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S(독립국가연합)]CIS(독립국가연합)의 배경, CIS(독립국가연합)의 형성, CIS(독립국가연합)의 루블존, CIS(독립국가연합)의 카자흐스탄, CIS(독립국가연합)의 우크라이나, CIS(독립국가연합)의 전망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IS(독립국가연합)]CIS(독립국가연합)의 배경, CIS(독립국가연합)의 형성, CIS(독립국가연합)의 루블존, CIS(독립국가연합)의 카자흐스탄, CIS(독립국가연합)의 우크라이나, CIS(독립국가연합)의 전망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CIS(독립국가연합)의 배경

Ⅲ. CIS(독립국가연합)의 형성

Ⅳ. CIS(독립국가연합)의 루블존

Ⅴ. CIS(독립국가연합)의 카자흐스탄

Ⅵ. CIS(독립국가연합)의 우크라이나
1. 우크라이나의 국민
2. 우크라이나의 문화
3. 우크라이나의 기후

Ⅶ. CIS(독립국가연합)의 전망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 군수산업의 미발달로 인하여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를 제외하고는 사실상 강력한 독자군의 창설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CIS 가맹국들 중 대부분의 국가들은 어떠한 형태로든 러시아를 주축으로 한 <집단안보 체제>를 구축하여 대외적인 안전을 보장하고 가맹국간의 분쟁을 해결하려 하고 있다. 셋째, 제정 러시아 및 구소련 팽창주의정책과 만족정책의 유산인 민족분쟁은 영원한 미해결의 과제로 남아 있을 것이고 이는 민족분쟁을 중재, 조정할 공동기구 및 평화유지군의 필요성을 증대시킬 것이다.
넷째, 구소련의 산업 및 인구정책은 구소연방 구성국들간 사회적, 인구학적인 상호의존성을 높여 주었는데, 실제 인구조사에 의하면 약 5천 4백만 명이 타공화국에 거주하고 있다. 이중 약 2천 5백만 명에 달하는 러시아인이 비러시아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데, 이는 CIS 가맹국이 對러시아 적대정책을 취할 수 없고, 러시아 또한 동일한 정책을 취할 수밖에 없어서 어떤 형태로든 CIS를 포함한 구소연방 구성국들간의 관계를 유지케 하는 데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다섯째, 제정 러시아 및 소비에트 러시아 정부는 수 세기 동안 소수민족에 대한 러시아화정책을 실행하여 왔고, 그 결과 구소연방 구성국의 학문, 예술, 풍속, 양식 등 사회문화의 제반영역이 많은 부분 동질화되어 있다. 여섯째, 러시아의 신헌법제정과 신의회구성은 러시아 국내정치, 경제의 안정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고, 이는 러시아의 CIS 체제에 대한 주도권의 강화와 CIS 체제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CIS는 각가맹국들이 국내정치 체제를 안정화시키고 독립국으로서의 위상을 확립해 감에 따라서 점차 경제적인 문제와 대외적 안전보장, 그리고 민족분쟁의 해소 등에 관심을 부여하고 있는데 이는 어떤 형태로든 CIS 체제의 유지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그러나 또한 CIS의 장래는 CIS 체제의 종주국들이라고 볼 수 있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對 CIS와 개별가맹국에 대한 정책, 특히 우크라이나의 대 러시아 및 CIS 정책에 따라서 큰 영향을 받으리라 전망된다.
결론적으로 러시아는 근외국가들에 대한 영향력의 확보와 국익을 위하여 CIS 체제의 강화를 계속 추진할 것이고, 그 결과 제반영역에서 CIS 체제의 조정, 협력기능이 강화될 것이다. 그러나 러시아 및 CIS 가맹국들은 당분간 제반영역에 있어서 兩者間, 多者間 協力을 확대시킴과 동시에, 분쟁보다는 협력을 모색해 갈 것으로 보인다.
Ⅷ. 결론
