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레스타인 : PLO (Palestine Liberation Organization)·하마스 (Hamas)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팔레스타인 : PLO (Palestine Liberation Organization)·하마스 (Hamas)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P. 2

Ⅱ. 본 론

 - PLO (Palestine Liberation Organization)
  1. PLO 창설배경.........................................................P. 2
  2. PLO 형성과정.........................................................P. 4
  3. PLO 발전과정.........................................................P. 7
  4. PLO 변화과정.........................................................P. 10
  5. PLO 현재와 미래....................................................P. 14

 - 하마스 (Hamas)
  1. 하마스의 등장.........................................................P. 16
  2. 하마스의 조직과 활동.............................................P. 18
  3. 하마스의 역사와 주요 사건....................................P. 22
  4. 중동평화와 하마스..................................................P. 24
  5. 하마스의 미래와 한계.............................................P. 31

Ⅲ. 결 론...............................................................................P. 32

Ⅳ. 참고 문헌........................................................................P. 33

본문내용

팔레스타인 총선에서 하마스가 압승한 것은 팔레스타인 정치사에서 중요한 사건이다. 하지만 서방 세계는 이번 선거 결과를 집권 파타당의 부정부패에 초점을 맞추면서 그 의미를 축소하고 있다. 더 나아가 팔레스타인에 대한 원조 중단을 주장하면서 하마스의 무장 활동 포기를 요구하고 있다. 조지W부시 미국대통령도 1일 AP로이터 통신과의 회견에서 하마스가 당의 정강을 바꿔 이스라엘에 대한 적대정책을 버리고 무장조직을 해체하지 않는 한 하마스를 지지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이번 선거에서 하마스가 승리한 원인은 대내외적인 요인으로 파악할 수 있다.
대내적인 요인으로는 집권 파타당의 부정부패와 무능을 들 수 있다. 파타당은 1994년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립 이후 권력을 장악했지만 팔레스타인 국민을 보호하는 기본 임무보다는 권력투쟁과 부정부패를 일삼았다. 지난 10년동안 파타당은 이스라엘의 점령정책에 대항하는 팔레스타인 저항운동을 가로막는 역할을 해 왔다. 오랜 세월 망명생활을 한 해외파 파타탕은 팔레스타인 국민의 요구사항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지만, 국내파 하마스는 그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팔레스타인 국민의 생존권을 위해 투쟁해 왔다.
대외적은 요인으로는 미국과 이스라엘의 강경정책에 대한 팔레스타인 국민의 반발을 들 수 있다. 이스라엘은 2002년 6월부터 팔레스타인 서안지구에 분리장벽을 건설했고 각 도시에 검문소를 설치했다. 분리장벽 주변에 있던 팔레스타인 가옥들은 일방적으로 몰수 파괴됐고 하나의 생활권이던 지역과 주민들이 일방적으로 분리됐다.
이러한 일방적인 이스라엘의 강경정책에 대해서 미국은 침묵했다. 특히, 가자 지구에서 이스라엘군이 철수한 이후 서안지구의 상황은 오히려 악화됐다. 서안지구에 보다 많은 정착촌이 건설되고 있고 이로 인해 이스라엘군의 감시와 탄압이 보다 더 강화됐다고 했다.
현재 미국과 이스라엘은 이스라엘의 생존권 인정과 무장해제를 전제조건으로 내걸면서 하마스를 대화상대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하마스는 2003년 야신 독트린을 토대로 이스라엘과 공존하는 팔레스타인 국가수립을 1차 목표로 설정했고 이후 이스라엘과 협상 가능성도 제기하는 등 강경노선에서 실용노선으로 선회했다.
