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직접투자] 해외직접투자의 개념과 유형(분류) 및 결정요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해외직접투자의 개념과 유형

Ⅰ. 해외직접투자와 다국적기업

1. 해외직접투자의 개념
2. 해외직접투자와 다국적기업의 차이점

Ⅱ. 해외직접투자의 유형과 결정요인

1. 전략적 동기에 의한 분류
1) 시장지향형 직접투자
2) 생산효율지향형 직접투자
3) 기술(지식)지향형 직접투자
4) 자원지향형 직접투자
5) 기타
2. 산업조직론적 분류
1) 수직접 통합형
2) 수평적 통합형
3) 다각적 통합형
4) 산업간, 산업내 직접투자

Ⅲ. 투자국별 분류

1. 미국형, 일본형 직접투자
2. 제3세계형 직접투자
3. 국가별 유형의 평가

본문내용

오 등의 전기기기)에 거시적 국민경제적 관점에 입각하여 진출한다.
3> 투자지역도 대부분이 개도국이며 소유정책도 합작투자의 형태를 선호한다. 고지마는 이러한 해외직접투자의 유형화를 통하여 미국형 투자를 역무역지향형 투자(anti-trade oriented type)로 일본형 투자를 무역지향형 투자(trade oriented type)로 규정하였다
먼저 미국형 직접투자가 역무역지향적이라는 것은, 미국의 투자는 비교우위라는 거시적 국민경제적인 관점을 무시하고 독과점기업들의 이윤극대화를 위한 첨단산업에서의 시장지향적 투자였기 때문에 이것은 결국 자국의 비교우위의 손실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현지국과의 마찰 등을 일으킴으로써 미국의 무역을 저해할 것이라는 것이다.
반면 일본형 직접투자는 투자의 대부분이 자원산업에 집중되었으므로 독과점기업에 의한 시장확대와 이윤추구보다는 일본의 비교열위를 보완하는 방향의 투자가 이루어졌다. 또한 표준화된 기술산업이나 비교우위가 약화된 산업에서 투자가 행하여져 거시적 국민경제적 관점에서 볼 때 자국의 산업구조조정은 물론 현지국의 공업화에도 기여함으로써 다분히 비교우위구조의 보완적 또는 무역지향적이었다는 것이다.
요약하면 미국형 직접투자는 굳이 첨단산업의 기업이 해외로 진출하지 않더라도 미국내에서 수출이 이루어져 왔고 해외진출로 인해 미국내의 수출이 자회사 수출로 대체된다. 즉 이는 세계 전체적으로 보면 교역량이 불변이다.
반면 일본형 직접투자는 일본내에서 경쟁력이 없어 수출이 이루어지지 않던 기업이 해외로 진출하여 현지국의 저렴한 노동력과 결합하여 수출경쟁력을 갖게 된다. 이 경우 현지국의 새로운 수출이 창출되어 세계 전체의 교역량이 증가하게 된다.
2) 제3세계형 직접투자
제3세계 다국적기업(the third world multinationals)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어서 제3세계 다국적기업의 특징과 우위 면에서 선진국 다국적 기업과 다른 차이점이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가 많이 나오고 있다. 주로 한국, 대만, 홍콩, 인도, 브라질 등 신흥공업국을 중심으로 한 국가들의 다국적기업을 기존의 선진국 다국적기업과 구분하여 제3세계 또는 개도국 다국적기업이라고 한다. 이들은 1970년대 중반이후 해외투자를 본격화하여 본국보다 기술수준이 낮은 국가뿐만 아니라 선진국시장에도 직접 뛰어 들어 현지생산공장을 설립함으로써 선진국기업과 경쟁하고 있다. 제3세계 다국적기업의 특징으로 주로 지적되고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1) 해외직접투자의 대상지역이 대부분 개도국이다. 이는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 다국적기업이 대부분 선진국에 투자를 하고 있는 것과 대조를 이루고 있다.
