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반도 강설 분포
2. 한기확장형 강설
3. 상층골 영향에 의한 강설
2. 한기확장형 강설
3. 상층골 영향에 의한 강설
본문내용
, 그 북서 사면에서 북동기류가 해상을 끼고 반시계 방향의 바람이 불어 강원 동해안으로 한기가 침입한다. 이 과정에서 한기 확장형 눈구름이 대거 발달하여 동해안 산간지역에 대설을 유발한다. 또한, 상층골의 전면에는 상승기류가 유도되고, 이 때 지상에서 서풍이 불어 태백산맥을 넘으면 동해안 지방에는 지형에 의해 하강기류가 형성되고 저기압성 소용돌이가 형성된다. 여기에 동해안의 수증기가 충분히 공급되면 숨은 열의 에너지로 인해 저기압은 빠르게 발달하게 된다. 한편, 한기가 서해상으로 확장하여 다시 북서쪽에서 단파골이 서해상으로 접근해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층골의 풍하측 전면에서 상승기류가 유도되므로, 이미 진행 중인 서해상의 적운 대류가 보다 활발해져 해안지역에 적설이 크기 증가하기도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