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 피터 룬(Hans Peter Luhn) & 텍소노미(Taxonomy)/ 폭소노미(Folksonomy) (브라우징(Browsing))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스 피터 룬(Hans Peter Luhn) & 텍소노미(Taxonomy)/ 폭소노미(Folksonomy) (브라우징(Browsing))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Hans Peter Luhn
& 텍소노미(Taxonomy)/ 폭소노미(Folksonomy)



1. Hans Peter Luhn
 1.1 Hans Peter Luhn 생애
 1.2 Hans Peter Luhn 업적
  1.2.1 KWIC 
  1.2.2 SDI
  1.2.3 자동 색인(Auto index)

2. Browsing
 2.1 Browsing의 정의
 2.2 Browsing 예시

3. Taxonomy/ Folksonomy
 3.1 Taxonomy
 3.2 Folksonomy
 3.3 Taxonomy/ Folksonomy 비교
 3.4 Taxonomy/ Folksonomy 예시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분류학적 상하 체계를 기반으로 특정단어와 특정단어보다 좀 더 구체적인 카테고리들이 점진적으로 나누어져 제시되는 분류법(도서관에서 책이 분류되고 그 분류에 적절한 서가에 자리 잡는 것)이다.
두 번째로는 분석합성식 분류이다. 분석합성식 분류는 패싯을 이용하여 하나의 주제를 개별 개념으로 나누고, 해당 주제를 구성하는 소개념으로 합성하는 방식이다.
택소노미의 단점은 ① 구축하기 위해 해당 주제 분야를 잘 아는 전문 목록자나 권위 있는 정보원 또는 전문 이용자의 존재가 필수적이여야 하고, ② 둘 이상의 주제를 다루고 있는 문헌의 경우, 정해진 분류 체계 속에 특정 문헌의 위치를 부여하면 물리적인 위치가 결정되는 전통적인 체계와 달리 웹 상에서는 굳이 한 개의 주제분야로 그 위치를 지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웹 자원 분류에 전통적 분류체계를 적용하는데 있어 한계점 노출되고 있다.
3.2 Folksonomy
폭소노미(Folksonomy)는 웹 페이지, 이미지 등 인터넷 컨텐츠를 이용자가 개방적으로 조직하여 부여한 레이블로서 소셜 태깅의 결과로 만들어진 협력형 색인을 지칭하는 신조어로서 웹 2.0의 대중화와 더불어 효율적인 정보검색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폭소노미(folksonomy)에 주목하고 있다.
폭소노미(Folksonomy)는 토마스 밴더 월에 의해 제안된 용어로 일반대중을 의미하는 Folk와 분류기법을 의하는 Taxonomy를 조합한 용어로 컨텐츠에 주석을 달고 이를 분류하기 위하여 협력적으로 태그를 만들고 관리하는 실행과 방법에서 파생된 분류 시스템이며, 이는 협력 태깅(collaborative tagging), 사회적 분류(social classification), 사회적 색인(social indexing), 사회적 태깅(social tagging)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렇게 각자 분류된 정보들은 웹에서 다른 사람들의 피드백에 의해서 수정되고 첨가되고, 이런 과정에 의해 정확하게 의미를 전달 할 수 있는 가치 있는 정보가 되는 것이다.
폭소노미는 무엇보다 태그를 자유롭게 선택함으로써 이용자들이 자신의 방식으로 정보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분류할 수 있는 한편, 태그를 통해서 정보를 공유하고 참여함으로써 사회적 의미를 갖는 새로운 분류체계를 형성하는데 능동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Golder and Huberman 2006).
현재 도서관에서는 기존의 분류나 주제명 표목이 가지고 있었던 한계를 보완하여 이용자의 주제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OPAC 시스템에 폭소노미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3.3 Taxonomy/ Folksonomy 비교
3.4 Taxonomy/ Folksonomy 예시
위의 화면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개인이 운영하는 블로그에 자신만의 방식으로 정보를 편리하게 분류할 수 있도록 카테고리를 만들어 놓았고, 이를 통해 다른 이용자들도 원하는 정보를 좀 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 자료에 맞다고 생각되는 태그들을 여러 개 달아 놓아 다른 이용자들이 좀 더 편리하게 자료에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았고 자료들을 주제별로 모아서 표현했기 때문에 이용자들이 쉽고 편리하게 자료를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 폭소노미의 큰 특징이다.
다음은 소셜 북마킹에서 나타나는 폭소노미의 예이다.
마가린이란 현재 1396048개의 사이트가 북 마킹 되어있으며, 24시간 실시간 마킹, 인기 북 마킹의 메뉴를 통해 본 사이트를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들의 관심분야를 알 수 있다. 회원 가입을 한 후 본인의 즐겨 찾기를 구성하고 사용자와의 친구관계에 한해서 북 마킹을 공유 할 수 있는 소셜 북마킹이다.
사용자들이 가지고 있는 자료들을 공유도 하고 원하는 정보에 대해 의견도 나눌 수 있기 때문에 폭소노미의 예가 될 수 있다.
4. 참 고 문 헌
<단행본>
김양우, 정진식. (2011). 디지털도서관정보서비스. 서울: 대자.
김포옥, 박진희. (2009). 문헌분류론. 고양: 조은글터.
노정순. (2011). 정보검색 이론과 실제. 대전: 글누리.
양재한, 한상길. (2010). 문헌분류의 이해와 실제. 대구: 태일사.
오동근. (2007). DDC 22의 이해. 대구: 태일사.
김영귀. (1990). 탐구적 검색기법으로서의 브라우징, 도서관학논집, 17: 1-210.
김우영. (2006). 현대 공공도서관 브라우징체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2(4): 23-30.
박희진. (2011). 폭소노미에 따른 웹 분류 연구 - 이용자 태깅 행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1): 1-437.
신수미, 이태석. (2004). SDI(Selectiv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한국정보과학회지, 31(1): 1-942.
이정미. (2007). 폭소노미의 개념적 접근과 웹 정보 서비스에의 적용,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8(2): 141-159.
최상기. (1985). KWIC 색인(索引)과 Descriptor 색인(索引)의 검색(檢索) 효율성(效率性), 정보관리학회지, 2(1): 3-163.
최주영. (2009). 인터넷 패션 쇼핑몰에서 판매촉진 흥미도에 따른 판매촉진 수용태도, 브라우징이 소비자 만족,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석사).
http://www.lunometer.com.
http://www.libsci.sc.edu/bob/chemnet/chist10.htm
http://www.gslis.utexas.edu/~ssoy/organizing/l391d2c.htm
http://www.asis.org/awards/award_of_merit.html
http://www.chemheritage.org/explore/timeline/CC1950.HTM
http://www.phil-fak.uni-duesseldorf.de/fachschaften/info/Referate%20und%20Hausarbeiten/Anne/hpluhn.pdf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07022802012269727002
  • 가격3,3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3.03.29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64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