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아동의 근골격기능과 특성
1) 기능
(1) 근골격계 해부학적 구조
(2) 장골의 구조
(3) 근육의 기능
(4) 골격의 기능
2) 특성
2. 아동의 혈액기능과 특성
1) 기능
(1) 혈액의 구성
(2) 혈액의 기능
2) 특성
3. 참고문헌
1) 기능
(1) 근골격계 해부학적 구조
(2) 장골의 구조
(3) 근육의 기능
(4) 골격의 기능
2) 특성
2. 아동의 혈액기능과 특성
1) 기능
(1) 혈액의 구성
(2) 혈액의 기능
2) 특성
3. 참고문헌
본문내용
려 모세혈관의 혈액에는 혈구가 증가되어 있다.
혈당
· 출생 시 55-60mg/dl이던 혈당이 출생 후 1-3시간까지 감소하다가 이후 자연히 상승한다.
· 생후 3-24시간: 40mg/dl, 생후 24시간: 50mg/dl
· 정상 신생아에서는 별 임상증상 없이 매우 낮은 혈당치(20mg/100ml)를 나타내는 수가 있다.
혈중
단백질
· 혈중 단백질은 출생 시 정상이지만, 생후 2-4개월에 최하로 감소되었다가 그 후 점차 증가하여
성인 수준에 이른다.
· 태아는 알부민과 -글로불린 및 -글로불린은 만들지만, -글로불린은 거의 만들지 못한다.
· 태생 20주경부터 IgM과 IgA 항체는 자궁내 감염에 반응하여 만들 수 있고, 신생아는 출생 직후
부터 IgG를 전달받으며, 출생 후 6-8개월 정도에 소실된다.
· 출생 시 동맥혈의 산소 포화도에 변동이 많으나, 호흡의 개시와 더불어 산소포화도는 급격히 상승하여 출생
후 30-3시간 내에 90%로 상승한다.
· 출생 시 대사성 산혈증이 어느 정도 나타나나, 생후 12시간까지는 정상적인 산·염기 평형이 이루어진다.
· 태아기에는 태아순환의 특성 때문에 혈색소와 적혈구 수가 많아도 산소포화도는 50% 정도이다. 이러한 저산
소증 상태는 적혈구 생성인자의 양을 증가시키나, 출생 후에는 산소포화도와 동맥혈 산소수치 증가로 적혈구
생성인자의 생산은 감소된다.
· 출생 후 1일 째는 태반으로부터의 혈액 이동, 경구로의 수분 섭취부족, 세포외액량 감소 등으로 태아기 때보
다 혈색소 농도가 1-2g/dl 높다가, 1주 후에 태아기 수준으로 회복되고 2-3개월경에 점차 감소한다.
→ 혈색소 생성인자의 감소로 신생아는 생리적 빈혈을 일으킨다.
· 신생아의 영양상태도 생리적 빈혈에 영향을 미친다. 영아기 후반 비타민A, 엽산, 철분이 부족하고 신생아의
적혈구 수명은 80-100일로 성인보다 짧아서(성인의 2/3정도) 적혈구 생성이 감소되고 빈혈을 일으킨다.
· 신생아는 생후 며칠간 출생 스트레스가 중성구 생산을 자극하므로 정상적으로 백혈구 증가증이 있다.
8. 참고문헌
· 김미예 외(2008). 아동의 건강문제와 간호. 군자출판사. p40-45, p184-186, p300-305, p365-367,
p452-456.
· 김미예 외(2008). 신생아 간호. 군자출판사. p10-21
· 김영경 외(2009). 인체구조와 기능. 현문사. p164-175, p188-205, p327-335.
· 김희순 외(2013). 아동청소년간호학Ⅱ. 수문사. p154-155, p386-389, p470-471.
· 박은숙 외(2014). 근거기반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 하권. 현문사. p61-65, p91-97, p301-307,
p426-427, p462, p502-507.
· 조경숙 외(2014).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p60-62, p411-423, p581.
· 지제근(2012). 지제근 의학용어사전. 도서출판 아카데미아. p28, p697, p1086, p1184, p1258,
p1429, p1510
혈당
· 출생 시 55-60mg/dl이던 혈당이 출생 후 1-3시간까지 감소하다가 이후 자연히 상승한다.
· 생후 3-24시간: 40mg/dl, 생후 24시간: 50mg/dl
· 정상 신생아에서는 별 임상증상 없이 매우 낮은 혈당치(20mg/100ml)를 나타내는 수가 있다.
