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 S. Eliot의 「J. 앨프리드 프루프록의 사랑노래」(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와 『황무지』(The Waste Land)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T. S. Eliot의 「J. 앨프리드 프루프록의 사랑노래」(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와 『황무지』(The Waste Land)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결국 당시 1차 세계대전 이후 서서히 대두 되던 포스트모더니즘과 관련한 작품 이해 또한 필요하다. 물론 <황무지>의 현실에 대한 치밀한 묘사와 거침없는 사실적인 표현은 전적으로 '모더니즘'을 바탕으로 한 해석을 가능케 한다. 하지만 이는 작품 내부의 분석에만 치중한 것이 다. 시에 나와 있는 치밀한 묘사 는 그것이 마치 현실을 자세하게 담아내려 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게 한다. 하지만 그 묘사 는 현실 묘사를 위한 것이 아니라, 현실을 해체하려 는 의도에서 나온 것이다. 전통적인 시의형식을 탈피한 점 역시, 엘리엇의 포스트모더니즘적인 면모를 보여주는 것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지향점에 대해 확실한 정의를 내리기는 힘들다. 하지만 그 의미를 살펴보면, 이성중심주의를 배격한다는 점이 바탕이 됨을 알 수 있다. 기존의 이성중심주의, 합리주의가 모든 원리를 이분법화하고(이성과 감성, 백 인과 흑인, 남성과 여성 등), 이를 통해 적대적인 관계를 고의적으로 형성시켰다는 주장 하에, 올바른 주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 타자를 인식하고, 기존의 가치관에서의 일탈을 통한 새로운 가치 확인을 주장하였다. 실제 로 <황무지>에서는 이성에 대한 회의적인 태도를 가짐과 동시에 감정에 편향함으로써 사실의 세계로부터 일탈하려는 엘리엇의 의도를 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분법적인 세계에서 찾아 헤매는 대상과 실현 가능한 대상 간의 괴리를 느끼는 인간의 모습 (욕망은 범람하지만 결심은 할 수 없는 현대인의 상황)이 불모의 땅 자체임을 강조하는 엘리엇의 해석을 이해할 수 있다.
The Waste Land에 대한 현대적 이해
황무지는 1922년 에 발표된 시이므로 그 당시의 사회적 상황은 지금의 상황과 많이 다르다. 그러나 그때가 물질적이고 이성중심적인 문화코드가 다른 텍스트를 억압하는 시대였다면, 현재도 그와 크게 다르다고는 할 수 없다. 단지, 주류 문화코드가 권력을 장악하는 방식이 가시적이고 폭력적인 것에서, 미시적이고 욕망을 확장하는 방식으로 바뀌었을 뿐이다. 우리는 엘리엇이 쓴 황무지와 같은 시를 통해 무의식에까지 미시권력이 침투하여 새로운 서사텍스트를 지향해야 하 는 모습을 찾아 볼 수 있다. 그 당시에 사람들이 허 탈해하는 모습은 현대인이 무의식을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 에서 느끼는 허탈감과 비슷하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마치 원하는 모든 것 을 얻을 수 있는 것처럼 미시권력의 장치는 우리 의 무의식을 조종하고 있지만, 현대인은 결코 그것을 얻을 수 없다. 자본을 얻을 수 있는 것 은 소수의 사람들뿐이며, 욕망을 낭비하면 할수록 현대인은 점점 더 허무에 빠지는 것이다. 낭비의 욕망은 양적으로는 우리를 만족시키지만 질적으로는 여전히 결핍을 느끼게 한다.
현대인이 그러한 허무감을 극복하고, 이성과 과학에 의해 억눌린 마음을 해방시키려면 엘리엇의 시 의 형식과내용 파괴를 통해 시도했듯이, 무의식이 미시권력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는 것을 타성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것이 아 니라, 그것을 알고 또 다른 상징계를 상정하거나 기존의 상징계를 의심해봐야 할 것이다.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04.10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26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