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수도원과 수도사의 생활, 기독교의 전파, 수도사 생활, 러시아 수도원, 특징, 현황, 사례, 관리, 역할, 기법, 시사점, 나의견해, 총체적 조사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기독교의 전파

3. 수도사의 생활

4. 수도원

본문내용

외운 후 세 번째 종소리와 함께 식당 안으로 들어갔다. 식사 전에 수도사들은 감사기도를 올렸으며 수도원장의 신호에 따라 말없이 먹기 시작했다. 수도사들은 하루에는 보통 점심과 저녁 이렇게 두 끼의 식사를 했으며 금식 기간에는 한 번의 식사를 하였다. 식사의 메뉴는 주로 죽이나 수프 종류였으며 육류는 아예 제외되었다. 그러나 생선은 허용되었으며 모든 알코올성 음료가 금지되었음에도 맥주는 허용되었다. 식사 후 수도사들은 시편을 노래하며 성전으로 걸어간 뒤 성전 앞에서 기도를 한 후 자신들의 방으로 흩어졌다. 여기서 방이란 벽에 고정된 긴 의자 겸 침대를 제외하고는 아무 가구도 없는 빈 방을 의미한다. 이곳에서 수도사는 고행과 기도를 하고 성서를 읽으며 시간을 보내게 된다. 이와 더불어 자신이 맡은 일도 성실히 수행하여야 했다. 수도원 안에서의 모든 일은 수도사들이 직접 처리했기 때문에 자신이 맡은 일을 조금이라도 게을리 해선 안됐다.
그 외의 특이 사항으로 수도사들에게 한 달에 한 번 목욕이 허용되었다는 점이 있다. 다만 대육식 금지 기간에는 이것이 허락되지 않았다. 이 기간 동안 씻을 수 있었던 것은 오직 환자들 뿐이었다.
4. 수도원의 사회적 기능
초기 수도사들의 작은 공동체에서 시작한 수도원은 그 크기가 점점 커짐에 따라 단순히 수도사들의 고행 장소에서 벗어나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되었다.
그 새로운 기능 중 하나가 교육적 기능이다. 중세에는 거의 모든 사람이 문맹이었다. 더욱이 낙후된 지역에 속하는 러시아는 더더욱 그랬다. 따라서 러시아에서 있는 지식인 계층은 실질적으로 수도사들이었다. 이들은 그리스 문자로 쓰여진 성서를 쓰고 읽을 수 있었으며 기독교외의 요소에도 폭넓은 지식을 갖고 있었다. 또한 러시아 말을 표현하는데 그리스 문자가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비잔틴의 수도승인 끼릴과 메포지에 의해 글라골 문자와 끼릴 문자가 생겨났다. 이 문자를 모체로 오늘날의 러시아 문자가 형성되었다고 하니 러시아의 수도원이 지식의 보급과 교육에 있어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수도원은 학교를 대신해서 신학과 철학, 수사학, 문법에서부터 자연과학, 지리학 그리고 고대 로마, 그리스의 사상까지 폭넓은 범위의 교육을 담당하였다. 이러한 교육기관으로부터 영향력 있는 인물들이 많이 배출되었다고 한다.
수도원은 기존에 있던 지식을 보관하고 새로운 사실을 기록하는 역할도 겸임하였다. 러시아 최초의 도서관은 수도원이었는데 이들 커다란 도서관에는 신학서적을 포함한 몇백 권의 서적들이 꽃혀 있었다. 이들 수도원들은 주기적으로 서적을 수집하고 정리하였으며 이들을 필사하였다. 또한 수많은 작가들이 수도원에 들어와 새로운 책을 집필하였는데 주로 그 시대의 역사를 기록한 연대기가 쓰여졌다. 12세기 에 끼예프 뻐체르스끼 수도원에서는 최초의 연대기인 ‘지난 시대의 이야기’가 ㅜ쓰여졌고 삼위일체 수도원에서는 역사상 가장 뛰어난 연대기라 평가받는 ‘삼위일체 연대기’가 쓰여졌다.
