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K팝이 촉발한 新한류
新한류 열풍 일지
온라인상에서의 폭발적 반응
K팝의 전략적 가치
K팝의성공요인
생산자: 기획사의 체계적 제작시스템
캐스팅: 원석 발굴에 주력
트레이닝: 장기적 투자로 최고의 엔터테이너 육성
프로듀싱: 창작 작업의 글로벌 소싱
글로벌 프로모션: 현지 파트너의 네트워크 활용
전달방식: 소셜미디어의 적극 활용
소비자: IT에 친숙한 능동적 소비자
콘텐츠: 노래ㆍ안무ㆍ비주얼 3박자를 완비
기업의K팝 활용전략
파생상품으로 부가가치 창출
집객형 상품으로 활용
K팝 문화가 밀집된 클러스터를 형성해 관광자원화
K팝가수와 컬래버레이션 추진으로 홍보효과 극대화
관련성 높은 상품의 광고 모델로 활용
인재 양성 시 기본기 중시
태생적 글로벌(Born Global) 지향
국적은 다르지만 한국에서 한국 자본과 기술이 키운 스타(Made in Korea)
新한류 열풍 일지
온라인상에서의 폭발적 반응
K팝의 전략적 가치
K팝의성공요인
생산자: 기획사의 체계적 제작시스템
캐스팅: 원석 발굴에 주력
트레이닝: 장기적 투자로 최고의 엔터테이너 육성
프로듀싱: 창작 작업의 글로벌 소싱
글로벌 프로모션: 현지 파트너의 네트워크 활용
전달방식: 소셜미디어의 적극 활용
소비자: IT에 친숙한 능동적 소비자
콘텐츠: 노래ㆍ안무ㆍ비주얼 3박자를 완비
기업의K팝 활용전략
파생상품으로 부가가치 창출
집객형 상품으로 활용
K팝 문화가 밀집된 클러스터를 형성해 관광자원화
K팝가수와 컬래버레이션 추진으로 홍보효과 극대화
관련성 높은 상품의 광고 모델로 활용
인재 양성 시 기본기 중시
태생적 글로벌(Born Global) 지향
국적은 다르지만 한국에서 한국 자본과 기술이 키운 스타(Made in Korea)
본문내용
K팝이 촉발한 新한류
최근드라마에이어新한류의주역으로등장한K팝에전세계가열광
- 2000년대 이후 일본, 중국, 태국 등 아시아 주요 국가에 다수의 한국아이돌 그룹이 활발하게 진출하며 K팝 열풍이 시작
ㆍ2001년 일본에 진출하여 대성공한 보아를 시작으로 해외 진출 가속화
- 최근에는 아시아를 넘어 유럽과 미국 등 서구에도 K팝 팬층이 확대
ㆍ2011년 8월 미국 빌보드에 K팝 차트가 신설되었고, 프랑스, 영국,스페인 등에서는 K팝 공연 티켓이 연이어 매진
<중 략>
관련성 높은 상품의 광고 모델로 활용
□ 자사의 상품 이미지에 맞는 K팝 가수를 광고 모델로 활용하여 한국제품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을 축소
-10∼20대 팬층은 좋아하는 스타의 일거수 일투족을 모방하고 싶은심리를 가지고 있어서 아이돌 가수의 광고 효과가 높음
- 식음료, 화장품, 패션 등의 일반 소비재는 해당 지역에서 인기 있는스타를 기용해 현지 맞춤형 광고를 제작
ㆍ대상은 청정원 `마시는 홍초`의 일본 광고에 걸그룹 카라를 모델로발탁한 이후 2011년 하반기 매출 470억원(상반기 매출의 15배) 달성
- IT 및 자동차 회사는 자사의 제품력과 기술력을 쉽게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K팝 스타를 활용
기업은 K팝 팬층을 한국 제품의 신흥시장 진출 교두보로 활용
- 기존의 한류 선호 지역인 일부 아시아 국가뿐만 아니라 중동, 남미,유럽등 신흥 한류지역을 새로운 수출시장으로 주목
ㆍ최근 新한류의 영향으로 중동 지역의 수출액이 최초로 100억달러를 돌파했고, 중남미 지역의 소비재 수출액도 49.9% 증가
최근드라마에이어新한류의주역으로등장한K팝에전세계가열광
- 2000년대 이후 일본, 중국, 태국 등 아시아 주요 국가에 다수의 한국아이돌 그룹이 활발하게 진출하며 K팝 열풍이 시작
ㆍ2001년 일본에 진출하여 대성공한 보아를 시작으로 해외 진출 가속화
- 최근에는 아시아를 넘어 유럽과 미국 등 서구에도 K팝 팬층이 확대
ㆍ2011년 8월 미국 빌보드에 K팝 차트가 신설되었고, 프랑스, 영국,스페인 등에서는 K팝 공연 티켓이 연이어 매진
<중 략>
관련성 높은 상품의 광고 모델로 활용
□ 자사의 상품 이미지에 맞는 K팝 가수를 광고 모델로 활용하여 한국제품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을 축소
-10∼20대 팬층은 좋아하는 스타의 일거수 일투족을 모방하고 싶은심리를 가지고 있어서 아이돌 가수의 광고 효과가 높음
- 식음료, 화장품, 패션 등의 일반 소비재는 해당 지역에서 인기 있는스타를 기용해 현지 맞춤형 광고를 제작
ㆍ대상은 청정원 `마시는 홍초`의 일본 광고에 걸그룹 카라를 모델로발탁한 이후 2011년 하반기 매출 470억원(상반기 매출의 15배) 달성
- IT 및 자동차 회사는 자사의 제품력과 기술력을 쉽게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K팝 스타를 활용
기업은 K팝 팬층을 한국 제품의 신흥시장 진출 교두보로 활용
- 기존의 한류 선호 지역인 일부 아시아 국가뿐만 아니라 중동, 남미,유럽등 신흥 한류지역을 새로운 수출시장으로 주목
ㆍ최근 新한류의 영향으로 중동 지역의 수출액이 최초로 100억달러를 돌파했고, 중남미 지역의 소비재 수출액도 49.9% 증가
추천자료
인터넷 광고가 수용자에게 미치는 영향-배너광고의 효과와 그 대안
ERP성공,실패사례
(프로모션관리)최근 구매한 제품의 포장의 효과를 VIEW 모델로써 평가 및 개선전략 개발 0k
[운동과 비만] 비만상태 측정방법과 근력강화 운동 프로그램
소비자행동론3공통) 본인의 구매행동 경험 중 한가지를 상기하면서 소비자의 구매의사 결정과...
CJ E&M 경영전략분석 및 기업분석 PPT 자료 - 내부 환경분석, SWOT분석, 경영전략 분석
일본대중문화론3공통)일본대중문화에 관해 분석한 전공서적을 1권 선택해 아래와 같은 요령으...
팝 아트(Pop art)와 네오 팝(Neo Pop)의 공통점과 차이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기업광고企業廣告와브랜드커뮤니케이션4C) 브랜드(brand)의 개념, 기능 및 브랜드 커뮤니케이...
기업광고와브랜드커뮤니케이션4E)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실패 사례를 3가지 이상 예를 들어 설...
[현대의 서양문화 C형] 현대서양미술에서 팝아트는 자본주의와 대중문화를 적극적으로 반영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