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근선생님의 공간사옥레포트 A++ 가능!!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김수근선생님의 공간사옥레포트 A++ 가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공간사옥의 선정 이유
2) 공간사옥의 개요


Ⅱ. 본론
1) 건축가 김수근 선생님의 소개
2) 공간사옥의 특징
3) 공간사옥의 한국적인 미
4) 공간사옥과 한옥


Ⅲ. 결론 및 느낀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여주고있다. 그리고 같은계단이 반복된 것이 아니라 2층과 3층으로 오르는 계단과 3층에서 4층으로 오르는 계단의 차이에서 오는 변화된 연속을 추구했다.
2) 외부특징
1. 김수근의 띠
건물의 방향성과 측면 파사드 분절. 김수근이 설계한 많은 건물에서 벽돌 두 장 두께의 벽체가 벽면에서 돌출한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김수근의 띠'라고 부를 정도로 건축조형에 주요 모티브로 사용된 것이다.
2. 계절마다 다른 구건물 외관
얼핏 보기에는 긴장방형 모양인데다 창이 별로 없어 폐쇄적이라는 인상을 준다. 외벽 재료로 쓰인 검은 벽돌 위로 담쟁이 덩굴이 감싸고 오른 모습은 계절마다 건물의 표정을 변화시킨다. 또한 자연친화적인 이미지를 살리게 된다.
3. 투명한 유리벽으로 설치된 신관
기둥은 노출 콘크리트를 사용했으며 외벽은 투명도를 높이기 위해 유리벽 사이사이에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그냥 틈을 두었다. 이런 사정으로 신사옥에는 항상 블라인드가 내려져 있다. 뿐만아니라 구건물에서 창경궁과 창덕궁의 아름다운 뜰을 감상할 수 있도록 무엇보다 건물의 투명도에 중점을 두었다.
3) 공간사옥의 한국적인 미
1. 대조와 어울림
사면을 투명한 유리로 마감한 첨단공법의 신관은 외관상 흑색벽돌의 패쇄적인 구관과 극명한 대조를 보이지만 애초의 공간철학은 그대로 구현했다.
2. 자연주의
간에 따라 변하는 담쟁이는 구사옥의 외벽을 전체적으로 뒤덮고 있다. 자연친화적이었던 작가의 가치관에 걸맞게 자연과의 어울림을 보여준다.
3. 조화
중정에는 당시의 한옥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당시에 ㅁ자 형의 한옥들의 기와색과 어울리기 위해 구사옥이 철근콘크리트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외장재를 검은 벽돌로 하여 조화를 이룬다.
4. 매개공간
매개공간은 한국 전통 건축의 가장 큰 유기적 특성이며, 자연과 외부, 그리고 내부 공간을 연결한다. 그리고 시간에 따른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융통성 부여. 예를 들자면 마루이다.
김수근 선생님의 인터뷰 중에 마루에 대해 언급한 내용이 있다.
“그곳은 외부공간과 내부공간으로 구분되지 않는 중간지대이며 융통성이 큰 공간이다. 겨울
에는 위에 걸어둔 미닫이창을 닫아서 내부 공간화하고, 여름에는 오픈시켜서 외부공간에 가깝게 한다.”
아래의 리셉션 홀은 내부이기도 하면서 외부이기도 한 모태공간이다. 벽체를 유리로 투명하게 개방하여 시각적으로 대청마루에 앉아있는 느낌을 준다.
아래그림의 좌측의 마당은 구사옥과 신사옥 사이에 있는 곳으로 이 또한 매개공간으로 신구를 연결한다. 한편 우측의 신사옥과 구사옥을 잇는 다리도 매개공간의 역할을 한다. 구사옥의 기준으로 봤을 때, 신사옥은 외부공간이 된다.
5. 전통양식
정낭은 제주도 정통대문양식으로 나무가 1개가 있을 때는, 주인이 곧 돌아온다는 표시이고, 2개는 저녁에 돌아옴, 3개는 멀리 출타중이니, 나중에 돌아온다는 뜻이다.
