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호(國號), 국내특파원,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내선전활동,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군사정책,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인성학교,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민족유일당운동, 대한민국임시정부 독립운동정당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호(國號), 국내특파원,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내선전활동,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군사정책,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인성학교,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민족유일당운동, 대한민국임시정부 독립운동정당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호(國號)

Ⅲ.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내특파원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내선전활동

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군사정책

Ⅵ.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인성학교

Ⅶ.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민족유일당운동

Ⅷ.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독립운동정당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식의 대한독립당 등이 합친 조선민족혁명당(이하 민족혁명당) 결성으로 나타났다. 이 당은 중국군사위원회와 黃同學會 등의 지원 아래 일시적으로 최대의 규모를 자랑하였다. 여기에 집결한 인물은 ‘反臨政非金九’세력의 결집을 표방하고 임정 해체를 요구하였으니, 임정이 한 순간에 사라질 형편이었다.
이처럼 좌우합작 대당체 건설이라는 명제에도 불구하고 민족혁명당은 결코 관내지역 독립운동세력을 모두 통합한 것은 아니었다. 임정을 고수하려는 김구 중심의 세력이 한쪽에 단단히 자리잡고 있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임정 해체를 동의하면서 여기에 참여했던 조소앙 중심의 한국독립당 출신들이 창당 2개월 20일 만인 9월 25일에 민족혁명당을 탈퇴하고 나왔다.
절대절명의 위기에서 임정의 생명을 붙들고 선 세력은 김구宋秉祚車利錫 등이 1935년 10월에 조직한 한국국민당이었다. 이들은 조소앙이 민족혁명당을 이탈하여 한국독립당을 재건하는 것을 지켜보면서 임정의 여당으로서 한국국민당을 조직하였던 것이다. 그러면서 한국국민당은 민족혁명당의 내부에서 벌어지는 김원봉과 이청천의 갈등을 지켜보았다. 당권경쟁과 이념 및 정책적 관점의 차이에서 오는 갈등으로 결국 1937년 4월에 이청천 세력은 민족혁명당을 탈퇴하여 조선혁명당을 조직하였다. 이 외에도 임정 주변에는 민족혁명당에 참여하지 않은 중간 및 좌파세력 중 金星淑朴建雄 등이 1936년 남경에서 조직한 조선민족해방동맹, 남화한인청년연맹을 결성했던 柳子明鄭華岩 등의 아나키스트들이 1937년에 조직한 조선혁명자연맹이 있었다. 비록 군소조직이 있기는 했지만, 관내지역 독립운동계는 민족혁명당과 한국국민당이라는 양대 정당체제로 변모하고 있었다.
1937년 7월 7일에 일어난 중일전쟁은 또 다시 관내지역 독립운동계의 변화를 가져왔다. 김구는 민족혁명당에서 탈퇴한 한국독립당(재건)과 조선혁명당을 한국국민당과 하나로 묶는 연합체 구성에 착수하였다. 그것이 바로 1937년 8월에 만들어진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光復陣線]였다. 이에 대해 김원봉은 민족혁명당을 중심으로 조선혁명자연맹과 조선민족해방동맹을 묶어 1938년 2월 하순 漢口에서 조선민족전선연맹[民族戰線]을 조직하였다. 이로써 관내지역 독립운동 세력은 양대 연합체제를 형성하였다.
양대 정당체제라든지 양대 연합체제는 이념과 강령 및 정책적 관점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중국국민당정부의 지원 노선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었다. 중국은 중국국민당 조직부장 陳果夫와 蕭錚을 통해 김구를, 중국군사위원회 藤傑을 통해 김원봉을 각각 지원하였다.
蔣介石은 직접 나서서 이들 양대 세력을 하나로 묶어 보려 했다. 그는 1938년 11월에 김구를, 다음해 1월에 김원봉을 초대하여 양 세력의 결합을 종용하고 나섰다. 그 결과 두 사람은 1939년 5월에「동지동포 제군에게 보내는 공개통신」을 발표하여 “전 민족적 역량을 집중한 통일조직의 건설이 요구되며, 통일조직은 전 민족의 의견과 요구에 의한 혁명적 강령에 기초하여야 한다”라고 천명하였다.
두 사람의 공동선언은 한인세력의 단결과 통합을 촉진시켰다. 그 결과 같은 해인 1939년 8월 중경 바로 아래에 있는 四川省 江에서 양대 연합전선을 하나로 통합하려는 회의가 열렸다. 한국국민당한국독립당(재건)조선혁명당 등 광복진선 소속 3당과 민족혁명당조선혁명자연맹조선민족해방동맹조선청년전위동맹 등 민족전선 소속 4당으로 개최된 7당 통일회의가 그것이다. 그러나 조직방법에서 이견을 보인 조선민족해방동맹과 조선청년전위동맹은 이탈하였고, 다시 나머지 5당의 통일회의를 열었다. 하지만 이것마저도 민족혁명당과 조선혁명자연맹의 이탈로 그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말았다.
Ⅸ. 결론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 金九를 태운 미군수송기는 1945년 11월 23일 오후 4시 40분 “27년 만에 기쁨과 슬픔이 뒤엉킨 심정으로 상공에 높이 떠서 신선한 공기를 호흡하며 상해 출발 3시간 만에 김포 비행장에 착륙했다.” 대한민국임시정부(이하 ‘임정’이라 칭함)의 환국은 미군점령하의 남한에서 1945년 가을을 뜨겁게 달군 정치쟁점 중 하나였다. 임정의 상징성과 명망성을 고려할 때, 임정의 환국이 정국변동에 미칠 파장은 미군정, 좌익, 우익 그 어느 정치세력도 예상키 어려웠던 것이다.
임정의 환국문제는 3가지 측면에서 고찰가능하다. 첫째, 환국주체인 임정 내 각 계파의 환국구상과 이를 둘러싼 계파간 갈등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국내로 돌아 온 직후부터 ‘임시정부’라는 명칭이 무색할 만큼 비주류는 물론 주류 중 일부까지 임정에서 급속히 이탈되는 현상의 단서를 임정의 환국과정에서 심화된 계파간 갈등 속에서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임정요인에게 환국방도를 마련해 주고 환국 후 임정의 정치적 위상을 제고하는데 일조했던 ‘연합국세력’, 특히 미국과 중국의 임정에 대한 입장과 대책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임정의 환국에 대한 미국정부, 미군정, 그리고 중국 국민당 정부의 대응을 통해 당시 ‘외세’라는 외적 요인이 한반도 내에 미쳤던 규정력의 강도를 가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임정의 환국에 대한 남한 좌우익정치세력의 입장과 대응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우익이 임정을 절대적으로 지지한다는 임정봉대론을 내세운 것과는 대조적으로 좌익은 임정을 파시스트집단이라며 성토했다. 이러한 입장차이는 당시 政局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는지가 해명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근거지 이동이자 실질적인 ‘통치권역’으로의 진입을 의미하는 임정의 ‘환국’은 그들이 27년간 걸어온 발자취에 대한 역사적 평가인 동시에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체질개선을 요구하는 일대사건이었다.
참고문헌
김희곤(1995), 대한민국임시정부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역사연구회
신용하(1997),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역사적 의의, 도산사상연구회
이현희(1999),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의 정통성과 의의, 대한민국순국선열유족
이현희(1986),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대한 새로운 인식, 한글학회
유영익, 반병률 외 3명(2009), 이승만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연세대학교출판부
장동완(1984),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 가격6,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3.07.2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53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