한인들은 1937년 스탈린에 의해서 강제이주의 대상이 되었다. 일본이 만주로 침략한 이후 일본의 극동 아시아로의 진출을 경계한 스탈린은 러시아와 일본의 전쟁 시 한인들이 일본에 공조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 국경지대의 한인들을 반 사막지대였던 중앙아시아로 강제로 이주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판단은 잘못된 것으로서 당시 일제 식민지 통치하에 있었던 절대 다수의 한인들은 일본을 미워했으면 했지 그들을 도와서 소련에 대항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이러한 잘못된 군사적인 동기 말고도 1927년 농업집단화 정책이 소련의 새로운 경제정책으로 채택되고 중앙아시아가 전통적인 유목경제로부터 집단농업체제로 전환하게 되면서 이 지역에 기아, 생산량 급감과 같은 극심한 경제난이 발생하게 되자 한인들의 노동력을 투입하여 이 지역의 경제를 발전시키려는 경제적인 동기도 강제이주의 중요한 이유였다. 특히 한인들이 연해주에서 쌀농사를 성공적으로 짓고 있었다는 사실이 스탈린 정부로 하여금 한인들의 노동력을 활용하여 중앙아시아를 개발하려는 시도로 연결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제적 이유는 한인 강제이주에 있어서 처음에 제기하였던 군사적 이유에 비교하면 그리 중요하였다고 볼 수 없다(권희영, 1998: 8).
1937년의 한인들의 강제이주는 미국에서 2차 세계대전 중에 일본계 미국인들(Japanese Americans)을 \'적군 외국인(enemy aliens)\'이라 하여 캘리포니아, 애리조나, 유타 등과 같은 미 서부지역과 인디애나, 아캔사스 등 중부남부 지역 등에 분산시켜 급조된 수용소에 감금한 것과 동일한 인권 유린 사건이다. 한인들의 강제이주(forced relocation)와 일본인들의 강제수용(forced internment)의 경험은 이들이 피와 땀으로 이룩한 경제, 사회, 문화의 기반을 깨뜨리고 현지 사회로의 강제동화(forced assimilation)를 가속화시켰다는 점에서 유사한 결과를 가져왔다. 실제로 많은 일본인 2세들이 2차대전이 끝난 후 그들의 고향인 캘리포니아로 돌아가지 않고 시카고나 뉴욕 등으로 이주하여 새로운 삶의 기반을 잡았다. 일본인들의 국내이동은 이들이 원하거나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결과적으로 이들이 미국 주류사회로 문화적으로 구조적으로 동화되는 것을 가속화시켰다(Kitano, 1980; Chen, 1991).
종전 후 일본인들은 그들이 전쟁 중에 겪은 인권 침해 사실을 묵인하지 않고 1970년대 이민 3세들이 주축이 된 보상운동(redress movement)을 벌여 레이건 행정부 당시 미국 정부의 공식 사과와 피해자들에 대한 금전적 보상을 얻어냈다. 그러나 한인들의 경우는 1989년 11월 14일 고르바초프의 성명에서 스탈린 시대의 강제이주가 불법적이고 범죄적인 행위였음이 인정되었고 1991년 4월 26일 러시아 대통령 옐친이 서명한 ‘탄압 받은 민족의 복권에 관한 러시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법률’로서 권리회복을 위한 법률적 근거를 마련하였지만 강제 이주 당시 입은 재산 피해와 손실 등에 대해서 아무런 구체적 보상을 받지 못했다.
참고문헌
곽정완, 독립국가연합(CIS) 3국의 토지등록제도 개선방안, 대한지적공사, 2010
권영민, 독립국가연합과 한국, 한국외교협회, 1992
김현, 독립국가연합(CIS)의 성격과 통합운동의 분석, 대한정치학회, 2002
김경순, 소련방의 와해와 독립국가연합 성립에 관한 문건,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1991
신태화, 한.독립국가연합(CIS) 간의 무역확대방안 연구, 국방대학교, 1992
안성호, 독립국가연합(CIS)의 민주화과정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동북아학회, 2008
  • 가격6,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7.2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59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