6. 3개의 시점 3개의 공간
현재의 공간사옥은 1971년 완공한 건축에 잇대어 77년 증축된 구관과 20년의 시간차를 두고 97년 지은 장세양(1947-1996) 설계의 신관으로 되어있다. 사면을 투명한 유리로 마감한 첨단공법의 신관은 외관상 흑색벽돌의 패쇄적인 구관과 극명한 대조를 보이지만 애초의 공간철학은 그대로 구현했다. 구관이 한옥촌에 지어지는 것을 고려해 기왓장 느낌의 전(塼)을 새로 만들어 썼듯 신관은 창덕궁을 놓치지 않으려 존재감을 극소화하는 투명한 공법으로 표현했다. 또 구관이 작은 마당을 둬 내.외부를 소통 시켰듯 신관은 유리로써 보다 적극적으로 안팎을 없앴다. 덕분에 오가는 사람들은 샹들리에처럼 빛나는 야경을 볼 수 있게 됐고 그 덕에 도시는 더욱 풍요로워졌다.
4) 공간사옥과 한옥
이번에는 좌측의 공간사옥 평면도와 전통한옥양식인 ‘-’자형 평면도를 비교해 본다. 보면 알 수 있듯 입구의 위치 또한 비슷하며, 마루의 위치와 중정의 위치도 같다. 공간사옥은 두 개의 일자형 사옥이 합쳐진 형태로 볼 수 있다. 참고로 일반적 한옥 양식은 ‘ㄱ’자형과 ‘-’자형이 있다.
[선적이미지]
김수근 선생님은 일본에서 유학생활을 하여 선적이미지를 추구한 것도 있지만 평생을 북촌 한옥마을에서 생활하신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여기서의 영감도 무시할 수 있다. 아니 지배적이다. 한옥에는 수많은 매스들의 중첩으로 한국의 군집미를 이루며, 양감의 선적인 처리를 이룬다. 특히, 기와에는 수많은 선들이 존재한다.
이는 공간사옥 입면도를 보면 확실히 선적 이미지가 적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수많은 선들이 양감과 전체 건물을 구성하게 된다.
Ⅲ. 결론 및 느낀점
공간속에 공간, 기본적인 척도를 인간화에 중점, 구건물에서 창경궁과 창덕궁의 아름다운 뜰을 감상할 수 있도록 건물의 투명도에 중점을둔 세심함, 대조와 어울림 그리고 자연주의
이러한 부분들을 볼때 얼마나 아름답고 훌륭한 건축물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둘러싸여 있으나 결코 막히지 않은 공간’이라고 공간사옥을 정의하고 싶다. 이는 한국인의 정서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예전에는 대문을 항상 열어 두고, 열린 구조를 갖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현대에 와서는 건축물들이 모두 폐쇄적으로 막히고 답답한 느낌을 준다. 여기서 공간사옥의 작가인 김수근 선생님은 이를 탈피하고자 하셨고,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목적을 이루셨다.
공간사옥은 한국건축사에서 가장 뛰어난 건물로 손꼽히며, 한국의 건축적 전통을 현대적으로 승화시켰다고 평 받고 있다.
Ⅳ. 참고문헌
월간 space(공간그룹에서 발행하는 잡지)
건축가 김수근 : 공간을 디자인하다 / 황두진 저 / 나무숲 / 2007
김수근 건축론 : 한국건축의 새로운 이념형 / 정인하 저 / 시공문화사 / 2000
좋은 길은 좁을수록 좋고 나쁜 길은 넓을수록 좋다 / 김수근 저 / 공간사 / 1995
김수근의 건축적 패러다임의 변화와 그 배경에 관한 연구 / 김경태 / 수원대학교 대학원
김수근 건축철학의 한국성에 관한 연구 / 이성수
공간그룹 : http://www.spacea.com
개인블로그 : http://sh791128.blog.me/
이용재 문화기행 : http://lee-yongjae.com/120039355229
※기타 사진자료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4.06.29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66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