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계 구조, 기능, 사정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경계 구조, 기능, 사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2. 신경계의 건강력 수집
3. 신체 검진

본문내용

로 열쇠나 동전 같은 익숙한 물건을 사용하는데 촉각이나 위치감각이 정상인데도 입체 감각이 없다면 대뇌피질의 병변이 있음을 의미한다(그림 18). (2) 피부그림감각(graphethesia)
대상자가 눈을 감은 상태에서 끝이 뭉툭한 면봉 끝이나 팬을 이용해서 손바닥에 쓴 숫자나 글자를 맞추는 감각이다. 이 때 대상자가 알고 있는 글자나 숫자를 써야 한다(그림 19).
그림 20. 두점식별감각 검사
그림 18. 관절의 위치감각 검사
그림 19. 피부그림감각 검사
(3) 두점식별감각 (two-point discrimination)
두점식별 검사 도구나 클립을 구부려 두 개의 끝을 만든 것을 이용해서 손가락에 두 끝을 대어서 두 개로 인식하는지를 보는 검사이다. 검사 시 양끝의 간격을 점점 좁혀서 언제까지 두 끝을 인식하는지를 확인한다. 감각세포가 많은 손끝은 두 점으로 인식할 수 있는 거리가 짧고 대퇴부와 같은 곳은 두 점으로 인식할 수 있는 거리가 긴특성이 있다(그림 20).
신체부위
최소거리(mm)

1
손가락 끝
2~8
발가락
3~8
손바닥
8~12
뺨과 아래팔(forearm)
40

40~70
위팔(upper arm)과 대퇴
75
그림 21. 이중 동시감각 검사
(4) 이중 동시감각
몸에 좌우 부위를 동시에 만졌을 때 알아차리는지 보는 검사이다(그림 21).
소멸현상(extinction phenomenon)이라고도 하는데 정상적으로 양쪽의 감각을 동시에 인식해야 하는데 두정엽(마루엽, parietal lobe)에 병변이 있게 되면 몸의 반대편을 인식하지 못하여 한 개의 자극만을 인식한다.
라. 반사기능 검진
반사는 불수의적인 근육운동으로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반응이다. 반사는 크게 심부건반사(deep tendon reflexes, DTR), 표재반사(superficial reflex) 가 있고, 병적반사가 있다. 중추신경계인 상위운동신경원이 손상되면 억제 섬유가 장애를 받기 때문에 과다반사를 일으키고, 반대로 하위운동신경원이 손상되면 반사활동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그림 22. 심부건 검사
심부건반사
심부건 반사는 건반사로도 불리는데, 반사망치(헤머)로 근육과 연결된 건부 위를 가볍게 타진했을 때 감각 자극이 척수의 반사궁을 통해 운동신경으로 전달되어 근육수축이 일어난다(그림22). 반사망치를 사용할 때는 사용하려는 손의 엄지와 검지로 망치의 손잡이를 잡고 검사하려는 부위를 가볍게 때리며, 좌우 대칭성과 강도를 확인한다. 반사활동은 무반응 0점부터 과다 반사인 4점까지 보인다(표). 정상적인 반사점수는 2점이다. 3~4점의 강한반사는 상위운동신경원 손상을 의미한다.
점수
설명
0
반응 없음
1
반응이 둔하거나 약함
2
능동적이며 기대되는 정상 반응
3
기대한 것보다 강한 반응
4
간헐적 경련을 동반하는 과잉 반응
그림 23. 상하지에 심부건 반사와 측정 위치
3) 병적 반사
신경계에 병변이 있을 때 병적반사가 나타나는데 바빈스키반사, 전두엽 방출 징후, 수막자극징후로 케르니그(Kernig) 징후와 부르진스키(Brudzinski) 징후가 있다. 전두엽방출징후는 신생아에서만 나타나는 정상적인 반사인데 치매 등 퇴행성질환이 있을 때 비정상적으로 다시 나타난다(그림25).
그림 24. 표재반사의 종류와 검사 방법
그림 25. 병적 반사와 검사 방법
A. 바빈스키반사
(정상- 음성) 발바닥을 발 뒤꿈치부터 발가락쪽으로 긁었을 때 정상적으로는 발가락이 모두 발바닥쪽으로 굽는다.
(비정상-양성) 발가락이 부채처럼 펴지면서 위로 향한다.
B. 전두엽방출징후
① 입내밀기반사(snout reflex): 입술 위에 손가락이나 설압자를 얹고 망치로 툭 치면 입술을 앞으로 내민다.
② 먹이찾기반사(rooting reflex)
③ 잡기반사(grasp reflex): 손바닥을 자극하면 움켜잡으려 한다.
④ 미간반사(glabellar reflex): 양 눈썹 사이 이마를 툭툭 치면 지속적으로 눈을 깜빡 거린다.
C. 수막자극징후
① 케르니그징후(Kernig's sign): 엉덩이와 무릎을 구부리게 한 다음 무릎을 수동적으로 폈을 때 통증을 느끼면 비정상적 양성반응이다.
② 부르진스키징후(Brudzinski’s sign): 반듯이 누운 상태에서 대상자의 목을 구부릴 때 엉덩이와 무릎이 구부러지면서 통증을 느끼면 비정상적 양성반응이다.
마. 소뇌 및 조정능력 검진
조정(coordination)능력은 감각, 운동, 소뇌기능이 통합되어 나타난다. 조정 능력 평가는 롬버그 검사를 통해 자세를 잘 유지하는지와, 빠른 교대운동이나 손가락-코 검사와 같은 정확성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그림26). 소뇌 손상이 있는 경우 대상자는 양발을 모으고 서 있지 못해 발을 벌리고 서 있으면서도 중심을 잘 잡지 못하게 된다. 또한 빠른 교대운동이나 정확성 검사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며 움직임을 시작하면 손을 떠는 동작을 보인다.
그림 26. 소뇌 및 조정능력 검사
A. 롬버그 검사 B. 빠른 교대운동 C. 손가락-코 검사
D. 손가락-손가락 검사 E. 발꿈치무릎 정강이검사
바. 무의식 환자의 검진
의식이 없는 환자를 사정할 때는 환자가 최대한 의식을 유지할 수 있게 이름을 부르거나 흔들어 깨우거나 통증을 주는 등의 자극을 주어 신경계 사정을 시행한다. 빠르게 사정할 때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평가한다.
그림 27. 제피질 경직과 제뇌경직 자세
A. 제피질경직: 하지는 신전되나, 팔꿈치, 손목, 손가락은 굴곡하고 내전한다.
B. 제뇌경직: 통증 자극 시 상지는 신전, 외전 되고, 다리도 신전되고 족저굴곡을 보인다.
내용
평가방법
의식수준
글래스고 혼수척도(GCS)를 평가한다.
동공 사정
동공의 크기, 모양, 빛에 대한 반응을 확인한다.
운동기능
사지의 움직임을 모두 확인한다. 자발적으로 움직이는지, 통증에 대해 국소화 하는지, 움찔거리는지, 제뇌 경직, 제피질 경직을 보이는지, 아무런 반응이 없는지를 관찰한다(그림27).
호흡 양상
인공호흡기를 사용하지 않고 있다면, 호흡양상을 확인해서 손상수준을 파악한다.
활력징후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두개내압을 관찰하는 환자의 경우 두개내압과 혈압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가격2,5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6.04.01
  • 저작시기201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97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