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경제 현황 및 2009년 경제 전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2008년 국내경제 흐름

Ⅱ. 2009년 세계경제 전망
1. 2009년 세계경제: 침체 국면에 진입
2. 글로벌 금융위기
3. 국제유가

Ⅲ. 2009년 국내경제 전망
1. 경제성장
2. 부문별 전망
① 내수
② 대외거래
③ 물가 및 고용
④ 금리
⑤ 환율

Ⅳ. 종합판단 및 정책적 시사점

본문내용

로 예상.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출금리 차이 : 0.5%p(’07년 12월)→0.64%p(’08년 8월)
⑤ 환율
원/달러 환율: 1,091원(2008년)→ 1,040원(2009년)
2009년 원/달러 환율은 경상수지 흑자와 글로벌 금융불안의 진정으로 점진적인 하향 안정세를 보일 전망. 경상수지는 2008년 4/4분기부터 흑자 전환해 원화 강세요인으로 작용. 두바이유 기준 국제유가가 배럴당 50달러 이하로 하락하면서 2008년4/4분기 경상수지는 약 40억, 2009년에는 21억 달러의 흑자를 예상. 금융시장 불안과 일자리 창출력 약화 등으로 소비와 투자 등 내수경기부진이 심화되며 수입 수요가 위축된 것도 경상수지 흑자의 주요인. 세계 각국의 금융위기 해소를 위한 정책으로 금융위기가 점진적으로 진정되며 달러 강세요인이었던 외국인의 주식 純매도세가 약화. 미국 FRB와 세계 각국의 중앙은행들이 통화스왑을 체결하거나 확대하고 있으며, 실물경기 부양을 위한 적극적인 통화·재정 확대정책을 구사. 한국 코스피 시장에서 외국인 보유 비중은 2004년 43%에서 2008년 11월 중순(18일)에는 29.0%까지 하락
2009년 원/달러 환율은 연평균 1,040원대로 하락할 전망이나 변동성은 크게 축소되지 않을 전망. 금융위기 진정에도 불구하고 실물경제의 부진이 심화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지고, 외국인 투자자금의 유출입 변동도 확대될 전망. 2008년 하반기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은 금융위기에 실물경제의부진이 중첩되면서 크게 확대. 주식시장의 불안정성을 나타내는 VIX지수는 2008년 상반기 말 23.95에서 10월 말에는 59.89, 11월 19일에는 67.64로 상승. 조선 및 중공업 업체의 해외수주와 해외증권투자 관련 선물환 거래는2008년과 마찬가지로 외환시장의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전망. 글로벌 증시의 변동은 해외펀드 가치의 변동을 가져와 그때마다 기존의선물환 헤지 조정이 필요. 조선업계는 향후 3년 이상의 수주를 받아 놓은 상황이나 세계경제의 침체로 인도 지연이나 수주 취소 등이 발생할 경우 환헤지 분량의 조정이필요
Ⅳ. 종합판단 및 정책적 시사점
경제살리기에 주력
한국경제는 2009년 하반기 이후 점차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는 등 향후1년∼1년 반은 경제적으로 힘든 시기. 세계경제는 2010년에 본격적인 회복 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 미국경제가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는 2010년 이후 세계경제가 침체 국면에서 벗어날 전망. 한국경제도 2009년 하반기 이후에나 경기가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전망
2009년에는 경기하강 가속, 고용부진 심화 등 내수부진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물가불안은 진정될 것으로 보여 경제 활성화에 주력할 필요. 물가안정 대책 시행에 따른 경기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구사할 필요. 적극적인 재정정책이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적시성을 확보·경기침체가 심각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반기 중에 재정지출을 집중
경기침체로 인한 서민과 중산층의 부담을 줄여주고 소비를 진작시키기 위해 소득세율 인하 등 기존 감세정책을 지속 추진. 법인세 인하는 기업의 투자진작을 통해 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을 뒷받침하는 기반이 될 수 있으므로 필요. 2009년에는 대기업에 대한 법인세 인하도 추진함으로써 투자 및 경기진작 효과 달성
新산업 육성 등을 통한 성장잠재력 확충에 주력
2009년은 지난 5년간의 고성장-저물가 경제가 종료되는 등 세계경제 흐름이 바뀌는 분기점으로 이러한 환경변화를 통해 향후 수년간을 선도할산업구조가 변화할 가능성. 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에는 미국 등 선진국들의 장기호황이 지속된 시기로 IT 산업이 세계경제 성장을 선도. 2000년대 초반∼현재는 BRICs를 비롯한 개도국들이 고성장한 시기로 이들의 산업화 과정에서 일반기계, 조선, 철강 등 전통산업이 세계경제를 선도. 향후 세계경제는 신흥시장의 성장세 둔화 등으로 전통산업에 대한 수요가 축소되는 반면, 에너지, 환경, 바이오 등의 산업이 부상할 전망
전기자동차, 재생에너지, 헬스 등 차세대 성장산업 발굴 및 육성을 위해R&D와 기술 인력에 대한 지원 강화. 산업계 수요에 부응하는 기술교육 혁신을 유도. 기업의 R&D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한도 확대 등 세제지원 강화- 고유가 시대에 대비하여 에너지 효율성 제고 및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추진. 해외 자원기업 M&A, 생산 광구의 운영권 확보, 중대형 프로젝트 참여확대 등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해외자원 개발

키워드

경제,   현황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74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