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학업계획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25]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학업계획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전공 선택의 동기와 지원 배경

2. 전공 관련 학업 및 실무 경험

3. 입학 후 학업 및 연구계획

4. 졸업 후 진로 계획 및 사회적 기여

본문내용

하고 싶은 일은, 상담실의 문턱을 낮추는 일입니다. ‘상담은 특별한 문제가 있을 때만 가는 곳’이라는 오해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스스로를 정리하고 싶은 날, 누구든 편하게 찾아와 대화할 수 있는 공간으로 상담실을 인식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만들어가고 싶습니다. 작고 소소해 보이는 그 변화가, 상담이 예방적이고 일상적인 활동이 될 수 있는 첫 단추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저는 상담이라는 활동이 학생의 삶 전체를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을 지녔다는 믿음을 갖고 있습니다. 학습에 어려움을 겪거나, 친구와의 관계에서 지쳐 있는 아이들, 혹은 가정에서 위축되어 있는 학생들이 단 한 번이라도 자신의 이야기를 진심으로 들어주는 어른을 만난다면, 회복은 반드시 시작된다고 믿습니다. 저는 그 ‘한 번’을 책임질 수 있는 어른이고 싶습니다. 감정을 말로 정리해본 적이 없는 학생이 처음으로 말문을 열었을 때, “그랬구나”라는 반응 하나로 스스로를 조금 더 이해하게 되는 순간을 함께할 수 있다면, 그 자체로 제가 상담자가 된 이유는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중장기적으로는 학교 밖에서의 상담 시스템 개선과 교육정책 연계 활동도 병행하고 싶습니다. 실제로 학부 인턴십과 관련 워크숍에서 만난 상담사 선생님들 중 많은 분들이, 상담이 ‘개인적인 치유’에서 그치지 않고, 학교 구조나 제도와 연결되어야 지속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저는 그 말에 깊이 공감했습니다. 그래서 학교 기반 상담 프로그램 기획, 교사 대상 연수 운영, 감정 교육 커리큘럼 개발 등 실천적 연구 활동에도 꾸준히 참여하며, 현장 중심 정책 제안과 자료 개발에도 기여하고 싶습니다.
또한 여건이 허락된다면 박사과정 진학도 고려 중입니다. 대학원 과정 동안 정립한 상담 철학과 현장 경험을 더 깊이 있는 이론과 연구로 확장해보고 싶고, 장기적으로는 상담심리학 이론과 실천을 잇는 브릿지 역할을 하는 연구자로 성장하고자 합니다. 그 과정에서 제가 가장 중요하게 지키고 싶은 가치는, 언제나 ‘상담은 사람에 대한 존중에서 시작되어야 한다’는 단순하지만 흔들림 없는 원칙입니다.
결국 저는 ‘상담 잘하는 사람’이 아니라, 사람을 깊이 이해하고 함께 걸어줄 수 있는 상담자가 되고 싶습니다. 그리고 그 시작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이라는 좋은 배움터에서 시작할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이곳에서의 시간은 제게 있어 진로를 위한 학문이 아니라, 사람을 위한 공부가 될 것입니다.
  • 가격3,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5.05.03
  • 저작시기202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825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