수도원에서는 예술적인 활동 또한 꽃피었다. 이 시기의 거의 대부분의 예술 행위 또한 성당이나 수도원에서 이루어졌다. 수도원의 벽면은 당대 최고의 명성을 자랑하는 화가들에 의해 프레스코와 이콘(성상 화)으로 꾸며졌고, 유명한 조각가와 보석공들이 수도원에 초빙되어 성당을 위해 일했다. 특히 중요한 이콘을 위해서 수도원 근처에 성상화 마을이 있을 정도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그려진 유명한 이콘으로는 삼위일체성당의 벽에 그려진 안드레이 루블료프의 ‘성삼위일체’가 있다.
그러나 수도원은 이러한 학구적이고 평화적인 목적외에 군사적으로도 사용되었다. 대부분의 러시아 수도원은 높고 두꺼운 벽으로 둘러쌓여 있었다. 이러한 두꺼운 벽은 속세와의 단절을 의미하였지만 국가적인 위기 상황에서 수도원은 요새로 사용되었다. 실재로 수도원들은 외적의 침입을 자주 사용되었고 그중 삼위일체 수도원은 17세기에 16개월 동안이나 폴란드군을 막아내는데 일조하였다고 한다.
수도원의 높은 벽은 외적을 막아내는데도 사용되었지만 내부의 적 즉 정치범들이나 죄를 지은 공후의 아내들을 위배하는 데에도 이용되었다. 교회나 황제에 맞서는 인물들은 모두 수도원에 보내져서 남은 여생을 그곳에서 보내야 되었다.
이밖에 수도원은 막대한 권력을 휘두르는 통치 기관의 역할을 하였다. 이 시기의 교회는 사람들의 사상과 그들을 행동, 생활습관까지 지배하는 강력한 기관이었다. 따라서 국가와 교회는 서로 권력을 잡기 위해 계속해서 경쟁하였다. 이러한 갈등은 15세기말 극대화되었다. 이때 대공들은 교회의 권력을 세속화하려 하였고 교회는 신정 정치를 펴려하여 교회와 대공들간의 직접적인 마찰이 논란이 되었다. 그러나 16세기에 들어와서 교회와 국가는 서로 양보하고 협력하기 시작하여 교회는 권력의 신적 기원론을 폄으로써 국가 지배자의 지위를 정당화시켜 주었다. 그에 따라 대공은 교회 토지 세속화를 철회하여 교회의 힘을 빼앗지 않았다. 따라서 수도원들은 이를 통해 그들의 권력을 유지하며 계속해서 사회 전반에 큰 영향력을 미칠 수 있었던 것이다.
5. 결론
이렇듯 위에서 살펴본 사항들에서 볼 수 잇듯이 수도원은 단순한 고행의 장소가 아닌 교육과 문화 그리고 권력을 쥔 복합적인 기관이었다. 러시아에서 수도원의 지위는 대단하였으며 신분상승의 수단이기도 하였다. 이를 통해 수도원이란 기관이 비록 마을과 동떨어진 외지고 험한 지역에 있어도 사회 전반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수도원은 비록 작은 수도사들의 공동체로 시작했지만 중세 러시아를 모든 면에서 발전시켰으며 후대에 이르기까지 그 영향력을 잃지 않았다. 러시아 문자부터 건축에 이르기까지 러시아 수도원의 손을 거치지 않은 요소는 없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러시아인들은 아직도 신앙심이 다른 민족에 비해 강한 편이다. 그 이유가 이렇게 오랜 기간 동안 사회 전반에 폭넓게 영향을 준 러시아 수도원 때문이 아닌가 추측해본다.
참고문헌
-랴쁘레프 저, 정막래 옮김, 중세러시아문화, 계명대학교 출판부, 2000년
-슐긴, 꼬쉬만, 제지나 저, 김정훈, 남석주, 민경현 옮김, 러시아문화사, 후마니타스, 2002년
  • 가격1,6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7.18
  • 저작시기201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54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