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할 필요가 있다. 내담자가 상담자의 직면에 대해 완강히 저항하고 부정한다면 상담자는 이를 인정하라고 강요하기보다 저항하는 모습 그대로를 수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담이 좀 더 진행되면서 내담자의 모순된 행동이 다시 나타나면 적절한 시기에 다시 직면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직면 이후 반응이 없는 내담자에게는 어떻게 느끼는지 혹은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질문하여 내담자의 반응을 탐색해야 한다.
참고문헌
유진이 저, 청소년 심리 및 상담, 양서원 2013
이경희, 가영희 외 저, 청소년 상담, 동문사 2016
한국산업인력공단 저, 청소년지도(청소년상담복지), 지한엠앤비, 2015
장순례, 양미진 외 저, 청소년 상담(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0
장수한 저, 청소년상담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16
참고문헌
유진이 저, 청소년 심리 및 상담, 양서원 2013
이경희, 가영희 외 저, 청소년 상담, 동문사 2016
한국산업인력공단 저, 청소년지도(청소년상담복지), 지한엠앤비, 2015
장순례, 양미진 외 저, 청소년 상담(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0
장수한 저, 청소년상담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16
추천자료
2009년 2학기 청소년인성교육및상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진로지도)
2008년 2학기 청소년인성교육및상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진로지도)
2007년 2학기 청소년인성교육및상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진로지도)
청소년상담(성문제)
사회복지-청소년상담(면접)사례 : 학생의 특성
2014년 1학기 청소년진로지도및상담 멀티미디어 강의 핵심요약노트
청소년상담사 출제요약
2015년 1학기 청소년진로지도및상담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청소년상담] 감정을 통합하고 새롭게 변화시키는 개입전략 - 역할 바꾸기, 반대로 하기, 자...
정신역동상담_청소년기 이성교제가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효과에 대하여 관련서적 줄거리 및...
[분야별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자격요건]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의료사회복지사 정신보건사회복...
2018년 1학기 청소년진로지도및상담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