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9장 연사(連詞)
본문내용
윤택지,즉재군여자의
이것이 그것의 대략입니다. 그것에 어떻게 수식을 가하느냐 하는 것에 있어서는 당신의 임금과 당신 자신이 할 일입니다.
3) 급전(急轉) : 보통 ‘’ ‘’등을 쓴다.
臣以爲布衣之交不相欺,大國乎?(《史記 · 廉頗藺相如列傳》)
chen ywei buy zh jio shang bu xing q,kuang daguo h?
신이위포의지교상불상기,황대국호
저는 베옷 입은 서민들의 교제에서조차 서로 속이지 않거늘 하물며 큰 나라끼리는 더욱 그럴 것이 아니겠는가 하고 생각했습니다.
汝父爲吏, 則曰; 此死獄也,我求其生不得耳。吾曰:‘生可求乎?’
曰: ‘求其生而不得,則死者與我皆無恨也。求而有得耶?’(歐陽脩: 《岡阡表》 )
r fu wei li, zeyu; cs yu y,w qiu qi shng bu de r.
wu yu:‘shngk qiu h?’ yu: ‘qiuqi shng er bude,zes zh y w ji wu hen y. shn qiu er yu de ye?
여부위리, 즉왈; 차사옥야,아구기생불득이. 오왈:‘생가구호?’
왈: ‘구기생이불득,즉사자여아개무한야. 신구이유득야.
네 아버님이 관리로 계셨을 때 ‘이것은 사형에 해당하는 안건이어서 내가 살리려고 해도 살릴 도리가 없구나’하고 말씀하셨다. 그때 나는 ‘살릴 방법을 찾을 수 없을까요?’하고 말씀드리면, 아버님은 ‘살리려고 했는데도 못 살리면 죽을 자와 내가 모두 유한이 없을텐데, 하물며 살리려고 해서 구할 수 있다면 어떻겠소 ?’하고 말씀하셨다.
七. 양보 연사(讓步連詞)와 가설 연사(假設連詞)
1) 양보 연사로는 보통 ‘雖’ ‘縱’등을 쓴다.
相如雖駑,獨畏廉將軍哉?(《史記 · 廉頗藺相如列傳》)
Xing ru su nu,du wei Lian jing jn zi?
상여수노,독외렴장군재
인상여 내가 비록 무능하기는 하지만 염파 장군을 두려워하겠는가?
吾縱生無益於人, 吾可以死害於人乎哉? (《禮記 · 檀弓》)
wu zong shngwu yi yu ren, wu k ys hai yu ren h zi?
오종생무익어인, 오가이사해어인호재
내가 비록 살아서는 남에게 유익이 없었지만 내 어찌 죽어서 남을 해칠 수 있겠습니까?
2) 가설 연사는 여러 개가 있으나 보통 ‘若’ ‘苟’ ‘如’ ‘使’등이 쓰인다.
若能以吳越之衆與中國抗衡,不如早與之;若不能當,何不案兵束甲,北面而事之? (《資治通鑑 · 赤壁之戰》)
ruo neng y WuYue zhzhong y Zhng guo kang heng,bu ruzo y
zh jue;ruo buneng dng,hebu an bng shuji, bimian ershi zh?
약능이오월지중여중국항형,불여조여지절;약불능당,하불안병속갑,북면이사지
만일 오와 월의 무리로써 중원의 조조의 군대에 대항할 수 있으시다면 빨리 그와 관계를 끊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그렇게 할 수 없다면 왜 군사 행동을 그만두고 북면하여 그를 섬기려 하지 않으십니까?
苟如君言, 劉豫州何不遂事之乎? (同上)
gu rujn yan, Liu yu zhu he bu suishi zhh?
구여군언, 류예주하불수사지호
만약 당신의 말대로라면 왜 유예주는 그를 섬기지 않는 거요?
如知其非義,斯速已矣,何待來年? (《孟子 · 文公上》)
ru zh qi fi yi,s su yy,he dai lai nian?
여지기비의,사속이의,하대래년
만약 그것이 의가 아니라는 것을 아신다면 곧바로 빨리 그만두어야 하는 것이지 어째서 다음해까지 기다린다는 것입니까?
使天下無農夫, 世皆餓死矣。(鄭燮: 《范縣署中寄弟黑》 )
sh tinxia wunong f, j shiji e sy.
사천하무농부, 거세개아사의
만약 천하에 농부가 없다면 세상은 모두 굶어 죽을 것이다.
八. 연사어(連詞語)
어떤 단어(短語)들은 연사의 기능을 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不然’ ‘要之’ 등이 바로 그것이다. ‘不然’은 반전 기능을 하고 ‘要之’는 총결 기능을 한다.
此沛公左司馬曹無傷言之,不然,籍何以至此 ? (《史記 · 項羽本紀》)
c pei gng zu s mCao wushng yan zh,bu ran,Ji he y zhi c ?
차패공좌사마조무상언지,불연,적하이지차
그것은 귀공의 좌사마로 있는 조무상이 한 말이었소. 그렇지 않았다면 내가 어찌 귀공을 이렇게 의심했겠소?
要之, 死日然後是非乃定。 (《漢書 · 司馬遷傳》)
yo zh, s ri ran hou shi fi ni ding.
요지, 사일연후시비내정
요컨대 죽은 이후에야 시비가 비로소 가려지는 것이다.
이것이 그것의 대략입니다. 그것에 어떻게 수식을 가하느냐 하는 것에 있어서는 당신의 임금과 당신 자신이 할 일입니다.
3) 급전(急轉) : 보통 ‘’ ‘’등을 쓴다.
