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삶의 의미화 과정으로서의 시교육
2. 시 수업 교수-학습 모델의 제시
1) 다른 매체들과의 비교를 통한 시의 특성 파악
2) <죽음>을 다루는 다른 시들과의 비교를 통하여 시의 담화적 특성 이해하기
3) 말의 리듬이 내용의 느낌을 어떻게 살릴 수 있는가?
4) 이미지 형상화하기
5) 시의 소재인 「죽음」의 의미를 생각해 보기
3. 마무리하며
참고문헌
1. 삶의 의미화 과정으로서의 시교육
2. 시 수업 교수-학습 모델의 제시
1) 다른 매체들과의 비교를 통한 시의 특성 파악
2) <죽음>을 다루는 다른 시들과의 비교를 통하여 시의 담화적 특성 이해하기
3) 말의 리듬이 내용의 느낌을 어떻게 살릴 수 있는가?
4) 이미지 형상화하기
5) 시의 소재인 「죽음」의 의미를 생각해 보기
3. 마무리하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자유연상을 이용한 브레인스트밍이 있을 수 있다. 이 브레인 스토밍은 자신이 생각나는 것을 체계적으로 정리해보는 한 방법이 될 것이다. 이는 시에 쓰여진 대상에 대한 이해를 위해 쓰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테면
사슴-눈이 슬픈 동물, 사슴과 같은 모습으로 사랑하는 사람을 애타게 부를 화자
하늘과 땅 사이가 너무 넓구나- 하늘과 땅, 삶과 죽음의 거리
선 채로 이 자리에 돌이 되어도- 망부석 신화
등이 될 것이다. 개인적으로 이 시를 보면 한용운의 「님의 침묵」이 떠오르는 데, ‘님은 갔지만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한‘ 이미지와 결코 다시 돌아오지 않을 사람을 불러내어 (이 때 아마 죽은 사람은 부르는 사람의 마음 속에 살아날 것이다) 헤어짐을 인정하지 않는 「초혼」의 이미지가 비슷하기 때문일 것이다. 학생들 역시 나름대로 시에 대한 이러한 이미지가 있을 것이다.
5) 시의 소재인 「죽음」의 의미를 생각해 보기
우리는 살아가면서 누구나 죽음을 만나게 된다. 죽음은 어떻게 보면 박탈당하는 것이다. 이미 죽음을 만나본 경우가 있는 학생들도 있을 것이다.(죽을 뻔한 경험이나 친한 사람들의 죽음)또한 학생들은 이미 앞서 다른 매체들과의 비교를 통해, 죽음을 소재로 다룬 여러 시들을 통해 죽음을 받아들이는 방식과 애도를 표현하는 방식, 죽음을 이해하는 방식이 사람마다 다름을 이해했을 것이다. 죽음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는 것 같다. 하나는 새로운 세계의 시작이 될 수 있지만 죽음은 그 동안의 자신의 존재가치가 어떠했는가를 판단받을 수 있고, 낯익은 자신의 세계와 이별하고 사랑하고 친했던 사람들과 헤어지게 된다. 자신이 가상적으로 죽는다고 생각하고 유서쓰기를 통해 다같이 죽음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면 학생들은 삶에 대한 보다 진지한 자세를 가질 수 있을 것이고, 한참 자기의 정체성에 혼란을 느끼고 거칠게 살아가는 학생들에게는 자신의 삶의 의미와 중요성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는 바램에서 이러한 방법을 생각해 보았다. 참고로 말하자면 이 방법은 서강대에서 한 적이 있던 죽음학 강의에 대한 내용을 TV에서 보고 응용한 것이다. 또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이 이 세계에 없다고 가정하고 편지를 써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또한 현대사회의 대중매체들은 (광고, 게임...) 죽음을 어떻게 형상화하는지 토론해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3. 마무리하며
교생 실습을 다녀온 선배 언니는 요즘 아이들이 관심을 가지는 것이 ‘힙합’과 ‘스타크래프트’라는 말을 했다. 이러한 수업 모델을 짜면서 아이들에게 잔인하게 죽는 스타크래프트의 캐릭터를 보는 시각을 달리 말해 주고 싶었다. 그리고 이런 감각적인 문화에 ‘재미없는’ 시를 학생들에게 친숙하게 가지고 가 그 문화에 대한 대응력과 비판력을 길러주고 싶었다. 그 결과는 실제 수업에서 활용해 보아야 할 것이다.
시에게서 감동을 가지려면 시를 시답게 하는 여러 가지들, 이를테면 이미지말의 리듬화자의 태도 등이 학생 각자의 가슴에 파도를 치면서 울려야 한다. 이러한 감동은 자신의 사회적·상황적 맥락과 관계있을 것이다. 이러한 감동으로 자신을 되돌아보게 하는 것은 교사가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학생이 느끼는 것이며 이러한 감동을 학생 각자의 일상으로 돌아가 새로운 의미를 창조할 수 있을 때 시교육은 진정 의미있어 질 것이다.
