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C (Gulf Cooperation Council/걸프협력회의) (GCC의 역사적 배경, 통합성과와 앞으로의 과제, 우리나라와 GCC의 협력방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GCC (Gulf Cooperation Council/걸프협력회의) (GCC의 역사적 배경, 통합성과와 앞으로의 과제, 우리나라와 GCC의 협력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 GCC의 역사적 배경
 1. 결성 경위
 2. 결성배경
Ⅲ. 통합성과와 앞으로의 과제
 1. GCC 경제의 구조적 특징과 문제점
 2. GCC 경제통합의 추진현황
 3. GCC 경제 통합의 성과(통행, 관세, 전력, 철도, 통화)
Ⅵ. 우리나라와 GCC의 협력방안
Ⅴ.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Ⅵ-1 한국의 대 GCC 수출입 현황 및 전체 수출입에서의 비중>
단위: 백만 달러
수출
비중
수입
비중
2007
10,944
2.9%
55,154
15.4%
2008
15,034
3.6%
85,521
19.7%
2009
11,702
3.2%
49,876
15.4%
2010
12,503
2.7%
66,441
15.6%
2011
17,274
3.1%
95,466
18.2%
자료: 한국무역협회
표 Ⅵ-1은 2007년부터 2011년까지 한국과 GCC간의 수출입 금액과 대GCC 수출입이 한국의 전체 수출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 표이다. 수출 규모와 수입 규모가 큰 차이가 나는 이유는 한국의 대GCC 수입 품목들이 원유 및 자원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은 GCC 국가들로부터 석유사용량의 대부분을 수입해오기 때문에 총 수입에서의 GCC의 비중이 절대적이다.
이러한 수치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와 GCC간의 산업협력은 에너지자원과 건설 분야를 제외하면 실질적인 성과를 찾기 힘들었다. GCC측으로서는 에너지자원의 판매 시장, 건설 분야의 시공업체 이상으로 한국의 존재를 생각하지 않았고, 한국 역시 에너지자원 수입선, 일정 수준의 상품 수출 및 건설 수주 시장이라는 점 외에는 GCC의 존재를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주동주 외 4명, 『중동 GCC 산업다각화 전략과 한국의 협력』 (서울 : 산업연구원, 2012). p.209.
따라서 이제는 전통적인 에너지자원 확보와 해외건설, 플랜트 수출에 국한되는 대 GCC경제협력의 틀에서 벗어나서 GCC 각 국이 추진하는 산업 다각화 전략에 발을 맞춰야 한다.
이는 제조업, IT, 녹색산업, 서비스산업으로 나누어서 생각해 볼 수 있다. GCC국가들은 제조업이 취약하기 때문에 정부의 강한 의지와 지원이 있다. 또한 우리나라는 특히 제조업에서 높은 기술력과, 마케팅 역량과 브랜드 인지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시장 잠재력이 높은 자동차, 금속가공, 플라스틱 포장, 가전제품, 태양열과 같은 사업에 진출하는 것도 협력의 한 방법이 될 것이다. 다음으로 IT는 GCC국가들이 강력한 활성화 의지를 가지고 있는 분야이다. 또한 IT 산업은 우리나라가 가장 큰 강점을 가지고 있는 분야이기도 하다. 이는 GCC시장에 ICT협력센터 건설과 GCC 정부들에서 추진하는 전자정부 사업에 우리 정부의 참여 등을 통해 협력할 수 있을 것이다. 세 번째로는 녹색산업이 있는데, 사우디아라비아와 같은 국가는 2012년을 재생에너지 개발 원년으로 선포하며 2032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 50%를 목표로 삼고 기존의 발전 방식에서 벗어나 녹색산업기술로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해 우리나라는 이미 플랜트 건설을 통해 높은 신뢰를 얻었으며 반도체 관련 기반 산업이 발달한 것이 강점이다. 그렇기에 이를 통하여 태양열시설과 녹색에너지 관련 인프라 사업 확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GCC국가들은 풍부한 자금력과 높은 인구성장세 등을 등에 업고 정부가 서비스산업 성장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고급 인적자원과 IT분야 등의 높은 기술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특수교육, 사교육 등 틈새시장에 대한 협력을 개발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Ⅴ.결론
지금까지 GCC의 결성 배경과 결성과정과 같은 GCC의 태동부터 시작하여, 현재까지의 GCC의 통합 성과와 문제점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우리나라와 GCC가 어떻게 협력해야하는 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GCC는 6개국이 지닌 공통점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하여 상호 협력체제 구축에 대한 필요성을 공감하면서 추진되었다. 특히 현대 국제사회에서 화약고라고 불릴만큼 각종 분쟁이 많은 중동지역에 위치함에 따라 유사시 자체 방어능력이 취약한 국가들이 힘을 모으게 된 것이다. 이 배경에는 이란의 혁명, 이스라엘과 아랍의 전쟁, 이란이라크전이 있고 아울러 경제적인 배경으로는 지역공동체의 필요성의 대두와 석유생산량과 유가정책에 대한 대응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GCC 6개국은 계속적으로 통합을 시도해왔고 그에 따라 통행, 관세, 전력, 철도, 통화 등 다양한 방면에서 이러한 시도들이 계속되었다. 하지만 통행과 전력에 대한 논의가 활발함에 반해 통화와 관세와 같은 일부 분야에서는 통합에 대한 논의가 더디고 있는 실정이다.
몇 년 전부터 시작된 글로벌 금융위기로 미국, 일본, 유럽 등 선진국 경제가 침체되는 상황에서 GCC국가들은 지난 10여 년 간 축적된 1조 달러 이상의 경상수지 흑자를 이용해 막대한 개발 사업을 추진하였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기업들이 GCC국가들의 대형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는 늘어났다. 하지만 단순히 기존에 이루어지던 발주와 수주를 통한 건설, 플랜트에만 국한된 것을 벗어나야한다. 이제는 GCC국가들이 중요하게 초점을 맞추고 있는 산업 다각화 전략에 발을 맞추어서 대응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홍성민, 「이슬람 경제와 금융」 KUIS Press, 2009
이성수,『걸프協力會議(GCC)의 統合成果에 관한 硏究』,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분도 외 2명,『한GCC(걸프협력회의) FTA 추진 현황 분석과 우리나라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2011
주동주 외 4명, 『중동 GCC 산업다각화 전략과 한국의 협력』, 산업연구원, 20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FTA 대상국으로서 GCC 시장 평가』, 2009
KOTRA, 『韓-GCC(걸프협력 협의회) FTA 체결 영향과 시사점』, 2006
박정현, 『UAE, GCC 국가 전력망 연결사업 2단계 돌입』, KOTRA, 2011
이관석, 『GCC, 최소 154억 달러 이상의 6개국 연결 철도 프로젝트 추진』, KOTRA
BP,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June 2013』, 2013,06.
Hassan K. Al-Assad외 1명,『The GCC Power Grid: Benefits & Beyond』,GCCIA
한국무역협회 www.kita.net
KOTRA 글로벌 윈도우 www.globalwindow.org
GCCIA www.gccia.com.sa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4.06.06
  • 저작시기201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20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