臣以爲布衣之交不相欺,大國乎?(《史記 · 廉頗藺相如列傳》)
chen ywei buy zh jio shang bu xing q,kuang daguo h?
신이위포의지교상불상기,황대국호
저는 베옷 입은 서민들의 교제에서조차 서로 속이지 않거늘 하물며 큰 나라끼리는 더욱 그럴 것이 아니겠는가 하고 생각했습니다.
汝父爲吏, 則曰; 此死獄也,我求其生不得耳。吾曰:‘生可求乎?’
曰: ‘求其生而不得,則死者與我皆無恨也。求而有得耶?’(歐陽脩: 《岡阡表》 )
r fu wei li, zeyu; cs yu y,w qiu qi shng bu de r.
wu yu:‘shngk qiu h?’ yu: ‘qiuqi shng er bude,zes zh y w ji wu hen y. shn qiu er yu de ye?
여부위리, 즉왈; 차사옥야,아구기생불득이. 오왈:‘생가구호?’
왈: ‘구기생이불득,즉사자여아개무한야. 신구이유득야.
네 아버님이 관리로 계셨을 때 ‘이것은 사형에 해당하는 안건이어서 내가 살리려고 해도 살릴 도리가 없구나’하고 말씀하셨다. 그때 나는 ‘살릴 방법을 찾을 수 없을까요?’하고 말씀드리면, 아버님은 ‘살리려고 했는데도 못 살리면 죽을 자와 내가 모두 유한이 없을텐데, 하물며 살리려고 해서 구할 수 있다면 어떻겠소 ?’하고 말씀하셨다.
七. 양보 연사(讓步連詞)와 가설 연사(假設連詞)
1) 양보 연사로는 보통 ‘雖’ ‘縱’등을 쓴다.
相如雖駑,獨畏廉將軍哉?(《史記 · 廉頗藺相如列傳》)
Xing ru su nu,du wei Lian jing jn zi?
상여수노,독외렴장군재
인상여 내가 비록 무능하기는 하지만 염파 장군을 두려워하겠는가?
吾縱生無益於人, 吾可以死害於人乎哉? (《禮記 · 檀弓》)
wu zong shngwu yi yu ren, wu k ys hai yu ren h zi?
오종생무익어인, 오가이사해어인호재
내가 비록 살아서는 남에게 유익이 없었지만 내 어찌 죽어서 남을 해칠 수 있겠습니까?
2) 가설 연사는 여러 개가 있으나 보통 ‘若’ ‘苟’ ‘如’ ‘使’등이 쓰인다.
若能以吳越之衆與中國抗衡,不如早與之;若不能當,何不案兵束甲,北面而事之? (《資治通鑑 · 赤壁之戰》)
ruo neng y WuYue zhzhong y Zhng guo kang heng,bu ruzo y
zh jue;ruo buneng dng,hebu an bng shuji, bimian ershi zh?
약능이오월지중여중국항형,불여조여지절;약불능당,하불안병속갑,북면이사지
만일 오와 월의 무리로써 중원의 조조의 군대에 대항할 수 있으시다면 빨리 그와 관계를 끊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그렇게 할 수 없다면 왜 군사 행동을 그만두고 북면하여 그를 섬기려 하지 않으십니까?
苟如君言, 劉豫州何不遂事之乎? (同上)
gu rujn yan, Liu yu zhu he bu suishi zhh?
구여군언, 류예주하불수사지호
만약 당신의 말대로라면 왜 유예주는 그를 섬기지 않는 거요?
如知其非義,斯速已矣,何待來年? (《孟子 · 文公上》)
ru zh qi fi yi,s su yy,he dai lai nian?
여지기비의,사속이의,하대래년
만약 그것이 의가 아니라는 것을 아신다면 곧바로 빨리 그만두어야 하는 것이지 어째서 다음해까지 기다린다는 것입니까?
使天下無農夫, 世皆餓死矣。(鄭燮: 《范縣署中寄弟黑》 )
sh tinxia wunong f, j shiji e sy.
사천하무농부, 거세개아사의
만약 천하에 농부가 없다면 세상은 모두 굶어 죽을 것이다.
八. 연사어(連詞語)
어떤 단어(短語)들은 연사의 기능을 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不然’ ‘要之’ 등이 바로 그것이다. ‘不然’은 반전 기능을 하고 ‘要之’는 총결 기능을 한다.
此沛公左司馬曹無傷言之,不然,籍何以至此 ? (《史記 · 項羽本紀》)
c pei gng zu s mCao wushng yan zh,bu ran,Ji he y zhi c ?
차패공좌사마조무상언지,불연,적하이지차
그것은 귀공의 좌사마로 있는 조무상이 한 말이었소. 그렇지 않았다면 내가 어찌 귀공을 이렇게 의심했겠소?
要之, 死日然後是非乃定。 (《漢書 · 司馬遷傳》)
yo zh, s ri ran hou shi fi ni ding.
요지, 사일연후시비내정
요컨대 죽은 이후에야 시비가 비로소 가려지는 것이다.
추천자료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스트레스를 넘어 건강한 삶 가꾸기
2011년 하계계절시험 아동교육사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2년 1학기 생명과환경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3년 1학기 생명과환경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3년 2학기 유아교육철학및교육사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4년 하계계절시험 유아교육철학및교육사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4년 2학기 유아교육철학및교육사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4년 2학기 유아교육철학및교육사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5년 2학기 유아교육철학및교육사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6년 2학기 한국희곡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한국희곡론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2학기 한국희곡론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2학기 국어국문학과 한국희곡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