참고문헌
김현수 저, 시 교육의 이론과 방법, 역략 2011
최동호, 권혁웅 외 저, 현대시론, 서정시학 2014
박수연, 최현식 외 저, 새로 쓰는 현대시 교육론, 창비교육 2015
오정훈 저, 한국 현대시 교육론, 경진출판 2015
박윤우 저, 혀대시와 문화교육, 푸른사상 2011
또 자유연상을 이용한 브레인스트밍이 있을 수 있다. 이 브레인 스토밍은 자신이 생각나는 것을 체계적으로 정리해보는 한 방법이 될 것이다. 이는 시에 쓰여진 대상에 대한 이해를 위해 쓰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테면
사슴-눈이 슬픈 동물, 사슴과 같은 모습으로 사랑하는 사람을 애타게 부를 화자
하늘과 땅 사이가 너무 넓구나- 하늘과 땅, 삶과 죽음의 거리
선 채로 이 자리에 돌이 되어도- 망부석 신화
등이 될 것이다. 개인적으로 이 시를 보면 한용운의 「님의 침묵」이 떠오르는 데, ‘님은 갔지만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한‘ 이미지와 결코 다시 돌아오지 않을 사람을 불러내어 (이 때 아마 죽은 사람은 부르는 사람의 마음 속에 살아날 것이다) 헤어짐을 인정하지 않는 「초혼」의 이미지가 비슷하기 때문일 것이다. 학생들 역시 나름대로 시에 대한 이러한 이미지가 있을 것이다.
5) 시의 소재인 「죽음」의 의미를 생각해 보기
우리는 살아가면서 누구나 죽음을 만나게 된다. 죽음은 어떻게 보면 박탈당하는 것이다. 이미 죽음을 만나본 경우가 있는 학생들도 있을 것이다.(죽을 뻔한 경험이나 친한 사람들의 죽음)또한 학생들은 이미 앞서 다른 매체들과의 비교를 통해, 죽음을 소재로 다룬 여러 시들을 통해 죽음을 받아들이는 방식과 애도를 표현하는 방식, 죽음을 이해하는 방식이 사람마다 다름을 이해했을 것이다. 죽음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는 것 같다. 하나는 새로운 세계의 시작이 될 수 있지만 죽음은 그 동안의 자신의 존재가치가 어떠했는가를 판단받을 수 있고, 낯익은 자신의 세계와 이별하고 사랑하고 친했던 사람들과 헤어지게 된다. 자신이 가상적으로 죽는다고 생각하고 유서쓰기를 통해 다같이 죽음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면 학생들은 삶에 대한 보다 진지한 자세를 가질 수 있을 것이고, 한참 자기의 정체성에 혼란을 느끼고 거칠게 살아가는 학생들에게는 자신의 삶의 의미와 중요성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는 바램에서 이러한 방법을 생각해 보았다. 참고로 말하자면 이 방법은 서강대에서 한 적이 있던 죽음학 강의에 대한 내용을 TV에서 보고 응용한 것이다. 또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이 이 세계에 없다고 가정하고 편지를 써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또한 현대사회의 대중매체들은 (광고, 게임...) 죽음을 어떻게 형상화하는지 토론해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3. 마무리하며
교생 실습을 다녀온 선배 언니는 요즘 아이들이 관심을 가지는 것이 ‘힙합’과 ‘스타크래프트’라는 말을 했다. 이러한 수업 모델을 짜면서 아이들에게 잔인하게 죽는 스타크래프트의 캐릭터를 보는 시각을 달리 말해 주고 싶었다. 그리고 이런 감각적인 문화에 ‘재미없는’ 시를 학생들에게 친숙하게 가지고 가 그 문화에 대한 대응력과 비판력을 길러주고 싶었다. 그 결과는 실제 수업에서 활용해 보아야 할 것이다.
시에게서 감동을 가지려면 시를 시답게 하는 여러 가지들, 이를테면 이미지말의 리듬화자의 태도 등이 학생 각자의 가슴에 파도를 치면서 울려야 한다. 이러한 감동은 자신의 사회적·상황적 맥락과 관계있을 것이다. 이러한 감동으로 자신을 되돌아보게 하는 것은 교사가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학생이 느끼는 것이며 이러한 감동을 학생 각자의 일상으로 돌아가 새로운 의미를 창조할 수 있을 때 시교육은 진정 의미있어 질 것이다.
참고문헌
김현수 저, 시 교육의 이론과 방법, 역략 2011
최동호, 권혁웅 외 저, 현대시론, 서정시학 2014
박수연, 최현식 외 저, 새로 쓰는 현대시 교육론, 창비교육 2015
오정훈 저, 한국 현대시 교육론, 경진출판 2015
박윤우 저, 혀대시와 문화교육, 푸른사상 2011
키워드
추천자료
교육연극을 활용한 방송극 교육-7학년 국어 교과서 ‘육체미 소동’을 소재로-
통일교육의 필요성, 통일교육 게임(놀이)활용 사례1, 통일교육 게임(놀이)활용 사례2, 통일교...
[미술교육][시각개발]미술교육에서 시각개발(시지각개발)의 중요성, 미술교육에서 시각개발(...
성교육 학습자료(교수자료), 인성교육 학습자료(교수자료), 일상생활교육 학습자료(교수자료)...
[학습지도][수업지도][교육지도][교수학습지도]역사교육 학습지도, 점자교육 학습지도, 감상...
[도덕교과서]도덕(도덕과)교육과정의 특징, 도덕(도덕과)교육과정의 성격, 도덕교과서의 편찬...
경제활동습관 학습자료(수업자료), 약물오남용예방 학습자료(수업자료), 특별활동 학습자료(...
미술과(미술학습, 미술교육)의 성격과 내용, 미술과(미술학습, 미술교육)의 지도상유의점, 미...
교육내용 상세화 5학년 읽기 7단원비유적 표현을 이해하며 글을읽는다
[교육학 학습 지도안, 행복한 삶과 교육 수업지도안]
[몬테소리 교육 적용 시 비판적인 면] 유아교육 현장에서 몬테소리 교육의 적용 시 긍정적인 ...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 평가 B형]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2017 교직실무] 유치원 교육과정 운영에 대해 서술하시오. (교육과정 운영계획 수립, 교육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