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간호학 뇌졸중 재활 리포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재활간호학 뇌졸중 재활 리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뇌졸중이란?
2. 뇌졸중에서 가능한 진단
3. 뇌졸중 재활과정
-출처

본문내용

하장애
연하는 수분이나 음식물을 입으로 가져가 인두와 식도를 거쳐 위로 보내는 과정으로서 이에 문제가 생기면 탈수증 및 영양불량상태에 빠지거나, 음식물이 기도에 흡인(aspiration)되어 폐렴이 유발될 수 있으며, 음식물에 의해 기도가 막혀 질식되는 경우에는 사망을 초래할 수도 있다.
연하곤란 및 기도흡인의 진단으로는 문진 및 여러 가지 이학적 검사들이 도움이 되며, 식사 중이나 후에 기침이 나올 경우는 연하장애를 의심해야 한다. 연하장애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비디오 투시 연하검사(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를 시행한다.
연하장애의 치료로서 임상양상에 따라 대상적 자세(compensatory posture) 교육과 및 재활운동(facilitatory exercise)을 실시하며, 필요할 경우 음식물의 점도를 조절(dietary modification)하여 식사 처방을 해야 한다. 구강 식이가 불가능하거나 충분치 않을 경우 관 식이(tube feeding)를 고려해야 한다. 기도흡인을 줄여 주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턱 당김 연하(chin tuck swallow), 성문상부 연하(supraglottic swallow), 고개 돌림 연하(head turning swallow), 고개 기울임 연하(head tilting swallow) 등이 있으며, 인두에 잔류된 음식물의 양을 줄이기 위해 반복 삼키기(double swallow), 힘껏 삼키기(effortful swallow), 고개 돌림 연하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7) 배뇨 및 배변 장애
배뇨 및 배변 실금은 뇌졸중 환자의 1/3~2/3에서 관찰되는 흔한 증상 중 하나이지만 대부분 회복된다. 배뇨의 경우 초기에 배뇨근의 반사가 떨어져 있지만(detrusor areflexia), 이후 배뇨근 반사가 증가하면서 절박 요실금(urgency incontinence)이나 빈뇨(frequency)를 보이게 된다. 하지만 배뇨중추인 뇌교에 병변이 없다면 회복기 이후에는 배뇨근 조임근 협동장애(detrusor-sphincter dyssynergia)나 잔뇨(residual urine)는 관찰되지 않는다.
배뇨장애에 대한 치료로서 시간을 정해 소변을 보게 하는 배뇨 프로그램(timed voiding)을 실시하고 필요한 경우 배뇨근의 반사를 감소시키기 위해 항콜린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배변의 경우 신경학적인 문제라기보다는 뇌졸중으로 인한 움직임의 저하나 의식 및 인지기능 저하로 인한 의사소통의 장애로 배변 실금이나 변비가 발생하게 된다. 조기에 보행을 시키고 식사량과 물, 섬유질의 섭취를 증가시켜야 하며, 필요하면 대변 연화제를 사용한다.
출처
*김연희 외. 뇌졸중 재활치료를 위한 한국형 표준 진료 지침. Brain & N euroRehabilitation Vol. 2, N o. 1, March, 2009. 1~38
*[네이버 지식백과] 뇌졸중 재활치료 [rehabilitation in stroke] (신경학, 2005.11.30,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가격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6.02.27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53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