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기초 공감
2. 발전 공감
3. 감정 표현이 어려운 내담자의 공감반응
4. 공감의 3가지 요소
5. 효과적인 공감반응을 위한 몇 가지 주의점
참고문헌
1. 기초 공감
2. 발전 공감
3. 감정 표현이 어려운 내담자의 공감반응
4. 공감의 3가지 요소
5. 효과적인 공감반응을 위한 몇 가지 주의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확한 공감을 한다는 것은 내담자에게 내담자의 메시지 내용과 감정, 두 측면에 대한 이해를 전달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셋째, 적극적 대응력은 내담자를 상담대화에 참여시키며 그 대화를 통하여 문제 상황을 명료화시키고 적극적인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다.
5. 효과적인 공감반응을 위한 몇 가지 주의점
내담자에게 유용하고 도움이 되는 공감반응을 위하여 몇 가지 주의해야 할 것이 있다.
첫째, 처음 상담에 접하는 상담자들은 내담자가 말을 멈추었을 때 조급하게 반응을 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내담자의 이야기를 충분히 심사숙고하지 못한 채 반응을 하면 상담과정이 발전하지 못하고 피상적인 방향으로 흐르기 쉽다. 따라서 상담자는 내담자가 말을 멈추거나 침묵하더라도 반드시 필요하고 도움이 되는 반응을 해야 한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말을 멈출 때, 방금 내담자가 표현한 감정은 무엇인지, 내담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주요 메시지는 무엇인지 스스로 질문하고 정리하여 내담자에게 적절히 전달해야 한다. 상담자는 급하게 반응할 필요가 없으며 신중하게 정리하고 전달하도록 주의해야 한다.
둘째, 내담자에게 상담자의 공감반응을 전달할 때는 간결하게 하는 것이 좋다. 내담자가 지루하게 말을 늘어놓더라도, 상담자는 내담자의 핵심 메시지들을 간결하게 정리하여 짧게 응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담자에게 잘 전달하려는 의도에서 중요한 메시지라고 생각되는 것을 장황하게 늘어놓게 되면, 오히려 내담자는 상담자의 말을 잘 알아듣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담자는 중요한 메시지를 압축하여 짧고 간결하게 전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셋째, 전달해야 할 말의 내용과 일치하게 억양을 사용해야 한다. 내담자가 신이 나서 이야기하는 것을 상담자가 맥없고 힘없는 억양으로 공감반응 한다면 내담자는 상담자가 자신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느낄 것이다. 앞서도 설명했듯이, 말의 내용보다는 태도가 상대방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상담자는 내담자의 감정에 공감반응을 할 때 그 내용에 맞게 억양과 행동을 일치시켜서 전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넷째, 내담자가 사용하는 언어를 사용하여 전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청소년 내담자의 경우 일반 성인과 달리 그들만의 언어를 사용하며, 저연령 일수록 어른들의 용어를 잘 이해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담자가 말을 고급스럽게 전달하려는 의도에서 어려운 용어를 시용한다면 그것을 이해하지 못하는 청소년 내담자에게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 그 대신 청소년들이 흔히 사용하고 있는 은어나 인터넷 용어 등을 적절히 시용하면 내담자와의 친밀한 관계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언어 사용에 있어 중요한 것은 내담자가 경험하는 삶의 틀에 눈높이를 맞추어 전달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유진이 저, 청소년 심리 및 상담, 양서원 2013
이경희, 가영희 외 저, 청소년 상담, 동문사 2016
한국산업인력공단 저, 청소년지도(청소년상담복지), 지한엠앤비, 2015
장순례, 양미진 외 저, 청소년 상담(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0
장수한 저, 청소년상담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16
셋째, 적극적 대응력은 내담자를 상담대화에 참여시키며 그 대화를 통하여 문제 상황을 명료화시키고 적극적인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다.
5. 효과적인 공감반응을 위한 몇 가지 주의점
내담자에게 유용하고 도움이 되는 공감반응을 위하여 몇 가지 주의해야 할 것이 있다.
첫째, 처음 상담에 접하는 상담자들은 내담자가 말을 멈추었을 때 조급하게 반응을 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내담자의 이야기를 충분히 심사숙고하지 못한 채 반응을 하면 상담과정이 발전하지 못하고 피상적인 방향으로 흐르기 쉽다. 따라서 상담자는 내담자가 말을 멈추거나 침묵하더라도 반드시 필요하고 도움이 되는 반응을 해야 한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말을 멈출 때, 방금 내담자가 표현한 감정은 무엇인지, 내담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주요 메시지는 무엇인지 스스로 질문하고 정리하여 내담자에게 적절히 전달해야 한다. 상담자는 급하게 반응할 필요가 없으며 신중하게 정리하고 전달하도록 주의해야 한다.
둘째, 내담자에게 상담자의 공감반응을 전달할 때는 간결하게 하는 것이 좋다. 내담자가 지루하게 말을 늘어놓더라도, 상담자는 내담자의 핵심 메시지들을 간결하게 정리하여 짧게 응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담자에게 잘 전달하려는 의도에서 중요한 메시지라고 생각되는 것을 장황하게 늘어놓게 되면, 오히려 내담자는 상담자의 말을 잘 알아듣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담자는 중요한 메시지를 압축하여 짧고 간결하게 전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셋째, 전달해야 할 말의 내용과 일치하게 억양을 사용해야 한다. 내담자가 신이 나서 이야기하는 것을 상담자가 맥없고 힘없는 억양으로 공감반응 한다면 내담자는 상담자가 자신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느낄 것이다. 앞서도 설명했듯이, 말의 내용보다는 태도가 상대방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상담자는 내담자의 감정에 공감반응을 할 때 그 내용에 맞게 억양과 행동을 일치시켜서 전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넷째, 내담자가 사용하는 언어를 사용하여 전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청소년 내담자의 경우 일반 성인과 달리 그들만의 언어를 사용하며, 저연령 일수록 어른들의 용어를 잘 이해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담자가 말을 고급스럽게 전달하려는 의도에서 어려운 용어를 시용한다면 그것을 이해하지 못하는 청소년 내담자에게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 그 대신 청소년들이 흔히 사용하고 있는 은어나 인터넷 용어 등을 적절히 시용하면 내담자와의 친밀한 관계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언어 사용에 있어 중요한 것은 내담자가 경험하는 삶의 틀에 눈높이를 맞추어 전달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유진이 저, 청소년 심리 및 상담, 양서원 2013
이경희, 가영희 외 저, 청소년 상담, 동문사 2016
한국산업인력공단 저, 청소년지도(청소년상담복지), 지한엠앤비, 2015
장순례, 양미진 외 저, 청소년 상담(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0
장수한 저, 청소년상담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16
키워드
추천자료
청소년 자원봉사의 실태 분석.
미래사회와 청소년 관련 인터넷, 신문자료 조사
로저스인간중심상담과 사례
청소년에 대한 개입 사례를 이론과 함께 비판적 시각으로 분석하시오.
[사회복지학과] 청소년의 이해와 상담
[사회복지실천기술론]사회복지 상담심리학
아동상담
청소년 인터넷 중독의 개입 전략
인간중심적 상담 _ 칼 로저스
[교육심리학] 학습에 대한 이해 ≪행동주의에 기초한 학습이론(學習理論)≫ 고전적 조건화(clas...
[청소년육성제도론 青少年育成制度論] 청소년육성법규(青少年育成法規)...
(특별청소년 特別靑少年) 청소년복지지원법 제15조 특별청소년에 대한 중요 지원내용과 발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