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교재 177∼232쪽의 주요 내용 요약
Ⅱ. 위의 내용 중 분석방법론 하나 선택하여 2015년 개봉작 중 영화 한편을 분석하시오.
Ⅱ. 위의 내용 중 분석방법론 하나 선택하여 2015년 개봉작 중 영화 한편을 분석하시오.
본문내용
형사들을 계속해서 속이고, 그럴 때마다 아이 부모와 관객들은 속이 시커멓게 타들어갔을 것이다.
이 과정이 반복되는 서사 구조인데 영화는 자극적인 장면 하나 없이 관객의 눈을 화면에서 떼지 못하게 만들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시각적 장치와 청각적 장치를 활용한 다양한 볼거리가 이야기에 적당한 간격마다 배치됐다는 점이다.
몽타주 기법에 추가적으로 ‘내적 독백’ 기법에 대해서 분석해보고자 한다.
내적독백이란 ‘카메라가 물리적 지점이 아닌 인간의 내면, 인간의 머리나 가슴 이라는 추상적인 위치로 들어가서 그의 내면의 사고 과정을 표현하는 것’, 즉 자신의 사고 흐름, 흥분된 상태에 위치한 사고의 흐름에 귀를 기울여 자기 자신의 모습을 포착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영화 <극비수사>에서 하루아침에 사랑스런 아이를 잃어버린 아이의 ‘엄마의 내면’으로 카메라가 들어가서 끓어오르는 엄마의 흥분된 상태와 심정을 관객들에게 전달해주는 듯 하였고 그 장면을 보면서 자연스레 엄마의 감정을 느낄 수 있게 되었다. 또 범인을 잡기위해 고군분투하는 장면에서 앞으로 일어날 일을 미리 예측해주는 점쟁이 ‘김도사의 머리’라는 추상적인 위치로 카메라가 들어가여 김도사가 생각하고 있는 사고의 흐름을 관객들에게 잘 전달해주었다고 생각한다. 내적 독백은 등장 인물이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관객들에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영화 스토리를 구성하는 데 아주 중요한 수단 중 하나인 것 같다.
영화 <극비수사>를 보기 전에는 단순히 실제 사건을 배경으로 하였고 감독이 영화 <친구>로서 유명한 곽경택 감독이라는 점에서 재미와 영상미 모두 뛰어나겠다라고만 생각하고 보았는데, 세계영화기행에서 배운 에이젠슈테인의 몽타주 이론과 내적독백 기법을 머릿속에 생각하면서 직접 분석해보면서 영화를 다시 한번 꼼꼼히 감상해보니 단순히 재미를 추구하는 영화가 아니라 그동안 모르고 지나쳐왔던 이론적 배경이 숨어 있었다. 태어나서 영화를 분석하고 본 적도, 볼 기회도 많지 않았는데 세계영화기행이라는 수업을 통해서만이 할 수 있는 정말 뜻깊은 시간이었던 것 같다.
앞으로 카니발 문화의 특성들을 토대로 한 카니발 이론과 영화 기호학 이론 등을 토대로 한 다양한 관점에서도 영화를 분석해보고 싶은 마음이 생겼고, 그러한 영화적 기법들과 이론등을 통해 감독이 관객들에게 무엇을 전달하고 싶은지 혹은 무엇을 알게 하고 싶었을지 생각하면서 영화를 감상할 수 있는 힘이 생긴 것 같다.
이 과정이 반복되는 서사 구조인데 영화는 자극적인 장면 하나 없이 관객의 눈을 화면에서 떼지 못하게 만들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시각적 장치와 청각적 장치를 활용한 다양한 볼거리가 이야기에 적당한 간격마다 배치됐다는 점이다.
몽타주 기법에 추가적으로 ‘내적 독백’ 기법에 대해서 분석해보고자 한다.
내적독백이란 ‘카메라가 물리적 지점이 아닌 인간의 내면, 인간의 머리나 가슴 이라는 추상적인 위치로 들어가서 그의 내면의 사고 과정을 표현하는 것’, 즉 자신의 사고 흐름, 흥분된 상태에 위치한 사고의 흐름에 귀를 기울여 자기 자신의 모습을 포착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영화 <극비수사>에서 하루아침에 사랑스런 아이를 잃어버린 아이의 ‘엄마의 내면’으로 카메라가 들어가서 끓어오르는 엄마의 흥분된 상태와 심정을 관객들에게 전달해주는 듯 하였고 그 장면을 보면서 자연스레 엄마의 감정을 느낄 수 있게 되었다. 또 범인을 잡기위해 고군분투하는 장면에서 앞으로 일어날 일을 미리 예측해주는 점쟁이 ‘김도사의 머리’라는 추상적인 위치로 카메라가 들어가여 김도사가 생각하고 있는 사고의 흐름을 관객들에게 잘 전달해주었다고 생각한다. 내적 독백은 등장 인물이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관객들에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영화 스토리를 구성하는 데 아주 중요한 수단 중 하나인 것 같다.
영화 <극비수사>를 보기 전에는 단순히 실제 사건을 배경으로 하였고 감독이 영화 <친구>로서 유명한 곽경택 감독이라는 점에서 재미와 영상미 모두 뛰어나겠다라고만 생각하고 보았는데, 세계영화기행에서 배운 에이젠슈테인의 몽타주 이론과 내적독백 기법을 머릿속에 생각하면서 직접 분석해보면서 영화를 다시 한번 꼼꼼히 감상해보니 단순히 재미를 추구하는 영화가 아니라 그동안 모르고 지나쳐왔던 이론적 배경이 숨어 있었다. 태어나서 영화를 분석하고 본 적도, 볼 기회도 많지 않았는데 세계영화기행이라는 수업을 통해서만이 할 수 있는 정말 뜻깊은 시간이었던 것 같다.
앞으로 카니발 문화의 특성들을 토대로 한 카니발 이론과 영화 기호학 이론 등을 토대로 한 다양한 관점에서도 영화를 분석해보고 싶은 마음이 생겼고, 그러한 영화적 기법들과 이론등을 통해 감독이 관객들에게 무엇을 전달하고 싶은지 혹은 무엇을 알게 하고 싶었을지 생각하면서 영화를 감상할 수 있는 힘이 생긴 것 같다.
키워드
추천자료
시스템 개발 방법론
조직개발 방법론에 입각한 조직개발 강의 진단 및 개선방안
'초등영어교수방법론' 번역 및 요약
[통일교육][통일교육의 방향][통일교육의 개선과제]통일교육의 목표, 통일교육의 필요성, 통...
[교육학과]평생교육방법론 - ‘인성교육론’의 평생교육방법 평가 프로젝트-
레크레이션 사회교육방법론
2008년 1학기 행정학영어강독 중간시험과제물 A형(교재196~197 해석 후 비판)
[지역화][교육지역화][교육지역화 프랑스 사례][교육지역화 제고 방안]지역화의 배경, 지역화...
[어항개발][지방어항개발사업][일본의 어항개발 사례]어항개발의 필요성, 어항개발의 여건변...
[농업경영][농업경영 역사][농업경영 정보화][농업경영 성과][농업경영 여성농업인][여성농업...
사회복지실천의 방법론
2013년 2학기 한국어교육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학습자유형, 어휘선정방법론)
문학 교재 구성을 위한 현대시 정전 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