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 문학, 시조 의미, 시조 유형, 시조 형식, 시조 형성, 시조 발생, 시조 내용, 시조 관련 제언]시조의 의미, 시조의 유형, 시조의 형식, 시조의 형성, 시조의 발생, 시조의 내용, 시조 관련 제언 분석(시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조, 문학, 시조 의미, 시조 유형, 시조 형식, 시조 형성, 시조 발생, 시조 내용, 시조 관련 제언]시조의 의미, 시조의 유형, 시조의 형식, 시조의 형성, 시조의 발생, 시조의 내용, 시조 관련 제언 분석(시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시조의 의미
1. 광의의 정의
2. 협의의 정의

Ⅲ. 시조의 유형
1. 평시조(平時調)
2. 엇시조(時調)
3. 사설시조(辭說時調)
4. 연시조(連時調)
5. 양장시조(兩章時調)
6. 단장시조(單章時調)
7. 동시조(童時調)

Ⅳ. 시조의 형식

Ⅴ. 시조의 형성

Ⅵ. 시조의 발생

Ⅶ. 시조의 내용
1. 이별
2. 자연
3. 도리
4. 교훈

Ⅷ.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록하고 있는 가집들의 기록에 대한 신빙성 문제가 제기되기 때문에 시조 형식의 정착연대에 대한 논의가 논쟁점으로 제기될 수 있는 것이다.
오늘날 통설로 받아들여지는 고려 말 정착설도 그 기본적인 논거는 가집의 기록이다. 먼저, 흔히 조선시대 발생론을 주장하였다고 오인되기도 하는 金台俊은 고려중엽 발생한 별곡이 고려 말에 시조를 분화, 배태시킨 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가사로 변모했다고 주장하면서, 가집에 薛聰, 乙巴素, 成忠 등 삼국시대나, 崔忠, 姜邯贊 등 고려 중엽 이전 작가의 작으로 기록되어 있는 시조들은 후대인의 의작이라고 하여 고려 말의 시조만을 인정하고 있다.
이러한 김태준의 주장은 별곡과 시조의 형태상에서 유사성 및 고려 말에 지어진 시조가 고려 중엽 이전에 지어졌다고 기록된 시조보다 양적으로 보아 월등히 많다는 상대적 사실에 기초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 주장은 확증을 수반한 것이 아님을 부인할 수 없다. 왜냐하면 기록의 신빙성 문제를 의심하는 차제에 양의 다과 문제만 가지고 개별적인 작품의 확실한 고증 없이 어느 것만 인정하고 어느 것은 인정하지 않는 것은 그리 설득력 있는 주장이 아니기 때문이다.
Ⅶ. 시조의 내용
옛 시조를 보면 그 내용에 따라 몇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 이별
사람 사는 세상에서 있을 수 있는 이별을 슬퍼한다. 친구, 가족, 임, 임금 들이 그 대상이다.
2. 자연
번거로운 정치나 인간 사회를 떠나 시골에서 자연을 벗 삼아 노래한다.
3. 도리
비록 가난할지라도 마음의 평안을 지키겠노라는 내용, 나라와 임금에 대한 충성, 임금의 은덕에 감사하는 내용, 나랏일을 걱정하는 내용 등을 담고 있다. 그 밖에 부모에 대한 효도를 노래한 시조도 많다.
4. 교훈
지난날의 잘못을 깨우치게 하고자 가르치고 타이른다. 사람이 마땅히 지켜야 할 것을 지키도록 훈계하기도 한다.
Ⅷ. 결론 및 제언
時調도 唱이 주가 된 음악 본위의 시가로 발생했지만 後代로 내려오며 노랫말의 문학적인 면이 보다 더 주요시되고 또 個人에 따라서는 唱보다 文學的인 目的에서 作品을 쓴 사람도 많았다.
그러나 그런 사람이라 할지라도 음악상 문제를 완전히 도외시하지는 않았었다.
그러다가 현대에 들어 최남선, 이병기 등에 의하여 완전히 음악을 떠난 시조시가 시도되어 행해지기 시작했다.
어떤이는 時調는 우리의 傳統的인 시형이므로 이것을 持續시켜 나아가야한다고 한다. 그러나 전통이라는 것은 그 集團이 그 價値를 느끼면 스스로 持續되는 것이고 價値를 느끼지 않게 되 스스로 단절되는 것이지 누가 그것을 살리고 말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음악을 떠난 시조시는 현대의 時調唱法으로는 부를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새로운 음악면을 開拓하지 않는 한 문학 본위의 주 詩인데 歌訶의 형식이란 音樂에 따라 일정한 形式이 要求되는 경우 외에는 사상이나 정서를 效率的으로 表現하기 위해서 그 형식의 존재 가치가 있는 것이므로 시조시형으로 表現하기에 적합한 것이면 시조시형을 취해도 좋을 것이고 그렇지 못 할 때에는 자유시형을 취하면 되었지 굳이 시조시형을 살리려고 노력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현대 자유시 시대에 있어 문학 본위로 형식상 제약을 받는 시조는 보다 더 발전해 나갈 길은 없으리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하명 - 시조집, 한국문화사, 1985
김두삼 - 현대시조의 형식·총체성과 다원주의, 새한척할회, 2011
임나정 - 현대시조의 형성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2003
정춘자 - 시조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4
조규익 - 시조발생 담론의 전개양상과 지향점, 한국시조학회, 2007
한정수 - 시조의 의미구조 연구, 세종대학교세종어문학회, 1986
  • 가격6,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8.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89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