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 팽이치기, 제기차기, 겨울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 실뜨기놀이, 겨울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 고누놀이, 겨울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 연날리기, 겨울 전통놀이 사례 자치기놀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겨울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 팽이치기, 제기차기, 겨울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 실뜨기놀이, 겨울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 고누놀이, 겨울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 연날리기, 겨울 전통놀이 사례 자치기놀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겨울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 팽이치기
1. 놀이의 유래
2. 놀이 방법
1) 실내용 팽이
2) 실외용 팽이 만들기
3) 팽이채 만들기
4) 팽이 돌리기
5) 팽이 싸움
3. 유의점

Ⅲ. 겨울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 제기차기
1. 활동 1
2. 활동 2
3. 활동 3

Ⅳ. 겨울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 실뜨기놀이
1. 준비물
2. 효과
3. 규칙

Ⅴ. 겨울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 고누놀이

Ⅵ. 겨울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 연날리기

Ⅶ. 겨울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 자치기놀이
1. 자 만들기
1) 작은 자(새끼자) 만들기
2) 큰 자(어미자) 만들기
2. 놀이 방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되고 연실을 풀어주고 당기면 연이 위로 솟아 올라간다. 연날리기의 기본적인 놀이형식은 높이띄우기를 비롯하여재주부리기끊어먹기 등이 있다.
높이띄우기는 연을 얼마만큼 멀리 그리고 높이 띄울 수 있는가를 겨루는 놀이로서 연을 약 1km 가량 높이 띄우면 눈에 보일락말락하고 그 이상 넘으면 보이지 않는다고 한다. 재주부리기는 연이 재주를 보이는 놀이이다. 날리는 사람의 손놀림에 따라서 왼쪽 오른쪽 급전 급강하 급상승 등 다양한 공중곡예를 부린다. 끊어먹기(연싸움)는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연실이 서로 교차하여 비벼서 실이 끊어지게 하는 싸움놀이이다. 끊어먹기의 싸움은 연실이 질기고 약한 것도 크게 작용하지만 그보다 연의 조종기술에 크게 좌우된다고 한다.
Ⅶ. 겨울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 자치기놀이
자치기는 전국적으로 알려진 남자아이들이 주로 하는 놀이다. 주로 겨울철에 많이 하는데, 운동량이 많기 때문에 놀이에 열중하다 보면 어느 새 온몸이 땀으로 젖는다. 날씨가 추워 방안에서 뒹굴다 보면 건강을 잃을 염려도 있는데 친구들과 자치기를 하며 신나게 뛰놀아 보자.
놀이 인원은 10명 이내면 적당하다. 자치기는 적당한 공간이 있어야 하며, 기왕이면 흙바닥으로 된 놀이판이 좋다. 놀이를 하려면 ‘자’라는 장난감이 필요하다.
1. 자 만들기
1) 작은 자(새끼자) 만들기
지름 2.5 - 3 cm의 동그란 나무 막대를 사선으로 평행하게 양끝을 자른다. 길이는 15 - 20 cm 정도가 적당하다. 너무 짧으면 잘 칠 수 없고, 너무 길면 공격 시간이 길어 수비 편이 지루하다.
2) 큰 자(어미자) 만들기
작은 자 정도의 굵기거나 조금 더 굵은 나무 막대를 길이 30 - 50 cm 정도로 준비한다.
2. 놀이 방법
가. 인원을 반으로 나눠 공격 편과 수비 편으로 나눈다.
나. 바닥에 깊이 7cm, 넓이 10cm 내외의 홈을 판다.
다. 몇 자를 채울 것인지 정하는데 보통 50자에서 100자 정도로 정한다.
라. 공격 편이 바닥의 홈에 작은 자를 걸쳐놓고 큰 자를 이용하여 작은 자를 멀리 걷어 낸 후 큰 자를 홈에 걸쳐놓는다. 이 때 수비 편이 걷어 내는 작은 자를 잡거나 발로 찰 수 있는데, 발로 찼을 경우 작은 자가 떨어진 그 곳에서 작은 자를 집어 큰 자를 맞춘다. 큰 자를 맞추거나 공격 편이 걷어 내는 작은 자를 수비 편이 잡으면 그 사람은 죽는다. 또한 작은 자를 수비 편이 홈에 넣어도 공격자는 죽게 된다.
마. 공격자는 수비 편이 던진 작은 자가 떨어진 위치에서 큰 자를 이용하여 작은 자의 끝을 쳐서 튀어 오르게 한 후 작은 자를 힘껏 친다.
바. 힘껏 친 후 공격 편은 홈에서 작은 자까지의 거리를 대충 셈하여 자를 부른다. 예를 들면 홈에서 작은 자까지의 거리가 큰 자로 재어 20자 정도이면 ‘20’자 하고 부르면 수비 편은 눈대중으로 보아 될 것 같으면 ‘먹어’하고, 모자랄 것 같으면 ‘재! ’한 후 실제로 큰 자로 재어 본다. 이때 ‘먹어’ 했으면 공격 편은 20자를 가지고 다시 공격하고 ‘재’해서 쟀는데 20자가 되지 않으면 죽는다.
사. 이리하여 공격 편이 다 죽으면 공격과 수비가 바뀐다.
참고문헌
◇ 김용수 외 1명(1997), 제기차기 운동이 초등학교 학습자의 체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 김연(2011), 연의 형태를 이용한 기하학적 표현 연구, 홍익대학교
◇ 서득창(2010), 조선의 민속놀이, 민속원
◇ 실뜨기 탐험대 저, 구계관 역(2010), 머리가 좋아지는 재미있는 실뜨기, 미세기
◇ 오주영(2009), 명절 속에 숨은 우리 과학, 시공주니어
◇ 장장식 외 1명(2002), 한·몽 \'고누\'놀이 비교 연구, 비교민속학회
  • 가격6,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8.0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09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