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보틱스 & 모터제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로보틱스 & 모터제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없애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DC모터 제어중에서 적분 제어이다. 즉, 미소한 잔류편차를 시간적으로 누적하여, 어떤 크기로 된 곳에서 조작량을 증가하여 편차를 없애는 식으로 동작시킨다. 이와 같이, 비례 동작에 적분 동작을 추가한 제어를 \"PI 제어\"라 부른다. DC모터 제어의 이것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랫 그림과 같이 된다.
DC모터 제어의 미분 제어와 PID 제어는 PI 제어로 실제 목표값에 가깝게 하는 제어는 완벽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또 하나 개선의 여지가 있다. 그것은 제어 응답의 속도이다. DC모터 제어 PI 제어에서는 확실히 목표값으로 제어할 수 있지만, 일정한 시간(시정수)이 필요하다.
이때 정수가 크면 외란이 있을 때의 응답 성능이 나빠진다.
즉, 외란에 대하여 신속하게 반응할 수 없고, 즉시 원래의 목표값으로는 돌아갈 수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필요하게 된 것이 미분 동작이다. 이것은 급격히 일어나는 외란에 대해 편차를 보고, 전회 편차와의 차가 큰 경우에는 조작량을 많이 하여 기민하게 반응하도록 한다. 이 전회와의 편차에 대한 변화차를 보는 것이 \"미분\"에 상당한다. 이 미분동작을 추가한 PID 제어의 경우, 제어 특성은 DC모터 제어에서 아랫 그림과 같이 된다. 이것으로 알 수 있듯이 처음에는 상당히 over drive하는 듯이 제어하여, 신속히 목표값이 되도록 적극적으로 제어해 간다.
DC모터 제어의 컴퓨터에 의한 PID 제어 알고리즘로, 원래 PID 제어는 연속한 아날로그량을 제어하는 것이 기본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컴퓨터의 프로그램으로 PID 제어를 실현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연속적인 양을 취급할 수 없다. 왜냐하면, 컴퓨터 데이터의 입출력은 일정시간 간격으로밖에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미적분 연산을 착실히 하고 있는 것에서는 연산에 요하는 능력으로 인해 고성능의 컴퓨터가 필요하게 되고 만다. 그래서 생각된 것이 샘플링 방식(이산값)에 적합한 PID 연산 방식이다.
우선, 샘플링 방식의 PID 제어의 기본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조작량=Kp×편차+Ki×편차의 누적값+Kd×전회 편차와의 차
(비례항) (적분항) (미분항)
- 기호로 나타내면
MVn=MVn-1+ΔMVn
ΔMVn=Kp(en-en-1)+Ki en+Kd((en-en-1)-(en-1-en-2))
MVn, MVn-1: 금회, 전회 조작량
ΔMVn: 금회 조작량 미분
en, en-1, en-2: 금회, 전회, 전전회의 편차
이것을 프로그램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이번과 전회의 편차값만 측정할 수 있으면 조작량을 구할 수 있다.
\"DC모터\" 제어에서 파라미터를 구하는 방법은 PID 제어 방식에 있어서의 과제는 각 항에 붙는 정수, Kp, Ki, Kd를 정하는 방법이다.
이것의 최적값을 구하는 방법은 몇 가지 있지만, 어느 것이나 난해하며, 소형의 마이크로컴퓨터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번거로운 것이다(tuning이라 부른다).
그래서, 이 파라미터는 cut and try로 실제 제어한 결과에서 최적한 값을 구하고, 그 값을 설정하도록 한다. 참고로 튜닝의 수법을 소개하면 스텝 응답법과 한계 감도법이 유명한 수법이다.
또, 프로세스 제어 분야에서는 이 튜닝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Auto tuning 기능을 갖는 자동제어 유닛도 있다. 이것에는 제어 결과를 학습하고, 그 결과로부터 항상 최적한 파라미터값을 구하여 다음 제어 사이클에 반영하는 기능도 실장되어 있다.
여기서 스텝 응답법에 있어서 파라미터를 구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우선, 제어계의 입력에 스텝 신호를 가하고, 그 출력 결과가 아랫 그림이라고 하자(파라미터는 적당히 설정해 둔다).
윗 그림과 같이 상승의 곡선에 접선을 긋고, 그것과 축과의 교점, 정상값의 63%에 해당하는 값으로 된 곳의 2점에서,
L: 낭비시간 T: 시정수 K: 정상값의 3가지 값을 구한다.
이 값으로부터, DC모터 제어 각 파라미터는 아래 표와 같이 구할 수 있다.
이 파라미터에 범위가 있지만, 이 크기에 의한 차이는 특성의 차이로 나타나며, 아랫 그림과 같이, 파라미터가 많은 경우에는 미분, 적분 효과가 빨리 효력이 나타나므로 아랫 그림의 적색선의 특성과 같이 overshoot이 크게 눈에 띈다. 파라미터가 작은 쪽의 경우는 하측 황색선의 특성과 같이 된다.
[출처] DC모터 제어|작성자 모터뱅크
③ 로봇의 점대점 제어 방식과 ㅇ연속 경로 제어 방식의 차이를 설명하고 연속 경로 제어 방식으로만 가능한 작업 예를 다섯 개 이상 서술하시오.
PTP(point-to-point) 제어는 작업 공간 내에 흩어져 있는 작업점들의 위치를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통과하게 하는 제어 방식이다. 즉, 순차적인 위치 결정 제어라고도 한다.
가장 간단한 경우로는 개폐(on-off) 제어에 의한 2점 위치 결정 방식으로, 액추에이터로는 공압실린더를 사용한다. 조금 진보한 것이 여러 점을 설정하여 제어 명령에 따라 선택적으로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공압실린더개폐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기를 액추에이터를 사용한다. 가장 고급 방식은 서보 제어에 의한 위치 결정 방식으로, 작업 공정의 변화에 대한 유연성이 우수하다. 즉, PTP 제어는 경로는 무시하고 Point점 만 인식한다. 이러한 방식은 주로 Spot Welding, Pick and Place, Loading and Unloading등에 사용된다.
CP(continuous path control) 제어는 작업 공간 내의 작업점들을 통과하는 경로가 직선 또는 곡선으로 지정되어 있어, 그 지정된 경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위치 및 방향을 결정하면서 작업을 하도록 하는 제어 방식이다. 통과점들로 이루어진 모든 경로가 지정되어 있는 경로 제어이며, 2 이상의 자유도를 가지는 로봇에서만 가능하다. 예를 들면, 원호를 따라 손을 움직이려면 대응하는 2축이 서로 동기를 취하면서 원호보간을 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 동시에 2축 제어가 필요하다. 즉, 동시 제어가 가능한 축의 수는 산업용 로봇의 동작 경로를 제어하는 기본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주로 Spray painting, arc welding 등에 사용된다.
  • 가격9,66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4.05.28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05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