혈중
단백질
· 혈중 단백질은 출생 시 정상이지만, 생후 2-4개월에 최하로 감소되었다가 그 후 점차 증가하여
성인 수준에 이른다.
· 태아는 알부민과 -글로불린 및 -글로불린은 만들지만, -글로불린은 거의 만들지 못한다.
· 태생 20주경부터 IgM과 IgA 항체는 자궁내 감염에 반응하여 만들 수 있고, 신생아는 출생 직후
부터 IgG를 전달받으며, 출생 후 6-8개월 정도에 소실된다.
· 출생 시 동맥혈의 산소 포화도에 변동이 많으나, 호흡의 개시와 더불어 산소포화도는 급격히 상승하여 출생
후 30-3시간 내에 90%로 상승한다.
· 출생 시 대사성 산혈증이 어느 정도 나타나나, 생후 12시간까지는 정상적인 산·염기 평형이 이루어진다.
· 태아기에는 태아순환의 특성 때문에 혈색소와 적혈구 수가 많아도 산소포화도는 50% 정도이다. 이러한 저산
소증 상태는 적혈구 생성인자의 양을 증가시키나, 출생 후에는 산소포화도와 동맥혈 산소수치 증가로 적혈구
생성인자의 생산은 감소된다.
· 출생 후 1일 째는 태반으로부터의 혈액 이동, 경구로의 수분 섭취부족, 세포외액량 감소 등으로 태아기 때보
다 혈색소 농도가 1-2g/dl 높다가, 1주 후에 태아기 수준으로 회복되고 2-3개월경에 점차 감소한다.
→ 혈색소 생성인자의 감소로 신생아는 생리적 빈혈을 일으킨다.
· 신생아의 영양상태도 생리적 빈혈에 영향을 미친다. 영아기 후반 비타민A, 엽산, 철분이 부족하고 신생아의
적혈구 수명은 80-100일로 성인보다 짧아서(성인의 2/3정도) 적혈구 생성이 감소되고 빈혈을 일으킨다.
· 신생아는 생후 며칠간 출생 스트레스가 중성구 생산을 자극하므로 정상적으로 백혈구 증가증이 있다.
8. 참고문헌
· 김미예 외(2008). 아동의 건강문제와 간호. 군자출판사. p40-45, p184-186, p300-305, p365-367,
p452-456.
· 김미예 외(2008). 신생아 간호. 군자출판사. p10-21
· 김영경 외(2009). 인체구조와 기능. 현문사. p164-175, p188-205, p327-335.
· 김희순 외(2013). 아동청소년간호학Ⅱ. 수문사. p154-155, p386-389, p470-471.
· 박은숙 외(2014). 근거기반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 하권. 현문사. p61-65, p91-97, p301-307,
p426-427, p462, p502-507.
· 조경숙 외(2014).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p60-62, p411-423, p581.
· 지제근(2012). 지제근 의학용어사전. 도서출판 아카데미아. p28, p697, p1086, p1184, p1258,
p1429, p1510
키워드
추천자료
아동발달이론과 아동발달의 특성에 관한 고찰
학령기 아동의 발달특성 및 방과후 아동지도 교육과정의 과제
[아동발달] 아동의 발달단계(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의 특성과 부모역할 및 나의 ...
빈곤아동을 위한 사회복지기관의 서비스에 대해 조사하여 논하라 - 빈곤가정의 특성, 빈곤가...
아동기 발달특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 시기에 나타날 수 있는 정신건강문제에 대하여 기술하...
아동발달의 특성에 근거해 아동복지의 필요성에 대해 서술.
현대사회의 다양한 특성이 아동의 정신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계하여 설명한 후 아...
[고위험모아간호학] 1)입원환아 스트레스감소 놀이선택시 고려할 것 2)입원아동 발달단계별 ...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정신지체(Mentally Retarded)의 특성 - 행동과 신체 및 운...
아동의 심리정서적 발달에 가족중심의 접근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하고 가족기능강화를 ...
[2017년 방송대] 고위험모아간호학 1) 중환아간호단위 특성, 중환아실 간호사 갖추어야할 능...
아동의 심리, 정서적 발달에 가족중심의 접근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하고 가족기능강화를...
[이혼가정아동] 이혼가정아동의 특성 및 문제, 이혼가정 자녀의 치료와 상담
소개글