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겨울계절학기 경제통계분석 수강생들의 향후 직업 선택 결정 요인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울대 겨울계절학기 경제통계분석 수강생들의 향후 직업 선택 결정 요인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주제
2. 필요성
3. 목적
4. 분석틀
5. 기존 연구 문헌
6. 변수 및 표본 등 설정
7. 가설 설정
8. 분석
9. 결론 및 한계

본문내용

중요전공, 학년4
f 예측값: (상수), 학년1, 학년3, 전공만족중, 가장중요전공, 학년4, 장래성구성안정성
모형 요약
모형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1
선형회귀분석
5.444
1
5.444
34.300
.000(a)
잔차
15.556
98
.159
합계
21.000
99
2
선형회귀분석
7.883
2
3.942
29.148
.000(b)
잔차
13.117
97
.135
합계
21.000
99
3
선형회귀분석
8.991
3
2.997
23.959
.000(c)
잔차
12.009
96
.125
합계
21.000
99
4
선형회귀분석
10.558
4
2.640
24.014
.000(d)
잔차
10.442
95
.110
합계
21.000
99
5
선형회귀분석
12.609
5
2.522
28.253
.000(e)
잔차
8.391
94
.089
합계
21.000
99
6
선형회귀분석
13.285
6
2.214
26.693
.000(f)
잔차
7.715
93
.083
합계
21.000
99
a 예측값: (상수), 학년1
b 예측값: (상수), 학년1, 학년3
c 예측값: (상수), 학년1, 학년3, 전공만족중
d 예측값: (상수), 학년1, 학년3, 전공만족중, 가장중요전공
e 예측값: (상수), 학년1, 학년3, 전공만족중, 가장중요전공, 학년4
f 예측값: (상수), 학년1, 학년3, 전공만족중, 가장중요전공, 학년4, 장래성구성안정성
g 종속변수: 희망직종일반직
분산분석(g)
모형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유의확률
B
표준오차
베타
1
(상수)
.222
.042
5.292
.000
학년1
.778
.133
.509
5.857
.000
2
(상수)
.091
.050
1.833
.070
학년1
.909
.126
.595
7.191
.000
학년3
.338
.080
.351
4.247
.000
3
(상수)
.152
.052
2.929
.004
학년1
.960
.123
.629
7.819
.000
학년3
.405
.080
.421
5.076
.000
전공만족중
-.225
.075
-.240
-2.976
.004
4
(상수)
.215
.051
4.184
.000
학년1
.939
.115
.615
8.151
.000
학년3
.453
.076
.472
5.975
.000
전공만족중
-.309
.074
-.331
-4.170
.000
가장중요전공
-.442
.117
-.289
-3.776
.000
5
(상수)
.067
.056
1.205
.231
학년1
1.134
.112
.743
10.170
.000
학년3
.680
.083
.707
8.180
.000
전공만족중
-.403
.070
-.431
-5.786
.000
가장중요전공
-.616
.112
-.403
-5.519
.000
학년4
.417
.087
.394
4.794
.000
6
(상수)
.073
.054
1.357
.178
학년1
.926
.130
.606
7.133
.000
학년3
.606
.084
.631
7.199
.000
전공만족중
-.438
.068
-.468
-6.417
.000
가장중요전공
-.659
.109
-.431
-6.068
.000
학년4
.346
.088
.327
3.956
.000
장래성구성안정성
.220
.077
.229
2.855
.005
a 종속변수: 희망직종일반직
계수(a) - 희망직종을 일반직으로 선택한 사람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보면, 1학년, 3학년, 4학년, 전공만족 ‘중’, 가장중요 ‘전공’, 장래성 구성요소중 ‘안정성’이 유의미한 값으로 나타났다. 1학년과 3학년, 4학년은 타학년에 비해 일반직을 선택할 것으로 나타났는데 표준화된 베타값으로 비교하자면 3학년이 가장 영향력이 높고 그다음이 1학년, 4학년 순이었다. 또한 전공만족도 ‘중’인 사람은 아닌 사람에 비해 일반직을 덜 선택할 것으로, 취업시 ‘전공’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사람도 일반직을 덜 선택할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장래성 구성요소중 ‘안정성’을 택한 사람은 전문직보다 일반직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전문직과 일반직을 종속변수로 둔 각각의 식을 세워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직= -.446*1학년 + .732*2학년 + .536*전공만족도 ‘중’ + .821*가장중요 ‘전공’ + .179
일반직= .926*1학년 + .606*3학년 + .346*4학년 + (-.438*전공만족도 ‘중’) + (-.659*가장중요 ‘전공’) + .220*장래성구성 ‘안정성’
9. 결론 및 한계
분석 결과 1-3을 제외한 1-1, 1-2, 1-4가 채택되었으며 가설 2는 제대로 검증할 수 없었다. 궁극적으로 알고자했던 가설2- 즉, 직업선택에 있어 어떠한 요인(전공, 연봉, 장래성, 복리후생 중)이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지는 분석 결과 유의미한 값이 나오지 않아 알 수 없었다. 결국 직군별로 독립변수, 통제변수를 넣어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말았다. 이에 대한 문제의 원인은 설문 조사를 통한 자료 수집과정에서 양적 변수보다는 질적 변수로 조사 문항을 작성해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를 모두 명목변수로 잡은 것에서 귀인한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양적 변수로 조사를 했을 경우 분석이 수월했을 수 있으나 시간 관계상 그렇게 하지 못하여 사실상 알고자 했던 목표는 달성하지 못한 채 여러 부수적 특성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표본이 20개로 한정되어 있었던 것 역시 자료 분석과정에서 유의미한 값을 얻기 힘들었던 이유로 사료된다. 적어도 30개 이상은 되어야 값을 찾을 수 있는데 똑같은 값을 5배로 해서 100개의 표본이 되었다해도 결국 같은 표본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자료를 쓴 것이나 다름 없어 높은 유의수준을 가지고 있는 분석 결과를 얻기 힘들었다.
연구 팀원간 의견 교환을 통해 조금 더 면밀한 주제와 분석틀을 짜보았다면 설득력있는 분석 결과를 제시할 수 있었을 것이나 촉박한 시간상의 이유로 조금 더 세밀하게 들여다보지 못한 것이 못내 아쉽다. 후에 사회에 진출하거나 학교에서 이런 분석을 하게될 기회가 더 있다면 이번 경제통계분석 시간에 배운 방법론을 이용해 추후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이도록 노력하겠다.
  • 가격1,4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5.03.13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98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