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창조되는 황진이의 신화 -『황진이』, 전경린 -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재창조되는 황진이의 신화 -『황진이』, 전경린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연애소설로 본 『황진이』
(2) 페미니즘 소설로 본 황진이

3. 결론

본문내용

심층에서 그 모습을 드러내려고 하지 않는 모순을 극대화시킨 조선 사회에서 살아가는 여성의 모습을 통해 문제를 명료하게 가시화시키고 우리 삶의 방향성을 점쳐보고자 하는 것이다. 다시말해, 황진이가 현대에서 의미있는 여성으로 호출되고 있는 이유는 자율적인 여성의 세계가 아닌 절대적인 남성의 세계를 살아갔기 때문이며, 그녀를 지탱하는 힘의 원천이 지배력이 아닌 능력에 있기 때문이다.
3. 결론
전경린의 소설 『황진이』는 우리 사회에서 고민되고 있는 사랑과 여성의 문제를 소설이라는 압축된 형식을 빌어 명확히 가시화하고 이를 통해 대중에게 대화를 시도한다. 이 소설은 다양한 각도로 해석을 끌어낼 수 있는 흥미로운 텍스트이다. 이러한 다층적 구조는 작품 해석에 대한 혼란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단일한 가치와 판단에 편승하지 않고 중립적인 위치를 확보하려는 작가의 영리한 계산일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점이 작가가 명확한 세계관을 정립하지 않고 적당히 대중의 기호에 아첨한다는 비판을 유도할 가능성을 내포하게 되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적어도 대중 문학은 평론가들을 위해 쓰여지는 것이 아니라 폭넓은 독자층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작가의 중립적 위치가 작품성을 해한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소설 황진이에서는 기생 황진이라는 문화 코드 자체가 가지는 다양한 인식의 집합체와 어울리게 맞물리고 있다. 실제의 황진이는 《어우야담》등에 그와 관련된 일화가 단편적으로 실려있다. 황진이 관련기록 - 김정미 〈황진이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년, 21~22면 인용 : 《송도기이(松都記異)》,이덕형(李德泂,1566~1645) 《성웅지소록(惺雄識小錄)》,허균(許筠,1569~1618) 《송도인물지(松都人物志)》,김택영(金澤榮,1850~1927) 《수촌만록(水村萬綠)》,임방(任 ,1640~1724) 《어우야담(於于野談)》,유몽인(柳夢寅,1559~1623) 등 황진이의 행적은 문인들의 기록에 단편적으로 실려있다.
때문에 황진이의 모습은 역사-hi'story'-에서의 이야기(story)구조, 즉 본래적 인과성이 부재하는 사실들의 편린 안에서 존재한다. 그러나 단편적인 일화에서 드러나고 있는 황진이의 모습은 다양한 문화자극에 노출되어 있는 현대인들에게 여전히 매력적이며 카리스마적인 호소력을 가지고 있다. 현대의 문화적 양상은 대부분 ‘벗어날 수 없는 구조를 인식하고 체념한 상태에서의 탈구조화’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문화적 양상은 황진이의 신화와 절묘하게 맞아떨어지고 있다. 결국 오늘날 ‘황진이’는 하나의 문화 코드로서 실제의 기표-역사에 존재하는 황진이-와 과부화된 환상-다층적 연애와 페미니즘의 무결성-이 조합된 신화적 인물로 재탄생되고 있다.
▒ 참고서적 ▒
『황진이 1, 2』, 전경린, 이룸, 2004
『연애소설이란 무엇인가』, 대중문학연구회, 국학자료원, 1998
『한국여성소설과 페미니즘』, 김미현, 신구문화사, 1996
『페미니스트 비평과 여성 문학』, 일레인 쇼월터 엮음; 신경숙,홍한별,변용란 옮김,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8.12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17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