하마스의 등장으로 인해 3월 총선을 앞둔 이스라엘에서는 강경파의 득세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만약 하마스와 이스라엘 강경파의 대립구조가 확산되면 앞으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평화 협상에 커다란 걸림돌이 될 것이다. 또한 지난해부터 중동전역에 선거혁명을 통한 이슬람주의의 등장은 중동의 정치지형도를 크게 바꾸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를 시작으로 레바논, 이란, 이집트, 이라크 그리고 팔레스타인에서 거세게 일고 있는 이슬람 열풍은 중동 정세를 새로운 방향으로 전환시키고 있다.
팔레스타인 선거 이후 중동의 정세는 새로운 갈등구조로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이는 곧
-31-
중동 갈등과 유가 급등의 원인이 될 것이다. 복잡한 중동정세를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장기적인 중동정책과 안정적인 석유정책 수립이 무엇보다도 요구 된다.
Ⅲ. 결론
PLO와 하마스는 그 창설 배경과 목적이 빼앗긴 땅을 회복하고 팔레스타인 민중을 위하고자 함이었다. 그라나 현재는 창설 목적은 퇴색되고 팔레스타인 내에서의 정치적인 패권을 두고 서로 대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PLO는 집권과정에서 부정부패와 무능함을 드러냈고 이스라엘을 인정하고 공존을 꾀하면서 팔레스타인 민중과 아랍권에 실망감과 배신감을 안겨주었고 그 결과는 총선의 패배로 이어졌다. 반면에 하마스는 이스라엘에 대한 강경 투쟁과 아랍권의 지원으로 팔레스타인 민중들의 지지를 얻는데에 성공하였다.
하마스는 성공을 거두었다. 하마스의 압승이 의미하는 것은 '하나의 정치 세력이 독자적으로, 충분하게 집권에 성공하였다'는 사실이다. 팔레스타인 총선에서 이루어 낸 하마스의 성과는 이제 자신들을 팔레스타인 문제 해법의 주된 당사자로 자리잡게 하였다. 지난 시기 PLO(현 집권 파타당의 전신 조직)가 30년 이상을 주도해 왔던 것처럼 이제 하마스가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되었다.
하마스는 투쟁의 당사자로서가 아니라 해결의 당사자로서 팔레스타인 문제에 마주해야 한다. 하마스의 성공이 진정 팔레스타인 민중의 성공이 되자면 더도 덜도 말고 이 한 가지만은 유념해야 할 것이다. 요컨대 그것은 문제에 대한 합리적 접근이다. 하마스가 투쟁의 시절에 지니고 보여주었던 팔레스타인 민중에 대한 깨끗하고 헌신적인 자세와 마음을 영원히 잃지 않는 것은 필수이다. 그러나 진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향적 입장으로 고민하려 들지 않는다면 하마스의 성공은 결국 팔레스타인 민중에게 고통의 연장으로 전락하고 말 것이며 그들을 놀랍도록 성공시켜준 민중에 의해 너무나 쉽게 ‘불신임’될 수 있다는 것을 그들은 기억하여야 할 것이다.
-32-
Ⅳ. 참고문헌
인티파다, 필 마셜, 이정구 역, 책갈피, 2001
팔레스타인 그 역사와 현재, 다테야마 료지, 유공조 역, 가람기획, 2002
우리는 평화를 원하지 않는다, 로이터 통신, 최정숙 역, 미래의 창, 2002
팔레스타인=Palestine, 조 사코, 함규진 역, 글논 그림밭, 2002
팔레스타인 분쟁의 어제와 오늘, 전홍찬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점령, 테러리즘, 그리고 미래, 마르완 비샤라, 유달승 역, 한울, 2003
중동정치의 이해1, 21세기 중동 이슬람문명권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이미지와 현실, 노먼 핀켈슈타인, 김병화 역, 돌베개, 2004
팔레스타인 땅, 이스라엘 정착촌, 홍미정, 서경문화사, 2004
모던 지하드; 테러, 그 보이지 않는 경제, 이종인 옮김, 시대의창, 로레타 나폴레오니, 2004
중동의 새로운 이해, 오름, 손주영 외, 1999
끝나지 않은 전쟁(이슬람 세계의 소수민족 분쟁, 청아출판사, 한국이슬람학회, 2002
팔레스타인 국가 건설과정에서의 내적 갈등과 협력, 최영철, 정상률, 국제 정치 논총 제43 집 4호, 2003, pp/471-493
주간동아 2003년 7월 31일(395호) pp/60-61
세계일보 2005년 5월 9일자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

키워드

  • 가격4,0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13.10.06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47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