(2) 제3세계 다국적기업은 일반적으로 합작투자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웰즈(L. T. Wells)에 의하면 조사대상 제3세계 다국적기업의 자회사 중 91%가 합작투자형태인데 비하여 미국기업은 그 비율이 40%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 이유는 제3세계 다국적기업의 해외투자를 받아들이는 대부분의 개도국들이 합작투자를 정치적 법적으로 요구할 뿐만 아니라 개도국 기업들 스스로도 기업자원의 부족, 정치 경제적 불안정성 등 대상개도국의 투자환경을 고려하여 단독투자보다 합작투자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3) 제3세계 다국적기업의 해외투자는 지리적 근접성(geographic proximity)을 가지고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접국가에 투자하는 경향이 높다. 동남아시아의 다국적기업이 해외에 설립한 494개의 제조자회사 중 428개가 동일지역에 있었으며, 남미의 경우 157개 해외자회사 중 118개가 동일지역에 있었다는 웰즈의 연구결과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4) 제3세계 다국적기업은 대부분 기존 수출시장에 관세 또는 비관세장벽이 설치되거나 선진국기업의 진출이나 현지국내 기업의 성장으로 수출시장이 위협받게 됨에 따라 기존시장을 방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해외직접투자(defensive investment)를 한다.
최근에는 중국, 인도, UAE 등과 같이 잉여 외환보유액으로 만든 국부펀드(national we린th fund)를 이용하여 선진국 기업을 M&A 시키는 새로운 제3세계형 다국적기업이 활발하다. 선진국마저 개도국의 국부펀드에 의핀 피인수를 두려워하고 있는 실정이다.
3) 국가별 유형의 평가
그렇다면 일본형과 미국형 투자로 분류한 고지마의 주장과 제3세계형 투자에 대한 웰즈 등의 연구는 어떻게 평가될 수 있는가? 적어도 크게 다음의 두 가지 관점에서 분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이러한 분류가 과연 오늘날의 미국투자와 일본투자 및 제3세계 투자의 현실을 잘 설명해 주고 있는가 내지는 과연 그러한 분류가 가능한가라는 실증적 문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가) 각 국가별 투자특성이 뚜렷이 나타나며 그 특성이 각 국가의 고유한 현상인가, 그렇지 않다면 각 국가별 경제발전 단계의 차이를 반영한 일시적 현상인가?
나) 국가별 투자유형이 경제발전 단계 내지는 역사적으로 제3세계 투자형 -> 일본형 투자 -> 미국형 투자로 발전할 것인가?
다) 일본형 투자나 제3세계형 투자가 미국형 투자와 다른 우위는 무엇인가?
라) 미국형 투자를 설명하기 위해 개발된 기존이론들이 일본형과 제3세계형 투자를 설명하는 데 계속 유용한가? 만약 그렇지 않다면 일본형과 제3세계 다국적기업을 설명할 독자적 이론은 무엇인가? 등의 문제가 연구대상이 된다.
2> 이러한 투자유형의 분류가 타당하다고 할 때 이러한 유형의 투자는 어떠한 경제적 평가를 받을 수 있는가의 규범적 문제이다. 특히 미국형 투자와 일본형 투자와 관련하여 과연 고지마가 주장하는 대로 일본형 투자가 미국형 투자보다 투자당사국이나 세계경제에 더 바람직한가라는 규범적 문제이다.
이상의 국가별 유형의 구분은 글로벌 경제하에서 선진국과 개도국의 상호직접투자가 활발하게 일어나는 등 설득력이 약하다. 1970년대 고지마의 일본형과 미국형 직접투자 구분도 1980년대 이후 일본형이 미국형 직접투자를 담아가고 있다는 많은 연구가 있었다. 또 제3세계 개도국의 직접투자도 개도국뿐 아니라 선진국으로도 투자가 이루어져 사실상 국가별 구분의 특성이 모호해지고 있다.
  • 가격3,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2.02.27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04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