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역사]집의 역사 - 원시시대,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집의 역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축역사]집의 역사 - 원시시대,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집의 역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원시시대
1) 구석기시대
2) 신석기시대
3) 청동기와 철기시대
4) 원시시대의 기타 건축양식

2. 삼국시대
1) 고구려건축
2) 백제건축
3) 신라건축

3. 통일신라시대
1) 궁궐건축
2) 불사건축
3) 기타건축

4. 고려시대
1) 목조건축 양식
2) 궁궐건축
3) 불사건축
4) 기타건축

참고문헌

본문내용

, 미륵사지는 일탑삼당식 가람)
ㆍ신라와 일본의 가람배치에 영향.(에, 신라의 황룡사와 일본의 사천왕사)
(3) 기타건축
주거건축
ㆍ삼국중 주택 관련 자료가 가장 빈약
ㆍ고구려의 주거건축과 유사하였을 것으로 추측
ㆍ말기에는 고구려의 영향으로 온돌을 사용했을 것으로 추측
3) 신라건축
(1) 궁궐건축
ㆍ고구려, 백제 및 중국 당나라의 영향을 받음
ㆍ건국초 부터 궁궐건축은 비교적 검소하였던 것으로 추측
ㆍ처음에는 금성에 궁궐을 건축하였으며 월성을 건설한 후 월성으로 이주
(2) 불사건축
건축개요
ㆍ백제의 일탑식 가람배치로부터 영향
ㆍ534년(법흥왕21년) 흥륜사와 영흥사를 최초로 건축
ㆍ황룡사가 신라의 가람배치를 대표
(3) 기타건축
주거건축
ㆍ신라와 통일신라의 주거건축은 상호유사하며 시대적 구분이 명확치 않음
ㆍ통일신라의 주거건축을 참조할 것
3. 통일신라시대
1) 궁궐건축
ㆍ통일신라 궁궐유적으로는 별궁인 동궁지와 포석정이 현존
ㆍ동궁의 안압지 및 임해전지, 경북 경주
-안압지는 중국 당나라 장안성의 금원을 모방하여 조원한 궁궐의 정원
-임해전은 군신들이 현회를 베풀고 외국사신을 영접하는 영빈관 건물
ㆍ포석정, 경북 경주, 9세기경
-석조수로로 이루어진 궁궐의 유원지
2) 불사건축
건축개요
ㆍ삼국시대의 일탑식 가람배치에서 이탑식 가람배치로 발전
ㆍ금당이 가람의 중심이 되었으며 금당의 전면 양측에 2개의 탑을 세움.
ㆍ중기이후 밀교, 선종의 성행으로 내적성찰을 중요시하게 되어 산지가람을 조영
3) 기타건축
주거건축
ㆍ신라와 통일신라의 주거건축은 상호유사하며 시대적 구분이 명확지 않음.
ㆍ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당시의 주거양식에 관한 기록이 전래
ㆍ건축규제와 가사제한
골품제도에 의해 주거양식을 제한
신분계급에 따라 대지의 규모, 주택의 규모와 사용재료 등을 제한
ㆍ기후조건으로 보아 마루구조를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측되며 온돌의 사용여부는 불분명
4. 고려시대
1) 목조건축 양식
(1) 개관
ㆍ초기에는 통일신라의 건축수법을 계승
ㆍ고려중기에 주심포양식이, 고려후기에 다포양식이 각각 발생됨
ㆍ이 두가지 공포양식은 이후 한국 목조건축양식의 주류를 형성
(2) 주심포양식
ㆍ고려시대 중기 중국 송나라로부터 전래
ㆍ고려시대의 주류적인 공포양식으로 당시의 주요건물에 사용
ㆍ고려시대 주심포양식은 주두와 소로의 굽면이 곡면이며 각각 굽받침을 지님
ㆍ봉정사 극락전은 고려시대의 주심포양식 건물오서는 예외적으로 주두와 소로가 굽받침을 지니지 않음
(3) 다포양식
ㆍ고려시대 말기 중국 원나라로부터 전래
ㆍ기둥상부에만 공포를 배치하는 주심포양식과는 달리 주간에도 공포를 배치
ㆍ주간에 공포를 배치하기 위해 창방 위에 다포양식 특유의 부재인 평방을 덧대어 구조적으로 보강
ㆍ건물실례
-심원사 보광전, 황해도 해주, 1374년
-석왕사 응진전, 함남 안변, 1386년
-경천사 10층 석탑, 서울 1349년
-탑신의 옥개석 하부에 다포양식의 공포구조를 조각
2) 궁궐건축
ㆍ만월대, 장락궁, 수창궁 등이 건설되었으나 만월대만이 유구로서 확인됨.
ㆍ만월대, 개성
-궁궐은 일반적으로 평지지형에 건설되나 만월대는 경사지형에 건설
-경사지형에 형성된 수개의 단지에 분절된 남북 축을 따라 건축물등울 배치
-정문인 승평문과 정전인 회경전을 비롯해 장화전, 원덕전, 장경전 등의 건축물로 구성
3) 불사건축
(1) 건축개요
ㆍ통일신라의 이탑식 가람배치를 계승하고 일탑식 가람배치도 겸용
ㆍ풍수지리 사상의 영향으로 산지가람이 성행
ㆍ도읍에서 멀리 떨어진 심산유곡의 경사지형에 건물을 자유스럽게 배치
ㆍ이전 시대의 대칭적이고 정형적인 가람배치가 붕괴
ㆍ지형적인 관계로 회랑이 없어지고 중문이 루의 형식의 건물로 바뀜
4) 기타건축
(1) 주거건축
ㆍ왕족과 상류계층은 중국식으로 의자, 탁자, 침상 등을 이용
ㆍ온돌구조가 삼국시대와 같이 북부지역에만 한정되지 않고 서민주거에 전국적으로 널리 이용됨.
ㆍ풍수지리사상의 영향
-음양오행설에 의한 풍수지리 사상이 주택의 입지와 규모에 영향
-전국토가 산지지형이므로 음양의 조화를 위해 단층의 주택을 지어야한다고 강조
ㆍ고려말기 부터는 유교의 영향으로 주택내에 가묘, 즉 사당을 설치
참고문헌
김동욱 저, 한국건축의 역사, 기문당 2013
서영두 저, 한국의 건축 역사, 공간출판사 2004
전봉희, 권용찬 저, 한옥과 한국 주택의 역사, 동녘 2012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6.21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52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