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렁덩덩신선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렁덩덩신선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구렁덩덩신선비


1.머리말
[설화1] 그전에 할머니가 하나 계시는디요. 아들을 하나 낳았대요.
[설화 2]어떤 할머니가 자식을 기원하여 뱀 아들을 낳았다
[설화 3]어떤 늙은 부부가 아이를 낳았는데 뱀이었다

2. 서사단락별 변이와 종합
기본형

3.구조와 의미 분석
1)서사구조
2)병립적 구조

4. 자료

참고문헌

본문내용

허물벗은 선비
경북 군위
최정여
대계7-12
최순금(여,63)
30
구렁선비
경남 거제
류종목
대계8-1
양또순(여,74)
31
뱀신랑
경남 거창
최정여
대계8-5
이남이(여,57)
32
뱀신랑과 열녀부인
경남 밀양
정상박
대계8-7
김태영(여,68)
33
뱀에게 시집간 딸
경남 삼량진
정상박
대계8-9
이귀조(여,71)
34
구렁선비
경남 칠곡
류종목
대계8-10
김수용(여,66)
35
구렁이신랑
경남 의령
정상박
대계8-11
박연악(여,72)
1.전승지역이 한국의 전지역이라는 점이다.
2.구연자의 대부분이 여성이고 50대 이상의 노년층 이라는 점이다.
==신선비 이야기가 여성들의 세계에서 전승되었음을 말해준다.
5.구렁덩덩 신선비의 신화적 성격
-이 설화가 단순한 동화나 민담이 아니고 본래의 신화였던 것이 신성성을 상실하면서 민담으로 변모했으리라는 추정이 이루어졌다고 본다.
1)신선비 설화에서 출생한 구렁이는 보통의 뱀이라고 볼 수 없다.
구렁이를 낳은 할머니는 구렁이를 낳고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구렁이를 낳았다는 소문이 퍼지자 장자 집 딸 세 딸이 이를 구경하러 올 뿐 변고로 여기는 다른 일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내용은 구렁이가 신으로 숭앙 되었던 사정을 말해준다. 구렁이는 가정의 업으로서 또는 용과 같은 수신으로서 널리 숭앙 되었다. 굴뚝 밑에 삿갓으로 덮어 놓은 구렁이의 형태는 흔히 터주신의 모습을 연상하게 한다. 이러한 점에서 구렁이의 출생은 신의 하강으로 해석 할 수 있고 이를 굴뚝 밑에 놓아두었다는 것을 신위를 배설하고 봉안했음을 뜻한다.
2) 구렁이는 어머니에게 장자 집 셋째 딸에게 청혼할 것을 요구한다.
어머니에게 위협을 해서 당당하게 혼인을 주장한 것은 셋째 딸이 신을 모실 의사기 있음을 구렁이가 간파했기 때문이다.
'만약 청혼을 하지 않으면 불과 칼을 들고 어머니 뱃속을 다시 들어가겠다'라고 위협을 한다.
여기서 어머니 뱃속은 바로 大地를 상징한다. 불과 칼은 대지의 생산력을 파괴하는 무기이다.
불은 가뭄을, 칼은 전쟁 등 금속성의 도구들에 의해 그 생명을 상실 시킨다. 어머니의 뱃속에 들어간다는 것은 즉 가뭄이나 전쟁 등으로 대지의 생산력을 고갈 시키겠다는 위협으로 풀이 된다.
3) 구렁이의 신분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청혼에 임하는 장자는 크게 반발하지 않았다
구렁이를 긍정적 신으로 보고 셋째 딸을 신을 모시는 사제로 보아 무녀가 몸주신을 맞이하듯 구렁이와 셋째 딸의 혼례를 내림굿이나 입무식(入巫式) 과 같은 성격으로 해석할 수가있다.
4)신선비는 셋째 딸에게 구렁이의 허물을 잘 보관하라고 한다.
-구렁이가 신선비로 모습이 바뀌었다고 해도 신의 기능이나 인간의 숭앙이 달라진 게 아니다. 따라서 허물을 잘 보관하라는 것은 이러한 수신신앙의 지속을 의미한다고 본다.
-구렁이의 허물은 신선비의 전신이며 신의 상징이다. 허물을 신부에게 잘 보관하라는것은 신부에게 신을 섬기는 사제자의 임무를 부여한 것이다. 이러한 사제의 징표가 속인에게 노출되는 것은 신성이 세속에 의해 더렵혀지는 것이고 부정 탐을 의미하는 것이다.
-언니들이 구렁이의 허물을 찾으려고 애쓰는 것은 이와 같은 금기를 파괴하려는 세속의 도전이라 볼 수 있다. (聖 과 俗 의 대결) 언니들의 횡포는 신성을 거부하는 행위, 신의 위대함을 부정하는 태도이다.
-신선비의 잠적은 이처럼 신을 모독한 세속적 행위의 징벌의 의미를 가진다.
5)신선비가 새로운 세계에서 새 부인에게 장가를 갔다는 것
이는 수신이 다른 집단으로 이주하여 새로운 사제자를 확보하고 숭앙받게 되었음을 말한다.
따라서 두 부인이 신선비 하나를 놓고 경쟁을 벌인다는 것은 두 집단에서의 수신 쟁탈전이라고 풀이 할 수 있다.
신선비는 부인 자격 시험을 보게 되는데 이를 신화적 의미로는 사제자의 자격 시험이 된다.
수신 또는 농경 생산 신으로의사제자로서 물 긷는 능력, 사나운 짐승을 다루는 능력 등이 시험된 것이다. 따라서 시험에 합격한 것은 사제자로서 자격을 새롭게 인정 받는 것이고상실했던 수신을 새로이 맞이하여 대지의 생산력을 회복 함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상 검토한 바와 같이 신선비 설화는 우리나라의 수신 신화였던 자료임에 분명하다. 그러나 신화는 신성성을 본질로 하기에 신성성이 상실되면 민담으로 된다. 신선비 설화는 바로 수신 신화가 신성성을 상실하고 민담으로 변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강등학(2000),[한국 구비 문학의 이해], 월인
서대석(1986),[구렁덩덩 신선비의 신화적 성격], 한국고전문학연구회
  • 가격1,4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9.17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97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