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건국신화][백제건국신화][고려건국신화][한국건국신화][대하건국신화][마한건국신화]고구려건국신화, 백제건국신화, 고려건국신화, 한국건국신화, 대하건국신화, 마한건국신화, 티벳(티베트)건국신화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구려건국신화][백제건국신화][고려건국신화][한국건국신화][대하건국신화][마한건국신화]고구려건국신화, 백제건국신화, 고려건국신화, 한국건국신화, 대하건국신화, 마한건국신화, 티벳(티베트)건국신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고구려건국신화

Ⅱ. 백제건국신화
1. 주인공의 이름이 다르다
2. 주인공의 출생지가 서로 다르게 기록
3. 모친
4. 주인공의 탄생의 모습
5. 주인공이 세운 나라

Ⅲ. 고려건국신화
1. 1대 호경설화
2. 2대 강충설화
3. 3대 보육설화
4. 4대 진의설화

Ⅳ. 한국건국신화

Ⅴ. 대하건국신화

Ⅵ. 마한건국신화

Ⅶ. 티벳(티베트)건국신화
1. ????찬보세계(돈황문헌)????
2. ????송찬간포유훈????
3. ????한장사집????

참고문헌

본문내용

미륵사를 동일한 사찰로 보았던 데서도 알 수 있듯이, 무강왕과 무왕을 동일인으로 보는 것으로 해서 그는 기록자의 짐을 벗으려 했다.
Ⅶ. 티벳(티베트)건국신화
1. 찬보세계(돈황문헌)
① 천신이 하늘에서 내려올 때 강신처 위쪽에 천부육군의 아들 일곱이 있었다.
② 막내아들 적 돈지의 아들 섭적찬보가 아롱지방에 강림하였다.
③ 토번 모우 부족의 주재자가 되었다.
④ 후에 왕은 천궁으로 돌아갔다.
⑤ 섭적찬보와 남모모는 아들 모적찬보를 낳고, 모적찬보는 아들 정적찬보를 낳고...
2. 송찬간포유훈
① 인도에서 석가족의 후예인 하와왕의 두 아들인 가삼왕과 동생 마갑파 사이에 왕권 다툼이 생겨 마갑파가 패하여 도망가고 그 처가 아들을 낳았다.
② 그 아들이 농부의 도움으로 양육되었다.
③ 그가 하늘에 올라 우주신의 이름을 가졌다.
④ 인간세상에 내려와 결혼하여 인간자손을 두게 되었다.
⑤ 사람들이 그가 하늘에서 내려온 내력을 알고 어깨로 자리를 만들어 모셔다가 국왕을 삼았다. 그가 섭적찬보로 최초의 국왕이다.
⑥ 그는 후일 하늘로 올라갔다.
3. 한장사집
① 인도 왕이 아들을 낳았는데, 기이하게 생겨 죽이라는 명령을 내렸으나, 신하들이 불쌍히 여겨 상자에 넣어 강에 버렸다.
② 동물들이 먹여 기르고 화초들이 경배하여 노부부가 구해 양육했다.
③ 자기의 내력을 알고는 설산으로 도망하였다.
④ 토번의 한 신성한 지역에 천제를 타고 내려왔다고 하였다.
⑤ 사람들(양치기)이 하늘에서 강림한 찬보라는 말을 듣고 왕으로 모셨다.
⑥ 그는 나중에 하늘로 돌아갔다.
1은 贊普世系(敦煌文獻) 등의 자료에, 2는 松贊干布遺訓 등 자료에, 3은 漢藏史集 등 자료에 전하는 내용을 각기 정리한 것이다. 이 글은 조현설이 티벳의 신화를 ‘본교형’과 ‘불교형’ 두 종류로 나누는 데에 기본적으로 동의하면서 위에서 보는 것처럼, 세 종류로 나누었다. 2와 3은 하나의 유형임에도 분리한 것은, 이 유형이 가지는 의미를 보다 자세히 살피기 위함이다. 이 두 유형을 필자는 천신강림형과 인도이주형으로 이름한다. 시조신화와 건국신화는 인류기원 신화의 두 가지 핵심적 주지, 즉 천신강림 등으로 표상되는 창조론적 논리와, 홍수 후의 \"이동과 번식\"으로 표상되는 남녀 결합에 의한 자연생식론을 함께 아우르고 있다고 전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1유형은 단군신화 구조와 동일한 천신강림형이라고 할 수 있다. 천부육군의 막내 일곱째 아들의 아들이 지상에 강림하여 왕이 되고 다시 천궁에 돌아갔다는 논리는, 단군이 서자로서 인세에 내려와 왕이 되었다가 승천한 사실과 그대로 일치하는 모티프이다. 그 아들 누구, 누구로 내려왔다는 기록방식은 성경에도 보이는 신성후대의 기록 방법이다.
