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분석][공간분석 기능][공간분석과 국제화랑][공간분석과 공간사옥][공간분석과 GIS(지리정보시스템)]공간분석의 기능, 공간분석과 국제화랑, 공간분석과 공간사옥, 공간분석과 GIS(지리정보시스템)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간분석][공간분석 기능][공간분석과 국제화랑][공간분석과 공간사옥][공간분석과 GIS(지리정보시스템)]공간분석의 기능, 공간분석과 국제화랑, 공간분석과 공간사옥, 공간분석과 GIS(지리정보시스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공간분석의 기능
1. 공간자료의 분석
2. 속성자료의 분석
3. 공간자료와 속성자료의 통합분석

Ⅲ. 공간분석과 국제화랑

Ⅳ. 공간분석과 공간사옥
1. 구관 지하1층 화랑의 상부와 open된 slab에 의한 화랑과 진입홀 간에 작 용하는 위치적 의미
2. 문화재단의 원형사실(原型私室)이 공간의 연결에 미치는 위치적 의미
3. 신관증축에 있어서 위치적 의미

Ⅴ. 공간분석과 GIS(지리정보시스템)

참고문헌

본문내용

구관이 다른 건물처럼 인식되도록 하는데 여기에는 두 가지 위치적 의미가 반영되었다고 보인다.
첫째, 외부공간의 소속을 공간사옥으로의 자연스러운 접근을 유도한다. 외부에서 공간사옥으로의 진입은 폭 8.8m의 진입로를 거쳐 연결이 되는데 구관과 접하는 진입로가 public한 성격을 가지며 공간사옥의 대지내로 동선을 유입한다면 1m set back 되어 신관과 접하는 부분은 공간사옥의 건물내로 진입하기 전단계의 공간으로 내부로 동선을 유입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서 공간성격의 차이를 가진다.
둘째, 공간사옥은 구관과 신관에 두 개의 입구를 가지는데 주출입구가 신관쪽에 위치됨으로서 구관쪽 입구보다는 우세한 입구성을 필요로 하는데 현재와 같은 경우를 비교해볼 때 1m set back된 형태는 시각적 깊이감을 부여하고 벽면을 따라 형성되는 시각적 연속을 단절시킨다. 이러한 시각적 관계는 주출입구에 대한 인식을 높임으로서 접근을 유도하고 있다. 즉 신관이 현재와 같은 배치를 이루는 데에는 구조적 요인이나 대지 경계선, 법규 등 외적 상황의 작용 외에 외부 공간과의 관계, 진입 공간과의 관계, 진입시 시각적 연결관계 등에서 소속감이나 접근성 등 인간의 정신적 요구와 관련된 위치적 의미가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Ⅴ. 공간분석과 GIS(지리정보시스템)
GIS와 다른 정보시스템과의 근본적인 차이는 공간분석 기능에 있다. 공간분석 기능은 GIS내의 공간 및 속성 자료를 이용하여 현실세계에서 발생하는 각종 의문에 대하여 해답을 제시한다. GIS 데이터베이스는 현실의 특정 현상을 모방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모델이다. 현실세계의 인간의 행위를 모방하기 위하여 모델은 특정 객체(사물)와 객체간의 관계(객체간의 상호 작용을 지배하는 규정)를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객체는 개개의 사물의 이름이나 특정 성질의 집합일 수도 있다. 예로서 토지의 소유권을 위한 모델의 형태는 소유주와 저당권자 등 토지의 소유에 관련되는 객체를 포함하여야 한다. 모델은 수학적 방정식이나 문자로서 표현될 수도 있고 혹은 GIS S/W나 H/W에 저장되거나 지도에 도식되는 공간적인 관계들로서 나타내어 질 수도 있다.
모델은 현실에서 관련 정보를 얻기가 불가능하거나 모델의 사용이 훨씬 편리하다고 생각될 때 사용되어 진다. 예로서 현지에 나가서 도로의 길이를 재는 것보다는 지도상에서 도로의 길이를 재는 것이 훨씬 편리하며, 100년 정도 된 나무의 높이를 실제로 재는 것보다는 과거의 경험치를 근거로 한 모델에서 추출하는 것이 훨씬 경제적이다. 모델에서 사용되는 값들은 빠르고 간편한 방법에 의하여 조작, 실험될 수 있으며 모델이 나타내고자 하는 현실의 현상을 실제로 구현하는 것보다는 비용이 적게 든다. 많은 경우에 모델은 가상 시나리오를 실험하기 위하여 반복적으로 사용되며 이러한 예는 불시에 긴급 사태가 발생하였을 때에 가장 효율적인 응급 대피계획 등의 수립과 같은 경우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모델은 현재에 존재하는 것과 과거에 존재한 것, 그리고 보다 중요하게 미래에 특정 지점이나 시간에 발생할 것을 예측한다. GIS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공간 분석을 이용하여 제공한다.
GIS를 이용한 공간분석은 모델을 사용하여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현실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이 세 가지 정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도심지의 지도를 보여주는 것처럼 현재 존재하는 데이터의 내역에 관한 표현
일정지역에서의 일정 금액이 넘는 가옥의 분포를 보여주는 것과 같은 현재의 데이터에서 추출될 수 있는 패턴
다른 시점에서의 데이터가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에 대한 예측으로서 지진과 같은 천재의 경우에 불가능한 대민 서비스의 유형 파악, 비상시 효율적 대처방안의 수립에 사용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GIS에서 구현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공간분석의 기능을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는데, 그것은 정보의 저장과 추출 기능, 질의 기능, 모델링 기능이다.
참고문헌
◈ 기정훈(2010),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지역정보분석 사례연구, 한국지역정보화학회
◈ 김수근 저, 조명환 역(2003), 공간사옥, 시공문화사
◈ 박완순 외 1명(2011),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소수력자원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 정낙현 외 1명(1998), 공간사옥의 공간구성특징에 관한 연구 - 위치적 의미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 편집부(1992), 국제화랑, ㈜정성D&M
◈ Wertheim, M 저, 박인찬 역(2000), 공간의역사, 생각의 나무
  • 가격6,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7.1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86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