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용어, 보시, 열반, 여래십호, 종송, 석등, 도솔천, 간단예불]불교용어와 보시, 불교용어와 열반, 불교용어와 여래십호, 불교용어와 종송(쇳송), 불교용어와 석등, 불교용어와 도솔천, 불교용어와 각단예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불교용어, 보시, 열반, 여래십호, 종송, 석등, 도솔천, 간단예불]불교용어와 보시, 불교용어와 열반, 불교용어와 여래십호, 불교용어와 종송(쇳송), 불교용어와 석등, 불교용어와 도솔천, 불교용어와 각단예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불교용어와 보시

Ⅱ. 불교용어와 열반

Ⅲ. 불교용어와 여래십호

Ⅳ. 불교용어와 종송(쇳송)

Ⅴ. 불교용어와 석등

Ⅵ. 불교용어와 도솔천

Ⅶ. 불교용어와 각단예불
1. 극락전(혹은 彌陀殿)
2. 팔상전
3. 약사전
4. 용화전(혹은 彌勒殿)

참고문헌

본문내용

불보살께 예참하는 의식이다. <석문의범(釋門儀範)>에 보면 큰 법당(大雄殿)에서 드리는 예불문과 각 전각(殿閣)에서 드리는 예불문이 있다. 큰 법당에서 드리는 예불문으로는 향수해례(香水海禮)·오분향례(五分香禮)·칠처구회례(七處九會禮)·사성례(四聖禮)·대예참례(大禮懺禮)·관음예문례(觀音禮文禮) 등 아홉 종류가 나온다. 그리고 각 전단에서 드리는 예불문도 극락전(極樂殿)·팔상전(八相澱)·약사전(藥師殿)·용화전(龍華殿)·대장전(大藏殿)·관음전(觀音殿)·나한전(羅漢殿)·명부전(冥府殿)·신중단(神衆壇)·산왕단(山王壇)·조왕단(조王壇)·칠성단(七星壇) 등이 있다. 향수해례란 연화장엄세계에 두루 계시는 모든 불보살의 명호를 부르면서 15배의 절을 하는 것이고, 대예참례와 소예참례는 시방삼세 부처님의 명호와 이력을 낱낱이 부르면서 예참하는 것이다. 오분향례는 계향, 정향, 혜향, 해탈향, 해탈지견향의 오분향으로써 예불을 드리기 때문에 오분향이라 하는데 이것은 오분법신을 향에 비유한 것으로 인격형성의 다섯 가지 과정을 상징한 것이다. 칠처구회례는 <화엄경>에서 아홉 번 설법한 것(80권본 화엄경)을 낱낱이 기억하여 예배드리는 것이다. 사성례는 극락세계에 있는 아미타불과 관세음, 대세지, 일체청정대해중보살님께 예배드리는 것이다. 강원상강례는 학인들이 강의받기 전에 예배드리는 의식이다.
1. 극락전(혹은 彌陀殿)
극락전에서는 극락세계에 계시는 성현(주존불은 아미타불이며 좌우보처는 관음보살과 세지보살이다.)들을 모시고 예배드린다. 의식은 아미타 삼존불께 지심으로 귀의하는 예배를 하고 찬게를 한다. \'무량광중화불다(無量光中化佛多) 앙첨개시아미타(仰瞻皆是阿彌陀) 응신각정황금상(應身各挺黃金相) 보계도선벽옥라(寶계都旋碧玉螺)\' 찬게를 하고 \'고아일심귀명정례(故俄一心歸命頂禮)\'하며 마친다.
2. 팔상전
팔상전에서는 부처님의 일대기를 8가지 모습으로 나누어 그려 모시고 거기에 낱낱이 예배드린다. 석가모니불과 좌보처 화가라보살, 우보처 미륵보살께 예배하고 찬한다. \'진묵겁전조성불(塵墨劫前早成佛) 위도중생현세간(爲度衆生現世間) 외외덕상월륜만(巍巍德相月輪滿) 어삼계중작도사(於三界中作導師)\'
3. 약사전
약사전에서는 동방만월세계 약사불을 모시고 예배드린다. 동방만월세계 약사유리광여래(藥師琉璃光如來)와 좌보처 일광변조소재(日光遍照消災)보살, 우보처로 월광변조식재(月光遍照息災)보살게 예배드리고 찬한다. \'십이대원접군기(十二大願接群機) 일편비심무공결(一片悲心無空缺) 범부전도병근심(凡夫顚倒病根深) 불우약사죄난멸(不遇藥師罪難滅)\'
4. 용화전(혹은 彌勒殿)
용화전에서는 장차 오실 미륵보살님께 예배드린다. 현재 도솔천에 계시는 미륵존 여래불, 복록이 날로 수승하고 수량이 무궁하신 미륵존 여래불, 원력이 장엄하고 자비가 광대하신 미륵존 여래불게 예배하고 찬하여 마친다. 이외에도 대장전에서는 대장경을 봉안하고 예배드린다. 또 관음전은 관세음보살을, 나한전(혹은 靈山殿, 應眞殿)은 십육나한.오백나한.천이백나한을 모신 곳이며, 명부전은 염라국의 십대왕과 지장보살을 모신 곳이다. 그리고 신중전에는 화엄신중을, 산왕단에는 산신을, 조왕단에는 조왕을, 칠성단에는 칠성을, 독성단에는 독성을, 현왕단(現王壇)에는 보현왕여래를 각각 모시고 예불을 드린다.
참고문헌
ⅰ. 김미숙(2008), 보시의 문화적 전통과 의의, 선학원
ⅱ. 강윤곤(2009), 열반을 통해 본 불교의 생사관, 한국종교학회
ⅲ. 정명호(1992), 한국 석등양식사 연구, 단국대학교
ⅳ. 편집부 저, 이태길 역(2003), 불교용어단어집, 국제교류연구소
ⅴ. 한미교육연구원(2011),불교생활용어사전, 동양서적
ⅵ. 현석문(1996), 도솔천의 유적사, 삼정회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8.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91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