2 유형에서는 티벳 왕계가 인도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하여 인도왕의 두 아들이 싸움을 하여 그 중 한 아들이나 혹은 그 아들의 후대가 티벳 지역으로 이주한 것으로 설명한다. 신성하고 복된 불국토의 나라에서 티벳으로 이주하기 위한 명분을 신화는 형제갈등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3유형에서는 이주의 명분을 ‘기이하게 생겨서 버려진’ 棄子모티프로 설명하고 있다. 이런 설정은, 형제갈등 모티프가 가지고 있는 부정적 의미를 탈각시키기 위한 것일 뿐 뿌리를 인도에 두기 위한 의미는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본다면 2, 3유형의 핵심주지는, 인도 왕손이 노부부에 의해 양육되었다가 티벳의 왕이 되었다는 것으로서, 전형적인 이주형 설화이지만 주인공은 단순히 이주행위로써 왕이 되는 것이 아니고, 1유형의 주인공이 보인 천신강림 행위를 그대로 반복하고 있음을 주의해야한다. 2유형에서 농부에 의해 양육되던 주인공은 하늘에 올라 우주신의 이름을 가지게 되고, 다시 인간 세상에 내려와 결혼하여 인간자손을 두고, 하늘에서 강림한 자격으로 왕으로 추대된다. 인도로부터의 이주 화소에 천상강림 화소가 부가되고 있는 것이다. 3유형에서 노부부에 의해 양육되던 주인공이 자기 내력을 알고 雪山으로 도망하였다가, 天梯를 타고 신성한 지역에 다시 내려오는 과정을 거치는 것도 또한 인도에서 온 왕자가 천상강림을 재현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설산으로의 도망과 하강은 天孫으로서의 자기 내력과 신성징표를 확인하는 행위이다. 설산은 하늘을 상징하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티벳의 건국시조 신화는 천상강림 형태와, 이주 화소와 천상강림 화소가 결합된 형태, 두 가지로 분석된다. 이는 마치 인류기원 신화에서 생명창조론에 대응되는 남녀결합생식론이 늘 그 안에 창조론적 견해, 즉 신의 의지가 전제된 성적인 생식이론을 전개하고 있는 양상과 일치하는 것이다. 즉, 시조신화에서 천상강림형은 그 자체로 신성하고 천부적인 왕위전통을 강조하지만, 현실적인 관점에서 불국토로부터의 이주전통을 이야기하는 인도이주론도, 주인공에게 천상강림이라는 신성의미를 계속 부여하고 있다는 것이다.
인간에 대한 창조론과 성적생식론은 대립적인 것이지만, 성적 생식론이 창조론적 논리를 수용하여 두 논의의 조화를 지향하듯이, 천상강림형에 대립되는 인도이주 화소는 신화적 상상력을 배제하고 사실 차원에 치중하여 티벳의 선대를 설명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지향으로 보이는 이 이주의 논리가 천상강림 화소를 수용하면서, 티벳 선대는 보다 더 신비화되고, 신성화된다고 볼 수 있다. 인도라는 공간은 실제 이주의 역사적 체험을 반영한다기보다는, 불국토나 석가여래의 땅이라는 신성징표로서, ‘하늘’이라는 신성징표를 대신하거나 그에 부가되는 징표라고 해석해야 할 것이다. 인도이주 화소가 훨씬 후대의 역사기록에 많이 보이는 것도 그러한 이유일 것이다.
참고문헌
강현모, 백제 건국신화의 전승 양상과 의미, 비교민속학회, 2003
박수미, 고조선과 고구려 건국신화의 구조주의적 분석, 한국국학진흥원, 2011
박찬복, 고려 건국 신화의 구조와 특성 연구, 서강대학교, 2000
이지영, 한국 건국신화 연구의 동향과 그 전망, 동아시아고대학회 2004
조현설, 티벳신화연구 1 : 문헌건국신화의 전승양상과 의미,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1998
최몽룡, 한성시대의 백제와 마한, 국립문화재연구소, 2003

키워드

  • 가격9,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3.07.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82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