발검음의 느낌을 슬로우 모션으로 적절히 잡아냈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이병헌이 나락으로 떨어지기 시작한 순간부터 빠른 호흡의 긴박한 극 전개에 몰입해왔던 관객들은 이 장면에서 ‘상대적인 느림’때문에 이병헌의 비장한 심정에 한층 더 동일시하게 된다.
5) 음향
달콤한 인생은 시작부분에서 이병헌의 나레이션으로 시작한다. 바람에 흔들리는 대나무와 선문답을 던지는 고사를 들며 영화는 시작된다. 또한 마지막 장면에서도 이병헌의 나레이션으로 끝을 맺는다. 나레이션의 장면을 자주 보여주는 것은 느와르적 영화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총격 신과 액션신에서 눈에 띄는 비주얼 만큼 그에 상응하는 음향효과는 느와르 영화의 느낌을 물신 풍기게 해준다. 마지막으로 선우의 감정선 변화와 행동반경 내내 영화를 보조하면서 황량하고 비정한 세계를 보여주는 감각적인 소리를 표현했다. 영화에서 이병헌에게 보스의 연인인 신민아가 보스 말고도 다른 남자를 만나는 장면을 들키기 직전 녹음을 한 곡이 바로 로망스인데, 노래를 통해 이병헌의 달콤한 꿈은 이루어 질 수 없음을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6) 그 외의 장면
거울신
영화의 시작과 끝, 복수를 결행하기 직전 등 중요한 순간에는 모두 거울 신이 사용되었다. 거울이란 기본적으로 무엇인가를 비춰주는 물건이고, 이는 영화에서 깨우침의 단적인 이미지로 사용되었다. 영화의 도입부에 사용되었던 거울신은 이병헌의 현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영화에서의 거울 신들은 성찰적 모티브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고 있는데, 그것은 바로 ‘운명’에 관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호텔 크라운에 들어서서 복수를 시작하는 부분과 김영철과의 대립 장면에서 그를 쏘기 직전 이병헌은 거울을 쳐다본다. 같은 공간에서 완전히 다른 모습을 보여주는 상황이다. 도입부의 거울신이 자족적이라면 후반부의 거울신은 완전히 반대되는 추락하는 이미지를 보여준다. 그리고 모든 상황이 종료된 후, 영화의 크레딧이 올라가기까지 다시 한 번 거울에 비춰진 이병헌의 모습이 나오는데, 이 역시 도입부 장면과 거의 일치하는 장면을 삽입함으로써 영화 구조상의 완결성을 더하는 동시에, 다시는 돌아갈 수 없는 과거의 때를 상기시킴으로써, 운명에 대한 상징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병헌은 거울 앞에서 섀도우 복싱을 하는데, 이는 거울에 비춰진 자신의 모습 즉, 허상과도 같은 자신에게 던지는 또 하나의 메시지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운명’의 성격과 맞닿아 있는 영화 속 거울 신들은 한 인간의 욕망과 그 허무한 부침을 강조해주는 역할을 하며, 파국적 결말에 이르게 된 영화의 느와르적 느낌을 살리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바람신
나무 한 그루가 서 있고, 그 나뭇가지가 바람에 흔들린다. 그리고 이병헌의 책을 낭독하는 듯한 목소리가 들린다. "어느 맑은 봄날, 바람에 이리저리 휘날리는 나뭇가지를 바라보며 제자가 물었다. 스승님, 저 것은 나뭇가지가 움직이는 것입니까, 바람이 움직이는 것입니까? 스승은 제자가 가리키는 곳을 보지도 않은 채 웃으며 말했다. 무릇, 움직이는 것은 나뭇가지도 아니고 바람도 아니며 네 마음뿐이다" 이 선문답은 사실상 이 영화 전체의 줄거리이다. 또한 앞으로 이병헌의 마음이 신민아에게 흔들릴 것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둘의 첫 만남에서 자동차 창 너머로 나뭇가지가 바람에 흔들리는 모습이 비춰지고, 차에서 내렸을 때 갑자기 바람이 불어 먼지가 강하게 흩날린다. 또한 이병헌이 첼로 연주하는 신민아의 모습을 지켜볼 때, 도입부에 나무가 흔들리는 장면이 다시 한 번 스쳐간다. 이는 모두 이병헌의 마음이 신민아에게 흔들리고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라고 할 수 있다.
Ⅲ. 결론
이렇게「달콤한 인생」은 정통 느와르를 표방한 ‘한국형 느와르’로서의 다양한 공식들과 관습 들을 차용하고 있다. 영화의 내러티브가 느와르 적이며, 영화 전반에 걸쳐 무겁고 어두운 분위기를 구성하는 촬영 기법과 미장센 역시 느와르 영화다운 선택이었다고 할 수 있다. 글의 서두에 언급했듯이 느와르라는 장르는 1940년대 미국의 시대적 상황과 결부하여 생겨난 하나의 주제적분위기적 관습이라고 할 수 있으며, 정통 느와르와는 또 다른 방식으로 지구 반대편에서 큰 인기를 끌었던 경향이 홍콩 느와르였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두 경향 사이의 접점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두 경향으로부터 소재나 분위기 또는 주제적인 요소를 차용한 복합적이고 새로운 경향이 바로 ‘한국형 느와르’라고 정의해 볼 수 있다. 다시 한 번,「달콤한 인생」은 감독의 의도했던 것처럼 정통 느와르의 느낌을 다수 차용한 ‘성공적인’ 한국형 느와르였다. 이 영화에는 감독 특유의 색채 감각을 담아낸 화면구성이 있으며, 돌이킬 수 없는 운명이라는 주제 의식과 결부되어 꿈과 관련된 선문답을 던짐으로써 그 감성을 잘 살려내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주제 의식은 완결성 높은 서사구조 속에 적절한 기법으로 촬영됨으로써 영화 속에 적절히 녹아 들어가 있다. 그렇다면「달콤한 인생」은 김지운이라는 자기 색깔 뚜렷한 감독과 스텝, 배우들의 연기력이 적절히 조화를 이룬 한편의 예술적인 ‘한국형 느와르’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1.12.14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04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