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고관리와 재고관리시스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재고관리와 재고관리시스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재고의 개념과 목적
2. 재고관리시스템의 구성
3. 재고관리 기법
1) 발주(주문)점법
2) 정기발주 방식
3) 서비스점법
4) 재고배분방식
5) DRP방식(distribution requirement planning)
6) 기타의 발주방식

본문내용

통활동을 역 피라미드형의 계층구조로 표시하고 물(物)의 흐름은 아래에서 위로, 즉 레벨이 0인 최종수요자로 향해 흐른다.
② 각 단계의 맨 위에 있는 레벨에서 수요만을 독립수요라 하고 기타 레벨의 수
요는 종속수요라고 본다.
③ 판매계획은 레벨 0에서 작성하고 각 레벨간 물적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 즉
리드타임을 계산하여 역산(逆算)하는 타임 피딩방식(time feeding method)이
다.
6) 기타의 발주방식
발주방식의 용이성 또는 간이성을 살리면서 발주점 방식의 결점을 보완하는 방식 이 있다.
(1) 정량유지 방식
* 정량유지 방식은 예비품 방식이라고도 하며 출고가 불규칙하고, 수요가 불안정
하며, 불출빈도가 적은 특수품이나 보전용 예비품 등에 적용된다.
* 정량유지 방식은 발주점 방식의 전제인 출하가 일정하고 연속적인데 따른 약
점, 즉 불규칙하고 양이 많은 출고에 대응할 수 없다는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식이다.
(2) 2중 발주점 방식
* 발주점 방식은 개개의 품목이 발주점에 도달한 경우에 자동적으로 발주하기 때 문에 동일품목을 일정기간에 연속적으로 조금씩 발주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 이것은 발주비, 수송비, 하역작업 또는 수입, 검사 등의 측면에서 효율이 나쁘
다.
* 2중발주점 방식은 이런 비효율을 제거하기 위한 방식으로, 발주점을 2개 설정
하여 관리하는 방식이다.
* 구체적으로 일반적인 발주점을 제2발주점이라 부르고 그 밑에 제 1발주점을 설
정한다. 어떤 품목이 제2발주점 아래에 있는 경우, 제1발주점과 제2발주점의 중간에 있으며 발주처가 동일한 품목을 수합하여 발주한다.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6.04.21
  • 저작시기201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05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