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 및 재혼과 가족복지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혼 및 재혼과 가족복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이혼과 가족복지
1) 이혼의 개념
2) 이혼의 제도적 유형
3) 이혼 증가의 배경

2. 이혼가족의 실태와 문제점
1) 이혼의 실태
2) 이혼의 문제점

3. 이혼가족을 위한 가족복지 대책
1) 이혼에 대한 인식변화
2) 법제도의 개선
3) 이혼 예방을 위한 활성화 방안
4) 이혼가정상의 대책
5) 이혼 후의 서비스
6) 우리나라의 사회적 지원체계

Ⅲ. 재혼과 가족복지
1. 재혼가족의 개념
2. 재혼가족의 유형
3. 재혼가족의 현황
4. 재혼 증가의 원인
5. 재혼가족의 특성
6. 재혼가족의 문제점

Ⅳ. 재혼 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현황 및 방향
1. 재혼 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현황
2. 재혼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한 관점도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② 재혼가정의 가족원 역할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방안 마련
재혼가족은 새롭게 자신에게 부과된 역할에 대한 적절한 모델이 부재한 가운데 혼란을 느끼고 있다. 계자녀의 생물학 부모가 살아있는 가운데 그 아이에 대한 또 다른 부모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하는 계부모는 자신의 위치를 어떻게 잡아야 하는지에 관해, 자신이 자녀에게 관여할 수 있는 범위와 그렇지 않은 영역 사이에서 갈등을 느낀다. 다양한 가족관계와 변화된 가족 내 역할에 적응하기 위한 새로운 부부 역할모델, 자녀 역할 모델, 친족 역할 모델을 마련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
③ 재혼가정에 대한 지지집단으로서의 친족관계 맺기
한국의 가족체계에서 친족집단은 한 가족에 대한 큰 개입집단으로 기능한다. 개입이 어떤 방식에서 이루어지는가에 따라 친족집단은 지지집단이 될 수도 있고 적응방해 요인이 될 수도 있다. 새로운 파트너의 친족과 불편한 관계가 된다는 것은 친족을 벗어나 파트너, 그의 전혼 자녀와의 관계에까지 파장이 미친다는 점에서 가족 내 영향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재혼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친족관계의 영향을 이해하고 친족관계를 재혼가족의 지지집단으로 변화시키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3) 사회적 관심과 인식의 전환을 위한 홍보 차원
① 다양한 가족형태에 대한 사회적 인식고양 캠페인
혈연관계로 이루어진 핵가족이 ‘정상화’되어 있는 사회에서 재혼가족은 재혼을 했다는 이유만으로 평범하지 않은 사람들, 문제가 있는 사람들, 비행의 가능성이 있는 아이들이라는 주위의 선입견을 받게 된다. 이는 단 하나의 가족형태만을 정상적인 가족으로 인정하는 사회적 인식에 기인한다. 재혼가족의 가족 내적 적응은 가족 구성원들만의 개별적인 노력만으로는 역부족이다. 가족 구성원들 스스로가 사회적으로 부여되는 재혼가족에 대한 낙인을 내면화하고 있어서 본인에 대한 콤플렉스, 다른 가족원들에 대한 선입견(계부모, 계자녀, 이복 형제들 등)을 지니게 되며, 이것은 가족 내적으로 많은 오해와 갈등을 만드는 주원인이 된다. 사회적으로 다양한 가족형태가 존재하고 그것은 ‘정상가족’이 되지 못한, 혹은 ‘정상가족’과 같아져야 하는 일탈된 가족형태가 아닌 있는 그대로 인정되어야 하는 하나의 가족이라는 사회적 수용을 끌어내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들에 대한 교육과정 안에 가족의 다양성에 대한 인식 고양 부분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② 교육과 공적 정책 개입이 필요한 영역으로서의 가족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 캠페인
일반적으로 가족에 관련된 사항은 교육의 대상이 아닌 철저한 사적 영역이라고 인식된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재혼 전에 재혼생활에 대한 여러 가지 문제들을 예상하지 못하고 있으며 따라서 교육에 대한 필요성 또한 낮게 나타나고 있다. 재혼생활로 들어서기 이전에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게 되는 이유는 사람들의 사고에 가족은 ‘저절로 굴러가는 집단’이라는 의식이 강하게 박혀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즉 가족을 교육과 노력의 대상으로 보지 않는 고정관념에 기인한다고 하겠다. 따라서 가족이 필요에 따라서는 외부의 적극적 개입에 의한 교육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가족원들의 태도와 의식의 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한 사회적 캠페인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Ⅴ. 결론
한국가족변화의 두드러지는 특징은 가족안정성의 약화와 이혼의 증가, 그리고 이에 따른 다양한 가족형태의 등장으로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우리의 일상적 생활문화에서는 여전히 정상가족 이데올로기와 혈연 중심적인 가족문화로 인해 다양한 가족형태에 대한 개방적 인식이 크게 미비한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가족이라는 영역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이를 적절하게 보완해주는 사회의 정책적 보살핌과 프로그램의 절대적인 부족으로 한부모가족, 재혼가족, 독신가구 등의 소위 비표준화 가족들이 겪는 경제적, 심리적 어려움은 매우 큰 것이 오늘날 가족의 한 모습이기도 하다. 재혼가족이 경험하게 되는 어려움과 불안정성을 고려하면 이의 예방차원에서 가장 좋은 재혼가족정책은 재혼율을 낮추는 것일 수 있을 것이다. 재혼율을 낮춘다는 것은 재혼자의 많은 부분이 이혼자이기 때문에 이혼율을 낮추는 것이며, 이혼율을 낮추는 것은 초혼 가정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에 있게 된다. 이점에서 재혼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이 초혼가족 안정성 강화 프로그램과 같이 갈 때에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각종 가족문제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중요한 정책이 될 것으로도 생각된다. 초혼가족을 안정시키는 프로그램으로는 결혼교육 프로그램이 한 영역이 될 것이다. 이혼가족을 위한 예방적 차원에서의 가족복지 서비스는 부부 관계 강화, 부부 관계 개선 교육, 가족생활 교육 등이 있다. 그리고 이혼을 결정한 경우에는 이혼과정에서 발생하는 자녀문제, 법적인 문제에 대한 조정과 중재를 할 수 있도록 법률 서비스를 강화해야 한다.
그러나 이보다 더 나아가 한국전통에 숨어있는 가족의 안정성에 대해서도 보다 심층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음은 분명하다. 한국사회는 혈연 중심, 초혼 핵가족 중심 사회이다. 이러한 전통이 재혼가족의 적응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혈연과 핵가족 중심주의가 재혼가족관점에서 많은 역기능을 하고 있지만 오늘날과 같은 개인주의화된 사회에서 그것은 좁은 범위이기는 하지만 공동체가 형성될 수 있는 기반이기도 하며 가족안정성을 높이는 원인이기도 하다는 점은 간과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는 한국 사회의 오랜 전통이기도 하기 때문이며 바로 이점이 미국 등 외국사회와 대단히 다르고 이를 인식하는 것이 한국의 가족정책수립에 반영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재혼가족을 통해 혈연과 핵가족 중심주의가 비판이 되었지만 그 역기능이 어떻게 하면 현대 사회와 어울릴 수 있을까를 연구해야 하는 것도 가족정책연구의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참고문헌
가정분쟁소송의 법률지식 -홍성운
부모역할과 부모자녀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상담원
이혼가족을 위한 대책연구 -한국여성개발원
이혼과 가족문제 -한국가족학연구회
가족복지론 -김연옥
재혼 가족관계 -김종숙
  • 가격2,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84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