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강화와 프리맥의 원리
2. 2차 강화와 토큰 시스템
3. 행동조형
4. 행동연쇄
참고문헌
2. 2차 강화와 토큰 시스템
3. 행동조형
4. 행동연쇄
참고문헌
본문내용
행동 단계는 감소하면서 결국 16단계의 바지 입는 모든 행동을 아동이 혼자 할 수 있게 된다.
역행행동연쇄는 행동의 마지막 단계부터 강화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의를 입는 행동을 셔츠 목 찾기, 머리 넣기, 왼팔과 오른팔 소매 찾기, 팔 넣기, 옷 내리기의 5단계로 과제분석했다면, 앞의 4단계 행동은 부모의 도움을 받고 아동이 마지막 옷 내리기 행동을 수행한 후 강화를 받는다. 다음으로는 앞의 3단계 행동을 도움을 받고 팔 넣기와 옷 내리기를 혼자수행한 후 강화를 받는데, 이렇게 점차 도움을 받는 행동 단계를 줄이고 혼자 수행하는 행동이 늘어나면서 결국에는 혼자서 상의를 입을 수 있게 된다.
옷 입기, 이 닦기, 식사 지도, 악기 연주, 무용 등 단순한 행동부터 복잡한 동작이나 기술까지 그것을 가르칠 때 행동연쇄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행동과제에 따라 행동연쇄와 행동조형을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바지 입는 행동을 학습시킬 때는 속옷, 반바지, 긴 바지 입기 순서로 학습시키는 것이 효과적
이고, 이때 속옷, 반바지, 긴바지를 입는 각각의 행동을 혼자 잘 할 수 있도록 학습시키는 것은 행동연쇄다. 그리고 긴 바지를 입는 행동은 속옷과 반바지를 입는 행동을 잘 할 수 있어야 가능하기 때문에 행동조형의 과정이다.
행동조형과 행동연쇄의 공통점은 복잡한 새로운 목표행동을 학습하기 위해 목표행동과 관련된 실행 가능한 소단위의 행동들을 단계적으로 학습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행동조형은 목표행동과 유사한 행동이나 목표행동에 접근해 가는 행동들을 단계적으로 강화시키는 반면에, 행동연쇄는 목표행동의 일련의 연속적 과정 가운데 일부분의 행동을 순서적으로 강화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목표행동이 혼자 학교에 가는 등교행동이라면 행동조형은 첫 단계로 아침에 가방을 들고 집을 나가는 행동을 강화한다. 이때 학교에 가지 않더라도 이 행동을 강화하고 점차 목표행동을 조성해 간다. 반면에 행동연쇄는 가방을 들고 집을 나서는 행동까지 아동이 혼자 실행한 후 강화를 받고, 그다음의 등교행동은 부모와 동행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유진이 저, 청소년 심리 및 상담, 양서원 2013
이경희, 가영희 외 저, 청소년 상담, 동문사 2016
한국산업인력공단 저, 청소년지도(청소년상담복지), 지한엠앤비, 2015
장순례, 양미진 외 저, 청소년 상담(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0
장수한 저, 청소년상담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16
역행행동연쇄는 행동의 마지막 단계부터 강화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의를 입는 행동을 셔츠 목 찾기, 머리 넣기, 왼팔과 오른팔 소매 찾기, 팔 넣기, 옷 내리기의 5단계로 과제분석했다면, 앞의 4단계 행동은 부모의 도움을 받고 아동이 마지막 옷 내리기 행동을 수행한 후 강화를 받는다. 다음으로는 앞의 3단계 행동을 도움을 받고 팔 넣기와 옷 내리기를 혼자수행한 후 강화를 받는데, 이렇게 점차 도움을 받는 행동 단계를 줄이고 혼자 수행하는 행동이 늘어나면서 결국에는 혼자서 상의를 입을 수 있게 된다.
옷 입기, 이 닦기, 식사 지도, 악기 연주, 무용 등 단순한 행동부터 복잡한 동작이나 기술까지 그것을 가르칠 때 행동연쇄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행동과제에 따라 행동연쇄와 행동조형을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바지 입는 행동을 학습시킬 때는 속옷, 반바지, 긴 바지 입기 순서로 학습시키는 것이 효과적
이고, 이때 속옷, 반바지, 긴바지를 입는 각각의 행동을 혼자 잘 할 수 있도록 학습시키는 것은 행동연쇄다. 그리고 긴 바지를 입는 행동은 속옷과 반바지를 입는 행동을 잘 할 수 있어야 가능하기 때문에 행동조형의 과정이다.
행동조형과 행동연쇄의 공통점은 복잡한 새로운 목표행동을 학습하기 위해 목표행동과 관련된 실행 가능한 소단위의 행동들을 단계적으로 학습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행동조형은 목표행동과 유사한 행동이나 목표행동에 접근해 가는 행동들을 단계적으로 강화시키는 반면에, 행동연쇄는 목표행동의 일련의 연속적 과정 가운데 일부분의 행동을 순서적으로 강화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목표행동이 혼자 학교에 가는 등교행동이라면 행동조형은 첫 단계로 아침에 가방을 들고 집을 나가는 행동을 강화한다. 이때 학교에 가지 않더라도 이 행동을 강화하고 점차 목표행동을 조성해 간다. 반면에 행동연쇄는 가방을 들고 집을 나서는 행동까지 아동이 혼자 실행한 후 강화를 받고, 그다음의 등교행동은 부모와 동행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유진이 저, 청소년 심리 및 상담, 양서원 2013
이경희, 가영희 외 저, 청소년 상담, 동문사 2016
한국산업인력공단 저, 청소년지도(청소년상담복지), 지한엠앤비, 2015
장순례, 양미진 외 저, 청소년 상담(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0
장수한 저, 청소년상담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16
추천자료
행동주의
인지행동 모델
파블로프, 손다이크, 스키너(행동주의적 학습이론들)비교, 설명
2009년 1학기 청소년학습이론및지도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2년 1학기 청소년학습이론및지도 기말시험 핵심체크
Ellis - 인지 정서 행동치료 [REBT]
2013년 1학기 청소년학습및이론지도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3년 1학기 청소년학습이론및지도 기말시험 핵심체크
인간 행동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
인간과심리 공통)1.심리학心理學의 주요이론 중 정신분석적 접근, 행동주의적 접근, 인본주의...
[인간행동과사회환경 D] 행동발달에 대한 스키너(B. Skinner)이론의 특징과 장단점을 설명하...
2016년 2학기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중간시험과제물 E형(조작적 조건화 이론의 주요 개념)
[행동주의 학습이론]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형성이론(고전적 조건화),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